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머 토론장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토론] "게임산업 규제로 업체 수 5년새 절반 이하로 줄어"

가상현실게임
댓글: 8 개
조회: 8368
비공감: 2
2016-02-02 08:49:30

이게 헬조선의 현실. 누가 이 조국을 헬조선으로 만드는가!

 

규제좀 풀어라 정부놈들아 니들이 산 부동산 규제만 풀지말고 여러산업들 규제좀 풀어줘라.

 

기사 본문.

 

"게임산업 규제로 업체 수 5년새 절반 이하로 줄어"

       
우리나라 게임 사업체 수가 2009년 3만개에서 2014년 1만4천개로 5년 새 절반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게임산업 규제정책의 전환 필요성 및 개선방향' 보고서를 통해 "과도한 규제가 게임 산업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게임 사업체수가 절반 이상 감소하는 동안 게임사업 종사자 수도 2009년 9만2천533명에서 2014년 8만7천281명으로 감소했습니다.

김수연 한경연 책임연구원은 "우리나라의 게임산업은 세계 4위를 기록할 정도로 수익이 높고 콘텐츠 산업 수출에도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유망산업인데 최근 위기론이 대두되고 있다"며 "과도한 규제가 성장을 저해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보고서는 게임 산업 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대표적인 규제로 '강제적 셧다운제'를 꼽았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강제적 셧다운제와 선택적 셧다운제를 함께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1년 11월부터 시행된 강제적 셧다운제는 여성가족부 소관으로 16세 미만 청소년의 심야시간대 게임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인 선택적 셧다운제는 부모 등이 요청하면 만 18세 미만 미성년자의 게임 접속시간을 제한하는 제도로 2012년 7월부터 시행 중입니다.

한경연은 "강제적 셧다운제는 기본권 침해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될 뿐 아니라 중국과 태국 등에서 이미 실효성이 없는 제도로 평가되고 있다"며 제도 폐지를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중국은 2005년 게임을 '전자 헤로인'으로 규정하고 강력한 규제를 도입했지만 게임시장이 급성장하고 규제가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자 2010년부터 자율적 규제로 변경했습니다.

보고서는 웹보드 게임에 대해서도 '사행물'이란 인식을 버리고 강력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웹보드 게임규제는 미국, 일본 등에서 찾아볼 수 없는 과잉규제라는 지적입니다.

2014년에 도입된 웹보드게임 규제는 온라인·모바일 플랫폼기반 게임의 월 결제 한도를 30만원, 1회 베팅 한도를 3만원으로 제한하고 하루 손실액 10만원 초과 시 24시간 접속을 차단하는 제도입니다.

작년 1월 문화체육관광부는 ▲ 월 결제한도 30만원에서 50만원으로 상향 ▲ 본인인증 의무 분기당 1회에서 연간 1회로 완화 ▲ 이용자 상대선택 금지의 예외조항 추가 등 규제완화 방침을 제시했지만 더 강력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습니다.

김수연 연구원은 "바다이야기 사태 이후 정부가 게임 산업의 문화 콘텐츠와 산업적 가치를 고려하지 않은 채 사행물이라는 편견을 갖고 각종 게임 관련 규제를 도입했다"며 "게임 산업을 회생시키려면 게임 산업을 창조적 콘텐츠 산업으로 인정한 외국 사례를 참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SBS 뉴미디어부)

Lv0 가상현실게임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