유저 정보 / 뉴스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정보] 롤드컵 온라인 시청자수 총정리 (비공식)

롤오래함
댓글: 49 개
조회: 39695
추천: 12
2017-11-06 00:26:22

대략적이고 비공식 내용임을 감안하고 봐주세요
케이블티비를 제외한 온라인 시청자수입니다
최고동시시청자수가 기준입니다


1. 국내 시청자수

가장 많이 본 경기는 10월 28일 4강 SKT vs RNG 경기 - 50만명 이상+@(티빙,유튜브) 
http://www.inven.co.kr/board/lol/2778/53950

결승전 SKT vs SSG - 44만명 이상(트위치-13만 1천명이상, 아프리카TV-12만 9천명이상, 네이버-18만 4천명이상)+@
3:0으로 일찍 끝난 영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2. 중국 제외 전세계 시청자수

출처 : Esports Charts(https://esc.watch/)

해당 사이트에서는 네이버 시청자수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네이버 시청자수를 더하면
결승전 SKT vs SSG - 2,206,809명


특이사항으로 유튜브기준
다른 지역에 비해 특히 베트남은 자국경기보다 결승전이 더 높은 시청자수를 기록했습니다.

GAM 경기 - 약 24만명
결승전 - 약 37만명


또 북미와 남미가 시청하기 불편한 시간대였음에도 결승전 트위치 시청자수가 100만명을 돌파했습니다
롤드컵을 보지 않은 개인방송을 제외해도 100만명을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3. 중국 포함 전세계 시청자수

출처 : Esports Charts(https://esc.watch/)



레딧에서는 이 중국 시청자수를 믿을 수 없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그래서 다른 대회를 찾아보았습니다
(모두 중국 시청자수를 포함한 것입니다)

1)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리프트 라이벌즈
라이엇은 830만명으로 발표했습니다


2) 도타2 TI7 (도타에서 가장 큰 대회)
밸브는 500만명으로 발표했습니다



3) 배틀그라운드 2017 게임스컴 인비테이셔널 
블루홀의 공식발표인지는 모르겠지만 845만이라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중국 제외 시청자수는 398,569명입니다


4) 오버워치 2016 에이팩스 프리미어
중국을 제외하면 2017 오버워치 월드컵이 가장 많았지만
중국을 포함하면 2016 에이팩스가 가장 많았습니다


5) 카운터스트라이크 글로벌오펜시브 2017 PGL 크라쿠프 메이저
중국을 제외하면 2017 ELEAGUE 메이저가 가장 많지만
중국을 포함하면 2017 크라쿠프 메이저가 가장 많았습니다 



요약

2017 롤드컵 온라인 최고 동시 시청자수 (비공식)

중국포함 시청자수


중국 제외 시청자수
2,206,809명 이상

국내 시청자수
50만명+@

이것은 라이엇의 공식 발표가 아니라는 점을 다시 한번 알려드립니다

Lv62 롤오래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49)

새로고침
  • 롤오래함17-11-06 02:17
    신고|공감 확인
    1/10은 아닌 것 같습니다
    만약 그렇게 계산하면
    도타2 TI7은 카스 글옵 메이저와 비슷한 시청률의 대회가 되고 맙니다
    답글이동
    비공감 1공감 8
  • Xfe17-11-06 02:05
    신고|공감 확인
    1억이라는 숫자는 역시 많이 과한듯,, 1억명이 동시 생중계로 인터넷 방송을 볼수 있으려면 그 서버도 엄청나야 할듯,,중국 특유의 스트리밍 뻥튀기가 들어간것 같고,, 이런저런 문제를 다떠나서..중국이 한국이랑 비슷한 수준의 인기가 있다고 보면 적당한 숫자는 1000만에서 1500만 수준일듯,,(rng vs skt전) 그것도 1200만 정도가 한국으로 치면 60만 정도 보는 수치인듯,, 그정도도 대단한게 그게 시청률로 환산하면 4프로 정도 되는 수준이라는것 그러면 한국서 야구 플옵 경기수준인데(한국시리즈는 10프로 정도) ,,진짜 많이 잡아서 한국에서 한국시리즈 정도에 비례하는 시청자가  롤드컵을 봤다고 해도 2500만 3000만 정도 라는것임.. 진짜 1억에 근접하는 시청자가 봤으면 그건 거의 월드컵 본선 수준이라는건데,, 그정도였으면 중국 전체가 뒤집어지고,,, 주요 정치인(주석이나 이런사람)이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그런 상황이 되었을듯,,

    객관적으로 살펴보면 1억 근접은 말도 안되고,, 많이 잡으면 2000만 정도(이것도 엄청난것임) 냉정하게 보면 1500만 정도가 보았을 것으로 추정하면 될듯,,
    답글이동
    비공감 1공감 6
  • Kct17-11-06 00:29
    신고|공감 확인
    위대한 1등
    답글
    비공감0공감0
  • Higherplace17-11-06 00:31
    신고|공감 확인
    1억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ㄱㅋㅋ
    답글
    비공감0공감0
  • 팡팡디스코팡17-11-06 00:34
    신고|공감 확인
    역시 결승이 시청률 더 낮군 ㅋㅋ
    답글
    비공감0공감0
  • 넷스타17-11-06 00:52
    신고|공감 확인
    워 ;; 비공식이지만 슈퍼볼급 시청자수네..

    중국내 광고수익도 상당하겠네
    답글
    비공감0공감 1
  • Support17-11-06 00:54
    신고|공감 확인
    작성자님도 고생하셨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 1
  • 롤오래함17-11-06 03:31
    신고|공감 확인
    감사합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운수문17-11-06 01:28
    신고|공감 확인
    1억에 놀랐고

    온라인집계라는거에 두번놀람
    답글
    비공감0공감0
  • 삭제된 코멘트
    삭제된 코멘트입니다.
  • 롤오래함17-11-06 02:17
    신고|공감 확인
    1/10은 아닌 것 같습니다
    만약 그렇게 계산하면
    도타2 TI7은 카스 글옵 메이저와 비슷한 시청률의 대회가 되고 맙니다
    답글
    비공감 1공감 8
  • Xfe17-11-06 02:05
    신고|공감 확인
    1억이라는 숫자는 역시 많이 과한듯,, 1억명이 동시 생중계로 인터넷 방송을 볼수 있으려면 그 서버도 엄청나야 할듯,,중국 특유의 스트리밍 뻥튀기가 들어간것 같고,, 이런저런 문제를 다떠나서..중국이 한국이랑 비슷한 수준의 인기가 있다고 보면 적당한 숫자는 1000만에서 1500만 수준일듯,,(rng vs skt전) 그것도 1200만 정도가 한국으로 치면 60만 정도 보는 수치인듯,, 그정도도 대단한게 그게 시청률로 환산하면 4프로 정도 되는 수준이라는것 그러면 한국서 야구 플옵 경기수준인데(한국시리즈는 10프로 정도) ,,진짜 많이 잡아서 한국에서 한국시리즈 정도에 비례하는 시청자가  롤드컵을 봤다고 해도 2500만 3000만 정도 라는것임.. 진짜 1억에 근접하는 시청자가 봤으면 그건 거의 월드컵 본선 수준이라는건데,, 그정도였으면 중국 전체가 뒤집어지고,,, 주요 정치인(주석이나 이런사람)이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그런 상황이 되었을듯,,

    객관적으로 살펴보면 1억 근접은 말도 안되고,, 많이 잡으면 2000만 정도(이것도 엄청난것임) 냉정하게 보면 1500만 정도가 보았을 것으로 추정하면 될듯,,
    답글
    비공감 1공감 6
  • 롤오래함17-11-06 03:01
    신고|공감 확인
    작년 롤드컵 전세계 동시 시청자가 라이엇 공식발표로 1470만명이었죠
    그때는 미국에서 대회가 열렸기 때문에 중국은 아침 일찍 대회를 봐야 했죠
    당연히 저녁보다는 시청자가 적을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자국에서 열리느냐가 중요하죠 
    관심 정도가 달라집니다
    리라때 대만, msi때 브라질의 시청자수를 보면 트위치 기준으로 대단히 많이 증가하였습니다 예선전이었는데도요

    올해는 중국 입장에서 시청률 황금시간대, 중국에서 열리는 대회, 상위라운드인 4강이라는 점, skt가 상대였다는 점, 3:2로 치열했다는 점에서 시청자수가 월등히 늘어날 이유는 충분합니다
    그리고 중국을 제외한 전세계 시청자수도 북미 남미가 보기 불편한 시간대였음에도 예전보다 증가했습니다 여전히 성장 추세에 있는 것이죠 중국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개인적으로 저도 중국 시청자가 1억보다는 훨씬 적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 1
  • 정신라가씀17-11-06 03:32
    신고|공감 확인
    50만명이면 우리나라 인구1%가본겁니다 

    중국에서 2천만명이 엄청나요?  짱꺠 온라인게임 1위가 롤이고 2~15위 다합쳐도 롤이이겨요 게다가 자국에서펼쳐진리그에 시청시간도 초저녁인데 2천만이 뭐가많다는거임?? 우리나라에서 롤인기랑 중국에서 롤인기랑 천지차이입니다 오버워치 출시전 즉 헬퍼사용전에 위상이 현 중국에서 롤인기에요 물론 1억은과장이겠지만 2천만도낮다고봅니다 거기에 자국개최라 더더욱 시청률이높겠죠
    답글
    비공감 4공감0
  • 팅킹17-11-06 10:09
    신고|공감 확인
    무슨 중국 2~15위합친것을 롤이이김? 당장 2,3위만합쳐도 롤보다 위임
    답글
    비공감0공감0
  • 정신라가씀17-11-06 14:39
    신고|공감 확인
    팅킹//http://games.qq.com/a/20171013/047013.htm 보세요 ㅎㅎ 상대도안됩니다 중국에서 롤인기 상상을초월하는수준이에요 9월달통계구요 10월 11월 시즌말이니  
    링크보다 점유율 더 높으면높지 낮아지진않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딱추인들럼17-11-07 05:17
    신고|공감 확인
    근데 중국플랫폼이 엄청많아요. 제가 유명한곳 몇곳들어갔는데. 5~6군데정도들어갔는데  한플랫폼당 1500만명,2천만명가까이보고있었슴.  물론 그게 뻥튀기인지 아닌지모르겠지만.  1억까지는당연히 모르겠고 몇천만명은 그냥볼듯. 당연한건가?.
    답글
    비공감0공감0
  • 차니스트17-11-06 02:27
    신고|공감 확인
    1억을 감당할 서버가 있나 ㅋㅋㅋ
    답글
    비공감0공감0
  • Mario17-11-06 02:30
    신고|공감 확인
    대륙 클라스 ..
    답글
    비공감0공감0
  • 정대봉17-11-06 03:06
    신고|공감 확인
    잠깐만 생각해봐도 1억은 리얼 개소리란걸 알 수있음..

    한국 롤유저수가 100만명+일겉데 50만명이 최고치라고 보면

    14억중국인중에 1억이 롤드컵을 볼정도면 롤유저수는 2~3억된다는이야긴가? ㅋㅋㅋ

    중국 특유의 뻥튀기임. 쿠티비때도 그랬고 중국 대부분 스트리밍사이트 다 그런식.
    답글
    비공감0공감0
  • 정신라가씀17-11-06 03:24
    신고|공감 확인
    1억은 오바여도 수천만명은 확실하네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롤오래함17-11-06 03:24
    신고|공감 확인
    저도 1억이라고 생각하지 않지만
    뉴주에 따르면
    중국은 아니지만 북미와 유럽의 경우 롤 게임을 하지 않고 오직 롤 이스포츠만 보는 사람이 26%라고 합니다
    그러니깐 말씀하신 계산법은 잘못된 것이죠
    답글
    비공감0공감0
  • 정신라가씀17-11-06 03:28
    신고|공감 확인
    롤오래함// 그사람들이 접은사람들 포함인가요? 제 주변에도 몇명있습니다 

    몇년전에 롤접고나서도 꾸준히 대회는보더라구요 그래서 어느정도 대화가통해요 ㅋㅋ 
    신챔스킬도 다 알고있음
    답글
    비공감0공감0
  • 롤오래함17-11-06 03:33
    신고|공감 확인
    그건 잘 모르겠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롤오래함17-11-06 04:23
    신고|공감 확인
    그리고 50만은 최소수치입니다
    국내 시청자는 50만+@죠
    50만은 유튜브, 티빙이 제외된 수치입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연흔17-11-06 10:51
    신고|공감 확인
    한국 롤유저가 100만??ㅋㅋ 못해도 200만은 잡아야 한다고 봅니다
    애초에 만랩 배치본 계정이 300만이 넘는데요 부케드립 치기에는 부케 안키우는 사람도 많습니다 저도 안키우는데
    답글
    비공감0공감0
  • Gkdlfnd17-11-06 23:57
    신고|공감 확인
    중국 광군제(일종의 블렉프라이데이) 때 알리바바가 12분만에 1조 8천억원을 벌어들였습니다. 중국에 도입되는 서비스들의 서버는 정말 상상초월이에요. 저거 충분히 가능한 수치입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딱추인들럼17-11-07 04:49
    신고|공감 확인
    요즘들어 롤안하는거지 나도 눈팅만하고 롤안함... 한국에서는 그래도 롤이최고의게임인데 200만명넘지 .100만명은 오바고.ㅋ 그리고 중국실제로 계정수당연히 어마어마하고 1억까지된다고생각함. 최소 몇천만명은 당연한거고.
    답글
    비공감0공감0
  • 딱추인들럼17-11-07 04:50
    신고|공감 확인
    기사에서본 2015년에 중국롤계정수가 8천만명이 넘었다고 실제로 떳고, 물론부케도있고 그렇겠지만 어마어마한거임 그런거 감안해도.  지금은 2017년 아마도 더많아졌겠죠.
    답글
    비공감0공감0
  • 딱추인들럼17-11-07 04:53
    신고|공감 확인
    2017년기준 지금 중국인구가 14억9천,, 약 15억명인데.  아마 비공식적인구도많다고하니.. 그많은 인구중에 그저 소수일뿐입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가나하히비키17-11-06 03:37
    신고|공감 확인
    1억은아녀도 5천이상은봤을꺼같긴하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미란도이즈17-11-06 04:21
    신고|공감 확인
    제생각에는 7000만정도는 된다고 봅니다.
    젊은 애들치고 왠만하면 다 봅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라타토스크17-11-06 06:11
    신고|공감 확인
    14억 중국 10~30대 남성의 1/4이 롤을 하고 그 중에 반만 봤다고 해도 5천만명은 가볍게 넘을거 같은데..
    답글
    비공감0공감 1
  • 딱추인들럼17-11-07 05:18
    신고|공감 확인
    5천만은넘음.그건장담할수있슴.
    답글
    비공감0공감0
  • Loneky17-11-06 07:58
    신고|공감 확인
    zzz1억은 진짜 말이 안된다 일단 적어도 내주위에는 롤 안하는사람도 많고 롤하더라도 경기 안챙겨보는사람이 훨씬 많은데 위에분들은 나랑 생각이 많이 다르시네 무슨 남자의 4분의1 이런건 개오바라고 생각함
    중국인구가 비공식적으로 20억이니 뭐니하는데 우선 중국은 우리나라처럼 컴퓨터 보급률이 높지도 않음 인구수로 집계가 안될정도면 ㅈㄴ 못사는 사람들이라는건데 그냥
     아무생각없이 그 사람들까지 포함해서 중국인구는 20억은 되니까 1프로만해도 2천만명! 이러는것도 좀 아닌거같고
    답글
    비공감0공감0
  • Loneky17-11-06 11:00
    신고|공감 확인
    궁금해서 찾아봤더니 2016년 기준으로 중국 인터넷보급률이 50퍼 겨우 넘엇다네 통계에 나와있는 우리나라는 2016년 인터넷 보급률 85.7퍼고
    저 중국 인터넷 보급률이란것도 공식 인구인 14억 기준으로 한걸테니까 이렇게 보면 2천만도 높게잡은거 같은데
    답글
    비공감0공감0
  • 맘떠난동생17-11-06 09:58
    신고|공감 확인
    방구석 존문가들 ㅋㅋㅋㅋㅋ 분석은개코도 없고뇌피셜 가득
    답글
    비공감0공감0
  • 팅킹17-11-06 10:11
    신고|공감 확인
    단순히 생각해서 온라인게임그렇게좋아하는 한국이 인구의 1퍼센트임. 중국도 1퍼라고 가정하면 1300만. 진짜 인기가많아서 한국보다위라고해도 2600만이 한계임
    답글
    비공감0공감0
  • 푸슉푸슉17-11-06 10:45
    신고|공감 확인
    1억은 개십오바임 중국은  내수플랫폼이 여러개라 서로 경쟁이 과열된상태고  그로인해 서로 시청자수장난질은 어제오늘일이아님  1억의 절반을 커녕 삼분의일정도 될거라생각함
    답글
    비공감0공감 1
  • 푸슉푸슉17-11-06 10:52
    신고|공감 확인
    실제로 중국플랫폼을 국내로들여왔던 플랫폼은 시청자수주작질을 거의 몇십배를 했었음 국내의 30배가 더봤어도 1500만 실제로 예상하기엔2천만대 정도라고생각함
    답글
    비공감0공감 1
  • 광물과암석17-11-06 11:00
    신고|공감 확인
    정확한 숫자는 추산하기 어렵지만 어쨌든 1억은 과장된거라는건 맞는 거 같고 
    황금시간대에 자국에서 개최되는 리그이니 화제성이 더 커서 아마 3천 이상은 될 것 같음
    답글
    비공감0공감0
  • Icco17-11-06 11:13
    신고|공감 확인
    이런 자료 찾아본 작성자도 대단
    추천
    답글
    비공감0공감0
  • Shuzo17-11-06 14:01
    신고|공감 확인
    1억이라면 그냥 1억이구나 하고 넘어가 
    확인할 방법도 없으면서 왜케 따져싸
    답글
    비공감 3공감0
  • 늘하던일17-11-06 17:45
    신고|공감 확인
    오피셜 4700만명 나왔는데 비공식으로 뭘 계산하고있어요 
    머리 나쁘시나
    답글
    비공감 1공감 1
  • 롤오래함17-11-06 22:37
    신고|공감 확인
    어떤 오피셜이 4700만명 나왔다는거죠?
    답글
    비공감0공감0
  • 늘하던일17-11-06 22:45
    신고|공감 확인
    오피셜이 오피셜이지 어떤 오피셜은 뭐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라이엇측에서 pv 판매액 시청자수 다 공개했는데 급식그만먹고 공부하세요
    답글
    비공감 1공감0
  • 롤오래함17-11-07 00:22
    신고|공감 확인
    출처 좀 주세요 링크나요
    라이엇은 항상 연말이나 그 다음해에 롤드컵 시청자수 발표했는데요?
    그것도 항상 공식홈페이지르 통해서요 공식홈페이지에 없는데요?
    링크없으면 어그로라고 생각할께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호야씨야17-11-06 18:50
    신고|공감 확인
    우덜식계산법인가
    답글
    비공감0공감0
  • 딱추인들럼17-11-07 04:54
    신고|공감 확인
    1억이 뻥튀기라고해도 최소 몇천만명은 확실한거지. 그래도 어마어마한거다.역시중국은...
    답글
    비공감0공감0
  • 정깨냉혈17-11-07 16:46
    신고|공감 확인
    난 티비로봄
    답글
    비공감0공감0
  • 비로17-11-08 18:00
    신고|공감 확인
    위에 오버워치에 2016 에이펙스라 나와있는데 나와있은대회는 에이펙스가 아닌 중국대회apac인것같습니다
    .사소한거지만 에이펙스는 우리나라 오지엔경기고 에이펙은 중국거라 달라서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땅콩버터17-11-08 23:44
    신고|공감 확인
    AWS 사용하면 1억정도야 가뿐하죠 괜히 클라우드 기업들이 대대적으로 램 다 사들여서 확장하고 있는게 아닙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LoL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