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군 스웨인이 말하는 폭군 스웨인

75 / 84 | 아이콘 혜모 | 댓글: 399개 | 조회: 957,203 |

안녕하세요. 저는 폭군 스웨인 외의 스킨을 사용하지 못하는 Swain(스웨인) 유저, 폭군 스웨인이에요. 시즌 2부터 을 해왔는데, 그 당시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예를 들면 Swain(스웨인)으로 봇을 간다거나 봇을 Swain(스웨인)이 간다는 등의 일들이 지금 벌어지고 있네요.
이 글은 Swain(스웨인)에 대한 전문적인 견해를 담고 있다기보다는 Swain(스웨인)이라는 친구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기본적인 설명서에 가까워요. 특히 Swain(스웨인)에 입문하시려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작성했어요.
Runes
핵심 룬(주 빌드)

저는 주로 Phase Rush(난입)을 핵심 룬으로 사용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다른 룬이 Swain(스웨인)과 어울리지 않다는 것은 아니에요. 자신에게 잘 맞는 룬을 사용하세요.



Electrocute(감전)
감전

지배의 핵심 룬 중에서 Swain(스웨인)이 유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룬이에요. Swain(스웨인)의 견제는 대개 NEVERMOVE(속박망령)RAVENOUS FLOCK(굶주린 새떼)으로 시작하는데, 이를 통해 발동 조건을 쉽게 충족할 수 있어요.
이번 8.16 패치로 데미지와 재사용 대기시간이 감소했는데, 라인전에 서는 Swain(스웨인)이 사용하기에는 더욱 좋아졌어요. 어쩌면 Summon Aery(콩콩이 소환)을 대체하는, Swain(스웨인)의 새로운 주력 룬이 될지도 모르겠네요.


Summon Aery(콩콩이 소환)
콩콩이 소환

Swain(스웨인)에게 가장 적합하다기 보다는 사용하기에 가장 무난한 룬이에요. 초반 라인전에서 강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뿐더러 DEMONIC ASCENSION(악의 승천)과의 시너지도 나쁘지 않아요.
이번 8.16 패치로 초반에 주는 데미지가 감소하여 Summon Aery(콩콩이 소환)의 메리트 또한 감소했어요.


Phase Rush(난입)
난입

Swain(스웨인)장군님이 축지법을 쓰실 수 있게 해주는 룬이에요.
라인전에서는 NEVERMOVE(속박명령)RAVENOUS FLOCK(굶주린 새떼)DEATH'S HAND(죽음의 손길)(기본 공격) 콤보 후에 기본 공격을 더 사용하는 용도로 사용해요. 하지만 상대가 Ahri(아리)Pyke(파이크)같이 위협적인 CC기(Charm(매혹)Bone Skewer(뼈 작살))를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콤보 후에 곧바로 물러나는 용도로 사용해야 해요.
※ 그렇다고 이런 친구들을 상대로 Phase Rush(난입)의 효과를 과신해서는 안 돼요.
한타에서는 DEMONIC ASCENSION(악의 승천)을 사용한 후에 빠르게 진입하거나 상대의 스킬을 회피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요.
※ 이는 NimbusCloak(빛의 망토)로 어느 정도는 대체할 수 있어요.



Grasp of the Undying(착취의 손아귀)
착취의 손아귀


초록색 손이 인상적이기는 한데, Swain(스웨인)에게 적합한 룬은 아니에요.
※ 상대가 탱커일 경우에 효율적이라는 충고가 있었어요.



일반 룬(보조 빌드)

저의 경우에는 상대에 따라서 보조 빌드를 다르게 사용해요. 
일반적으로는 영감Magical Footwear(마법의 신발)Time Warp Tonic(시간 왜곡 물약)을, 상대가 Brand(브랜드)Syndra(신드라)같이 견제가 강할 경우에는 결의Bone Plating(뼈 방패)Chrysalis(번데기)를 사용하는데, 이 외의 룬들은 거의 사용하지 않아요.
물론 보조 빌드는 취향에 따라 정밀, 지배, 마법, 결의, 영감 모든 빌드를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자신에게 잘 맞는 것을 사용해는 것이 좋아요.
만약 Electrocute(감전)같은, 마법 외의 룬을 핵심 룬으로 사용하신다면 보조 빌드로는 가급적 마법을 사용하세요. Swain(스웨인)과 마법의 룬들은 너무 잘 맞아요.



마법의 첫 번째 일반 룬 중에서는 NimbusCloak(빛의 망토)가 가장 좋다고 생각해요.
핵심 룬인 Phase Rush(난입)을 완전히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는 대체할 수 있는 만큼 Swain(스웨인)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룬이에요. 설령 Phase Rush(난입)을 사용한다고 하더라구요.
※ 취향에 따라 Manaflow Band(마나순환 팔찌)도 나쁘지는 않아요. 특히 봇을 갈 때는 도움이 많이 되는 룬이에요.

마법의 두 번째 일반 룬 중에서는 Transcendence(깨달음)이 가장 좋다고 생각해요.
Swain(스웨인)이 얻을 수 있는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는 기껏해야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와 Abyssal Mask(심연의 가면) 정도예요. Abyssal Mask(심연의 가면)이 특수한 상황에만 올리는 아이템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는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 하나 뿐이구요. 이러한 Swain(스웨인)의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부족을 Transcendence(깨달음)으로 어느 정도는 상쇄할 수 있어요.

마법의 세 번째 일반 룬 중에서는 Scorch(주문 작열)과 Gathering Storm(폭풍의 결집) 모두 좋다고 생각해요.
자신에게 잘 맞는 룬을 사용하세요.


NimbusCloak(빛의 망토)(Manaflow Band(마나순환 팔찌)) + Transcendence(깨달음)(Celerity(기민함))

마법을 보조 빌드로 사용하신다면 이렇게 사용하는 것을 추천해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이번 8.16 패치로 Electrocute(감전)이 변경되면서 Swain(스웨인)의 주력 룬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어요. 설레발일 수도 있지만 아무튼 지배의 룬에 대해서도 간단하게나마 기술하고자 해요.


지배의 첫 번째 일반 룬 중에서는 Cheap Shot(비열한 한 방)과 Taste of Blood(피의 맛) 모두 좋다고 생각해요.
상대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세요. 만만하면 Cheap Shot(비열한 한 방), 안 만만하면 Taste of Blood(피의 맛).

지배의 두 번째 일반 룬 중에서는 Eyeball Collection(시야 수집)이 가장 무난하다고 생각해요.
물론 취향에 따라 Zombie Ward(좀비 와드)나 Ghost Poro(유령 포로)를 사용해도 좋아요.

지배의 세 번째 일반 룬 중에서는 Ravenous Hunter(굶주린 사냥꾼)이 가장 좋다고 생각해요.
물론 UltimateHunter(궁극의 사냥꾼)도 나쁘지 않지만 Ravenous Hunter(굶주린 사냥꾼)으로 얻을 수 있는 회복량이 상당히 커요.



마법지배 외의 빌드는 보조 빌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룬만 기술할게요. 괄호 안의 룬은 취향이나 상황에 따라 대용할 수 있는 룬이에요.


Triumph(승전보) + Coup de Grace(최후의 일격)

정밀의 일반 룬 중에서는 위의 룬이 가장 좋다고 생각해요.
 Swain(스웨인)이 주 빌드로 정밀을 사용하는 경우는 없는 것 같네요.


Bone Plating(뼈 방패) + Chrysalis(번데기)(Second Wind(재생의 바람))

결의의 일반 룬 중에서는 위의 룬이 가장 좋다고 생각해요.
 Swain(스웨인)이 주 빌드로 결의를 사용하는 경우는 없는 것 같네요.


Perfect Timing(완벽한 타이밍)(Magical Footwear(마법의 신발)) + Time Warp Tonic(시간 왜곡 물약)(Future's Market(외상) Minion Dematerializer(미니언 해체분석기) Biscuit Delivery(비스킷 배달) Cosmic Insight(우주적 통찰력) Approach Velocity(쾌속 접근))

영감의 일반 룬 중에서는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 룬이 없어요.
자신에게 잘 맞는 룬을 사용하세요.
※ Time Warp Tonic(시간 왜곡 물약)은 시작 아이템으로 Corrupting Potion(부패 물약)을 사용하는 경우에 특히 효율적이에요.
서머너 스펠 Summoner spells
Ignite(점화)는 어딘가 부족한 데미지를 보완해주는 주문이에요.
Flash(점멸)은 다리가 부족한 할아버지를 보완해주는 주문이에요. 반드시 들어주세요.
※ 다리가 나았더라도 좋은 주문이에요.
Teleport(순간이동)도 다리가 부족한 할아버지를 보완해주는 주문이에요. 탑이면 들어주세요.
※ 미드를 골랐더라도 좋은 주문이에요.
Ghost(유체화)와 Mark(표식)은 날개를 달아주는 주문이에요.
※ 날개가 달렸더라도 좋은 주문이에요.
스킬 Skills
선마순서: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2레벨에 VISION OF EMPIRE(제국의 눈)의 레벨을 올리라고 되어 있는데, 이는 초반에 1레벨인 DEATH'S HAND(죽음의 손길)로 얻을 수 있는 이득보다 VISION OF EMPIRE(제국의 눈)의 슬로우가 주는 이득이 더 크기 때문이에요. 앞에 미니언이 있으면 소용이 없는 DEATH'S HAND(죽음의 손길)에 비해 맞추기도 훨씬 쉽구요.
NEVERMOVE(속박명령)을 맞출 수 있다는 것이 기본적인 전제이기는 하지만요.



RAVENOUS FLOCK(굶주린 새떼)
굶주린 새떼(P)

의 이름과 모션을 계승한 스킬이에요. 효과가 두 가지인데요.
첫 번째 효과는 이동 불가 상태인 적 챔피언을 우클릭하면 살짝 끌어당기고, 영혼 조각을 하나 얻는 거예요. 여기서 누가 이동 불가 상태를 걸었는지는 중요하지 않아요. 예컨대 적이 아군 Lux(럭스)의 Light Binding(빛의 속박)을 맞았다면 그 적에게도 사용할 수도 있어요. 바로 아래에 있는 DEATH'S HAND(죽음의 손길)에서 후술하겠지만 적을 끌어당기는 것은 높은 데미지를 주기 위함이기도 해요.
두 번째 효과는 근처에서 사망한 적 챔피언의 영혼 조각을 얻어 체력을 회복하는 거예요. 물론 사망한 적의 영혼 조각을 얻었을 때만 특별하게 체력을 회복하는 것은 아니에요. RAVENOUS FLOCK(굶주린 새떼)의 첫 번째 효과로든 VISION OF EMPIRE(제국의 눈)으로든 영혼 조각을 얻기만 하면 체력을 회복할 수 있어요.
이렇게 모은 영혼들은 궁극기인 의 데미지를 강화하는 데 사용되구요.


DEATH'S HAND(죽음의 손길)
죽음의 손길(Q)



오른손으로 왼팔을 부여잡고, 왼손에서 다섯 개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투사체를 발사하는 스킬이에요. Ashe(애쉬)의 Volley(일제 사격)과 유사하지만 적을 처치하면 계속 뻗어나간다는 점과 여러 갈래의 번개에 맞을 경우 추가 피해를 받는다는 점, 유닛을 처치할 때마다 최대 마나의 3%를 회복한다는 점 등이 달라요. 물론 사거리도 훨씬 짧구요.

죽음의 손길 이해하기


마법 + 영감 룬을 사용하면서 Doran's Ring(도란의 반지)를 올린 Swain(스웨인)은 주문력이 35인데, 위의 그림은 주문력이 35일 때 1레벨인 DEATH'S HAND(죽음의 손길)의 설명이에요. 제가 여기서 강조하고 싶은 문구는 두 번째 번개부터 15%씩 추가 피해를 입습니다.인데요. 이 경우 최대 피해량은

번개의 데미지(55 + 14) * {100% + 15% * 추가로 맞춘 번개의 수(4)}

로, 위의 경우에는 69 * 160%110이 나와요. 여기서 DEATH'S HAND(죽음의 손길)은 최대한 번개를 많이 맞추는, 다시 말해 멀찍이 떨어져서 사용하기보다는 적 가까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하지만 주문력도 낮은 초반에 접근에 대한 리턴으로 고작 40 정도의 추가 데미지를 주는 것이 그렇게 크다고 할 수 있을까요?
이에 대한 답은 5레벨인 DEATH'S HAND(죽음의 손길)의 설명에서 찾을 수 있어요.


마법 + 영감 룬을 사용하면서  Rod of Ages(영겁의 지팡이)를 막 올린 Swain(스웨인)은 주문력이 100 가량인데, 위의 그림은 주문력이 95일 때 5레벨인 DEATH'S HAND(죽음의 손길)의 설명이에요. 번개 자체의 피해량은 145 + 0.4AP로 매우 낮아요.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두 번째 번개부터 35%씩 추가 피해를 입습니다.라는 문구인데요. 1레벨에는 15%였던 추가 피해량이 5레벨에는 35%가 된 거예요. 그러므로 최대 피해량 역시

번개의 데미지(135 + 38) * {100% + 35% * 추가로 맞춘 번개의 수(4)}

로, 이번 경우에는 173 * 240%415가 나와요. 여타 공격 스킬들이 레벨을 올릴 때마다 기본 데미지만 소폭 상승하는 것을 감안하면 DEATH'S HAND(죽음의 손길)은 어마어마한 성장력을 갖고 있는 거예요. 이뿐만 아니라 DEATH'S HAND(죽음의 손길)은 레벨을 올릴 때마다 1.25초씩 재사용 대기시간이 감소하기 까지 해요.
위 내용을 정리하면 DEATH'S HAND(죽음의 손길)은 사용할 때 가까이 접근할수록, 그리고 스킬의 레벨이 올라갈수록 위력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는 스킬이에요. 초반에는 DEATH'S HAND(죽음의 손길)을 멀찍이 떨어져서 사용하면 데미지가 너무 약하고, NEVERMOVE(속박망령)RAVENOUS FLOCK(굶주린 새떼)로 끌어당긴 것이 아닌 경우 근접해서 사용하기에는 리스크가 너무 커요. 결론적으로 상황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DEATH'S HAND(죽음의 손길)이 5레벨이 되는, 대개 Rod of Ages(영겁의 지팡이)가 나온 직후(9~11분 쯤)에야 안정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DEATH'S HAND(죽음의 손길)을 활용할 수 있어요. 그리고 이는 Swain(스웨인)의 위력과 직결되는 사항이에요.
※ 봇에 갈 때에는 이러한 단점이 더욱 두드러져요. 9레벨이나 적어도 DEMONIC ASCENSION(악의 승천)이 나오기 전까지는 사려야 해요.


VISION OF EMPIRE(제국의 눈)
제국의 눈(W)

5레벨을 기준으로 300 + 0.7AP의 높은 데미지와 2.5초 동안 65%의 높은 둔화율을 가지고 있을 뿐더러 적중한 챔피언의 수만큼 영혼 조각을 얻고, 체력을 회복할 수 있는 무시무시한 스킬이지만 맞출 수가 없어요. 바로 아래에 있는 [VISION OF EMPIRE(제국의 눈) 맞추기]에서 다루겠지만 VISION OF EMPIRE(제국의 눈)을 맞추기 위해서는 NEVERMOVE(속박망령)같은 다른 CC기와의 연계가 필수적이에요.
한타에서는 가급적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를 사용하기 직전에 사용하세요. 슬로우는 차치하더라도 두 명만 맞추면 RAVENOUS FLOCK(굶주린 새떼)로 체력을 상당량 회복할 수 있어요.

제국의 눈 맞추기

VISION OF EMPIRE(제국의 눈)은 딜레이만 2초로 이 맞추기 쉬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굉장히 길어요. 결국 둔화 스킬을 맞추기 위해 속박 스킬인 NEVERMOVE(속박망령)을 맞춰야 하는데, 콤보는 이러해요.

NEVERMOVE(속박망령) 맞춤 → VISION OF EMPIRE(제국의 눈)  대기  RAVENOUS FLOCK(굶주린 새떼)  VISION OF EMPIRE(제국의 눈) 맞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다름 아닌 대기인데요. 속박된 적을 대기하지 않고 바로 RAVENOUS FLOCK(굶주린 새떼)로 끌어당기면 VISION OF EMPIRE(제국의 눈)이 빗나갈 가능성이 있어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NEVERMOVE(속박망령)의 속박 지속 시간(1.5초)이 끝나기 직전에 RAVENOUS FLOCK(굶주린 새떼)를 사용하는 것이지만 이를 의식하면서 하기도 어렵구요. 그래서 저는 이 콤보를 익히기 위한 요령으로 Arcane Comet(신비로운 유성)을 제시해요. Arcane Comet(신비로운 유성) 사용할 때의 콤보는 이러해요.

NEVERMOVE(속박망령) 맞춤 → VISION OF EMPIRE(제국의 눈)  Arcane Comet(신비로운 유성) 맞춤  RAVENOUS FLOCK(굶주린 새떼)  VISION OF EMPIRE(제국의 눈) 맞춤

대기Arcane Comet(신비로운 유성) 맞춤으로 바뀌었어요. Arcane Comet(신비로운 유성)이 Swain(스웨인)에게 적합하다는 것은 아니지만 콤보를 익히는 데는 굉장히 효과적이라고 생각해요. 연습 모드에서 대기의 감을 잡아보세요.
※ 상대가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을 올렸다면 대기하지 말고 바로 끌어당기세요.


NEVERMOVE(속박명령)
속박명령(E)

이 스킬을 맞추었느냐 못 맞추었느냐에 따라 딜교환의 성패가 갈릴 만큼 중요한 스킬이에요. 당장 저부터도 능숙하게 사용하지 못해서 드릴 팁이 없네요.


DEMONIC ASCENSION(악의 승천)
악의 승천(R)

악의 불길(R)

DEMONIC ASCENSION(악의 승천)은 사용하는 즉시 체력을 얻고, 마나 소모량이 없고, 영혼 조각이 최소 하나 이상 있어야 사용할 수 있고, 공격하는 대상의 수가 셋이고, 지속 시간이 12초고, 재사용 대기시간이 120초라는 점을 제외하면 와 유사한 스킬이에요. 하지만 단순히 키고 끄는 와는 다르게 DEMONIC ASCENSION(악의 승천)은 컨트롤을 요구하는데, 바로  때문이에요.
Tides of Blood(선혈의 파도)와 유사한 메커니즘의 은 DEMONIC ASCENSION(악의 승천)의 지속 시간(12초)이 끝나면 자동으로 발동하는데, DEMONIC ASCENSION(악의 승천)의 효과로 체력을 충분히 흡수하면 DEMONIC ASCENSION(악의 승천)을 바로 종료하고 사용할 수도 있어요.
의 데미지는 RAVENOUS FLOCK(굶주린 새떼)VISION OF EMPIRE(제국의 눈)으로 모아놓은 영혼 조각의 수와 비례하는데, 정확히는 영혼 조각 하나 당 45/60/75 + 0.21 AP로 최대 225/300/375 + 1.05 AP라는 어마어마한 데미지를 Amumu(아무무)의 Curse of the Sad Mummy(슬픈 미라의 저주)보다 넓은 범위로 줄 수 있어요.
하지만 은 Syndra(신드라)의 Unleashed Power(풀려난 힘)과는 다르게 기본 데미지가 없어 영혼 조각이 충분하지 않으면 데미지가 매우 낮다는 점과 Braum(브라움)의 Unbreakable(불굴)이나 Yasuo(야스오)의 Wind Wall(바람 장막)에 막힌다는 점 주의하세요.



점멸과 연계하기

Swain(스웨인)의 스킬 중에서도 DEATH'S HAND(죽음의 손길)과 은 Gragas(그라가스)의 Body Slam(몸통 박치기)Flash(점멸)처럼 Flash(점멸)과 연계할 수 있어요. 당연하지만 Flash(점멸)DEATH'S HAND(죽음의 손길)보다는 DEATH'S HAND(죽음의 손길)Flash(점멸)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좋을 거예요. 특히 은 딜레이가 길어서 Flash(점멸)과의 연계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해요.


위의 그림은 Flash(점멸)DEATH'S HAND(죽음의 손길)으로 Ezreal(이즈리얼)을 잡는 모습이에요. 상술한 것처럼 DEATH'S HAND(죽음의 손길)Flash(점멸)도 가능하고 Flash(점멸)도 가능하지만 DEATH'S HAND(죽음의 손길)Flash(점멸)이나 DEATH'S HAND(죽음의 손길)Flash(점멸) 각 스킬의 고유한 딜레이 때문에 불가능하다는 점 주의하세요.
아이템 Items
시작 아이템
반드시 가는 아이템
고려할 만한 아이템
아이템 순서

  • 헤르메스의 발걸음
    기타 - [장화]
  • 존야의 모래시계
    방어 - [방어력]

 위의 아이템 순서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에요.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아이템 순서를 확인해주세요.



존야의 모래시계 사용법


세 번째 사용법

다른 마법사 친구들이 Zed(제드)Talon(탈론)같은 AD 암살자에 대한 대응책으로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를 올린다면 Swain(스웨인)은 상대 팀에 AD 딜러가 있으면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를 올린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Swain(스웨인)과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는 친한 사이예요. 그런 만큼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아는 것은 중요해요.
첫 번째는 스킬 회피 용도예요. 앞서 언급한 Zed(제드)Talon(탈론)Death Mark(죽음의 표식)Shadow Assault(그림자 공격)외에도 Fizz(피즈)의 Chum the Waters(미끼 뿌리기)같이 맞으면 안 되는 스킬을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로 무시하는 거예요. 하지만 이는 Swain(스웨인)에게만 해당되는 사항은 아니네요.
두 번째는 무적 상태로 체력을 회복하는 거예요. 이는 단순히 체력을 회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끔 하는 것을 말해요. 아시다시피 은 DEMONIC ASCENSION(악의 승천)의 효과로 체력을 어느 정도 회복해야만 사용할 수 있으니까요.
세 번째는 무적 상태로 을 사용하는 거예요. 위의 사진에서 보실 수 있듯이 을 무적 상태에서 터뜨리는 것으로, DEMONIC ASCENSION(악의 승천)의 지속 시간인 12초가 되기 1~2초 전에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를 사용하면 돼요. 상황에 따라 굉장히 유용하지만 동시에 상대가 도망가지 않도록 VISION OF EMPIRE(제국의 눈)NEVERMOVE(속박명령)을 사용하거나 같은 팀의 CC기 지원이 있어야 가능한 방법이기도 해요.



스웨인의 아이템

제가 생각하기에 적어도 아이템에 있어서는 과 Swain(스웨인)이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아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는데요.
첫 번째 이유는 두 친구의 역할이 상당히 유사하다는 거예요.
은 스킬 데미지와 의 회복량을 강화하기 위해 주문력을 올려야 했어요. 하지만 로 얻는 탱의 역할도 강화하기 위해 luden's echo(루덴의 메아리)같은 순수한 주문력 아이템보다는 주로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Rod of Ages(영겁의 지팡이)같은 딜탱 아이템을 올렸어요. 이와 같은 맥락으로 Rylai's Crystal Scepter(라일라이의 수정홀)Liandry's Torment(리안드리의 고통)도 좋은 아이템이었구요.
Swain(스웨인)도 마찬가지로 주문력을 올릴 필요가 있어요. 어떤 분들은 Swain(스웨인)의 주문력 계수가 낮다고 평가하는데, 저는 그렇게 보지 않아요. 상대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은 차치하더라도 DEATH'S HAND(죽음의 손길)은 번개를 모두 맞출 경우에 5레벨 기준으로 약 350 + 1AP에 근접하는 막강한 데미지가 나와요. 그렇다고 재사용 대기시간이 긴 스킬도 아니구요. 하지만 이러한 막강한 데미지를 주기 위해서는 탱의 역할도 해야 한다는 모순이 생겨요. 그렇지 않으면 은 고사하고 DEATH'S HAND(죽음의 손길)조차도 몇 번 사용하지도 못 하고 죽을테니까요. 그러면 Swain(스웨인)에게 남는 선택지는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Rod of Ages(영겁의 지팡이) + α로 과 크게 다르지 않네요.
두 번째 이유는 새로운 패시브인 RAVENOUS FLOCK(굶주린 새떼)의 회복 메커니즘이에요.
어떤 분들은 Swain(스웨인)의 회복량이 리메이크 이전에 비해 좋아졌다고 하시고, 또 어떤 분들은 나빠졌다고 하세요. 제가 생각하기에 이 논란의 핵심은 RAVENOUS FLOCK(굶주린 새떼)를 발동한 횟수에 있어요. 저는 궁극기를 통한 회복량은 리메이크 이전보다 낮아졌다고 생각해요. 공격하는 대상의 수와 재사용 대기시간, Catalyst of Aeons(억겁의 카탈리스트)과의 시너지 등을 감안했을 때 적어도 높아지지는 않았어요. 하지만 Swain(스웨인)은 영혼 조각을 얻을 때마다 최대 체력의 4~7%를 회복하는 스킬인 RAVENOUS FLOCK(굶주린 새떼)가 있어요. 다시 말해 VISION OF EMPIRE(제국의 눈)을 맞추면 리메이크 이전보다 회복량이 높은 거예요. 못 맞추면 낮은 거구요. 여기서 Swain(스웨인)은 주문력도 중요하지만 체력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이를 충족하는 아이템은 Rod of Ages(영겁의 지팡이)Liandry's Torment(리안드리의 고통)인데요. 사실 RAVENOUS FLOCK(굶주린 새떼)와 상관없이 Swain(스웨인)에게 적합한 아이템들이에요. 하지만 RAVENOUS FLOCK(굶주린 새떼)와의 시너지까지 고려하면 올리지 않을 수가 없네요.
 그리고 높아진 체력을 더욱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나 Adaptive Helm(적응형 투구)(Abyssal Scepter(심연의 가면))같은 탱 아이템도 하나 쯤은 올려야 할 때가 많구요.
결론적으로 Swain(스웨인)에게는 Rod of Ages(영겁의 지팡이)Liandry's Torment(리안드리의 고통)같은 딜탱 아이템이 적합해요. 과 마찬가지로 주문력만을, 혹은 방어력이나 마법 저항력만을 올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 같네요.



아이템 순서

첫 번째 핵심 아이템은 Catalyst of Aeons(억겁의 카탈리스트)의 상위 아이템 중에서 상황에 맞는 것을 올려야 해요.
예컨대 상대 AP 딜러가 잘 성장했다면  Abyssal Scepter(심연의 가면)을 올리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거예요.
※ 그래도 가급적 Rod of Ages(영겁의 지팡이)를 올리세요.
두 번째 핵심 아이템 역시 상황에 맞는 것을 올려야 하는데, 선택의 폭이 굉장히 넓어요.
무난하다면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와 Liandry's Torment(리안드리의 고통)(Morellonomicon(모렐로노미콘)) 중에서, 상대 AD 딜러가 잘 성장했다면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를, 상대 AP 딜러가 잘 성장했다면 Adaptive Helm(적응형 투구) Abyssal Scepter(심연의 가면) 중에서 더 맞는 것을 올리세요.
※ 그래도 가급적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Morellonomicon(모렐로노미콘)Liandry's Torment(리안드리의 고통) 중에서 올리세요.
세 번째 핵심 아이템은 아직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를 올리지 않았다면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를 올리면 돼요. 이미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를 올렸다면 Liandry's Torment(리안드리의 고통)과 고려할 만한 아이템 중에서 상황에 맞는 것을 올리세요. 이는 이후에도 마찬가지지만 적어도 네 번째 핵심 아이템 안에는 Liandry's Torment(리안드리의 고통)을 올려야 해요.
※ 상황에 따라서 Liandry's Torment(리안드리의 고통)보다 Morellonomicon(모렐로노미콘)을 올리는 것이 좋은 경우도 있어요. 이는 상대 팀에 탱커가 있는지, 혹은 상대 팀에 Swain(스웨인)과 비슷한 친구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갈려요. 물론 두 아이템을 같이 가는 경우도 있기는 해요.



시작 아이템과 신발

일반적으로는 Doran's Ring(도란의 반지)Health Potion(체력 물약)Health Potion(체력 물약)을 사용하지만 Corrupting Potion(부패 물약)을 시작 아이템으로 사용하는 것도 좋아요. 특히 영감의 Time Warp Tonic(시간 왜곡 물약)을 사용할 때는 더더욱이요.

신발은 대개 Rod of Ages(영겁의 지팡이)같은 첫 번째 핵심 아이템이 나온 후에 올리는데, 다른 핵심 아이템과 마찬가지로 상황에 맞는 것을 선택할 필요가 있어요.
Ninja Tabi(닌자의 신발)은 상대 AD 딜러, 특히 평타 기반의 AD 딜러가 잘 성장했을 때 좋은 선택이라면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은 상대 AP 딜러가 잘 성장했거나 상대 팀에 Veigar(베이가)Xerath(제라스)같이 위협적인 군중제어기를 가진 친구가 있을 때 좋은 선택이에요.
무난할 때는 Sorcerer's Shoes(마법사의 신발)이 좋은 선택이지만 그렇다고 Ninja Tabi(닌자의 신발)과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이 나쁜 선택인 것은 아니에요.
카운터픽 Counter pick
챔피언 상대법은 상성이 확실한 것부터 추가할 예정이에요.
Swain(스웨인)은 라인전보다는 한타에서 크게 활약할 수 있는 친구예요. 아래의 난이도는 초반 라인전을 기준으로 한 것이지 한타에서의 난이도는 아니에요. 그런 만큼 초반만 잘 버틴다면 설령 상대의 난이도가 어려움이더라도 크게 어렵지 않을 거예요.
※ 매우 어려움인 친구는 버티기가 특히 어렵겠지만요.
봇을 갈 때도 마찬가지예요. 죽음의 손길에 대한 이해에서 다룬 것처럼 초반에는 약해요.



Galio(갈리오)갈리오(쉬움)
유리한 점 : -
불리한 점 : 뛰는 Swain(스웨인) 위에 Hero's Entrance(영웅출현)나는 Galio(갈리오)


Nautilus(노틸러스)노틸러스(쉬움)


Darius(다리우스)다리우스(라인전은 어려움)
유리한 점 : Swain(스웨인)대장군은 한타
불리한 점 : Darius(다리우스)실력자는 1:1
DEMONIC ASCENSION(악의 승천)으로 회복하는 체력보다 Hemorrhage(과다출혈)으로 잃는 체력이 훨씬 많아요. 1:1은 금물이에요.


Diana(다이애나)다이애나(쉬움)


Lux(럭스)럭스(어려움)
유리한 점NEVERMOVE(속박명령)을 맞추는 것은 그렇게 어렵지 않은데
불리한 점RAVENOUS FLOCK(굶주린 새떼)로 끌어당기면 Light Binding(빛의 속박)을 맞아요.


Lucian(루시안)루시안(어려움)


LeBlanc(르블랑)르블랑(초반에 어려움)
유리한 점NEVERMOVE(속박망령)을 맞추면 RAVENOUS FLOCK(굶주린 새떼)VISION OF EMPIRE(제국의 눈)으로 체력을 10% 정도 회복할 수 있어요.
불리한 점Ethereal Chains(환영 사슬)을 맞으면 Shatter Orb(파괴의 보주)Distortion(왜곡)으로 체력을 50% 넘게 상실할 수 있어요.
어렵다면 Negatron Cloak(음전자 망토)(Abyssal Scepter(심연의 가면))나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를 빠르게 올리는 것을 추천해요.


Malzahar(말자하)말자하(보통)
유리한 점 : DEATH'S HAND(죽음의 손길) > Void Swarm(공허의 무리)
불리한 점 : NEVERMOVE(속박망령) < Void Shift(공허 태세)
Void Shift(공허 태세)보다는 Nether Grasp(황천의 손아귀)친구를 소환하는 레이저가 더 무서워요. 가장 좋은 방법은 Nether Grasp(황천의 손아귀)의 각이 나왔을 때 DEMONIC ASCENSION(악의 승천)을 사용하는 것이지만 그게 어디 쉽나요. 와딩 잘 해놓으세요.


Morgana(모르가나)모르가나(매우 성가심)
성가신 점Dark Binding(어둠의 속박)Tormented Soil(고통의 대지)Black Shield(칠흑의 방패)Soul Shackles(영혼의 족쇄)


Dr. Mundo(문도 박사)문도 박사(어려움)


Veigar(베이가)베이가(보통)
유리한 점NEVERMOVE(속박망령)을 맞추기 쉬워요.
불리한 점Event Horizon(사건의 지평선)을 맞으면 죽어요.
Primordial Burst(태초의 폭발)보다는 Event Horizon(사건의 지평선)친구를 소환하는 마법진이 더 무서워요. 와딩 잘 해놓으세요.
※ 사실 Primordial Burst(태초의 폭발)도 무서워요.


Brand(브랜드)브랜드(어려움)


(슈렐리아의 몽상)슈렐리아의 몽상(매우 좋음)
유리한 점Swain(스웨인)이 달릴 수 있어요.
불리한 점 : Swain(스웨인)이 올릴 수 없어요.
Swain(스웨인)이 올리기에는 딜로스와 탱로스가 심한 아이템이에요. 그러므로 서포터 분에게 올려달라고 정중히 부탁할 필요가 있어요.


Aurelion Sol(아우렐리온 솔)아우렐리온 솔(매우 어려움)
유리한 점 : NEVERMOVE(속박명령)을 맞추는 것은 그렇게 어렵지 않은데
불리한 점 : RAVENOUS FLOCK(굶주린 새떼)로 끌어당기면 Starsurge(은하 해일)을 맞아요.


Azir(아지르)아지르(어려움 ~ 매우 어려움)
유리한 점Swain(스웨인)에게는 뒤에서 응원해주는 RAVENOUS FLOCK(굶주린 새떼)조류들이 있어요.
불리한 점Azir(아지르)에게는 앞에서 공격해주는 Arise!(일어나라!)병사들이 있어요.


Anivia(애니비아)애니비아(매우 어려움)
궁금한 점Anivia(애니비아)가 먼저일까요? Rebirth(환생)이 먼저일까요?
일단 못 이긴다는 것은 알겠어요.


Yasuo(야스오)야스오(초반에 어려움)
유리한 점Rod of Ages(영겁의 지팡이)가 나오면 할 만해요.
불리한 점Rod of Ages(영겁의 지팡이)가 나오면
DEMONIC ASCENSION(악의 승천)이 나오기 전까지는 Yasuo(야스오)가 훨씬 우세한데, Wind Wall(바람 장막)Sweeping Blade(질풍검) 때문에 NEVERMOVE(속박망령)을 맞추는 것도 쉽지 않아요. 최소한 Rod of Ages(영겁의 지팡이)는 나와야 안정적으로 상대할 수 있으니 초반에 잘 버텨야 해요.


Wukong(오공)오공(매우 어려움)


Ornn(오른)오른(쉬움)


Olaf(올라프)올라프(매우 어려움) : 아무것도 남기지 않겠다!
유리한 점 : -
불리한 점 : -
-
Swain(스웨인)도 안 남아요.


Yorick(요릭)요릭(매우 어려움)


Zed(제드)제드(보통 ~ 어려움)
유리한 점Rod of Ages(영겁의 지팡이)가 나오면 할 만해요.
불리한 점Rod of Ages(영겁의 지팡이)가 나오면
초반에는 쉬운데, Hexdrinker(주문포식자)가 나오면 어려워져요. 그러다가 Rod of Ages(영겁의 지팡이)가 나오면 비등비등해지고,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가 나오면 매우 쉬워져요. Rod of Ages(영겁의 지팡이)가 나오기 전에(보통 10분까지) 특히 조심하세요.
※ 그렇다고 Rod of Ages(영겁의 지팡이)가 나온 직후에 이긴다는 뜻은 아니에요.


Xerath(제라스)제라스(매우 어려움)
유리한 점 : DEATH'S HAND(죽음의 손길)은 데미지만 350 + 1AP예요.
불리한 점 : Arcanopulse(비전 파동)은 사거리만 1400이에요.
Swain(스웨인)의 W 스킬인 VISION OF EMPIRE(제국의 눈)제국의 눈과 Xerath(제라스)의 W 스킬인 Eye of Destruction(파멸의 눈)파멸의 눈이 상당히 유사하네요. 파멸되고 싶지 않다면 닷지하는 것이 좋을 거예요.


Jayce(제이스)제이스(초반에 어려움)
Jayce(제이스) : 나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싸운다.
Swain(스웨인) : 더 나은 미래요?
Jayce(제이스) : 그러려면 Swain(스웨인)의 미래가 없어야 해요.
Swain(스웨인) : Tear of the Goddess(여신의 눈물)
여전히 어려운 친구지만 Rod of Ages(영겁의 지팡이)가 나올 때까지만 버틴다면 충분히 이길 수 있어요.


Zilean(질리언)질리언(매우 어려움)


Camille(카밀)카밀(초반에 어려움)
유리한 점Rod of Ages(영겁의 지팡이)가 나오면 할 만해요.
불리한 점Rod of Ages(영겁의 지팡이)가 나오면
보조 빌드로 결의의 을 추천해요.


Smite(강타)Camille(카밀)정글 카밀(매우 어려움)
유리한 점 : -
불리한 점Hookshot(갈고리 발사/돌진) + Hookshot(갈고리 발사/돌진) = Tear of the Goddess(여신의 눈물)
Camille(카밀)이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Swain(스웨인)을 죽일 수 있어요.


Kassadin(카사딘)카사딘(보통)
유리한 점Riftwalk(균열 이동)으로 들어오면 이길 수는 있는데
불리한 점Riftwalk(균열 이동)으로 도망치면 잡을 수도 없네요.
생각이 있다면 혼자서 Swain(스웨인)을 잡겠다고 들어오지는 않을 거예요. 와딩 잘 해놓으세요.
시작 아이템으로 Corrupting Potion(부패 물약)을 추천해요.


Katarina(카타리나)Talon(탈론)녹서스 암살자(보통)
유리한 점Swain(스웨인)대장군은 죽지 않아요.
불리한 점 : 내 친구들이 죽을 뿐


Caitlyn(케이틀린)케이틀린(쉬움 ~ 보통)


Kled(클레드)클레드(어려움)


Pantheon(판테온)판테온(쉬움보통)
추가 공략 Etc
저는 이 글이 Swain(스웨인)에 대해 토론하는 장으로 사용되기를 바라고, 많이 불완전한 만큼 같이 완성해 나갔으면 좋겠어요. 읽어주셔서 고마워요.




스웨인의 스킨


스킨을 고르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에요. 그래서 선택에 도움을 드리고자 작성했어요.



빌지워터 스웨인(520RP)
좋은 점 : 가장 저렴하고,
나쁜 점 : 가장 밋밋해요.
문자 그대로예요. 근육을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면 별로 추천하지 않아요.
※ 아무도 사용하지 않다 보니 유니크해요.


북부전선 스웨인(750RP)
좋은 점 : 가장 높은 가성비
나쁜 점 : 눈에 띄는 이펙트
저 개인적으로는 가장 추천하는 스킨이에요. NEVERMOVE(속박망령)을 맞추면 경쾌한 칭! 소리가 나는 등 모든 스킬이 얼음과 관련된 이펙트를 갖고 있어 아래의 두 스킨과 비교해도 전혀 밀리지 않는 퀄리티를 자랑해요. 저렴한 가격까지 감안하면 가성비도 훌륭하구요.
그리고 새파란 스킬 이펙트가 눈에 잘 띄어서 상대가 잘 피할 것 같지만 기분 탓이에요. 다른 스킨이었어도 못 맞췄을 거예요.


폭군 스웨인(1,350RP)
좋은 점을 연상시키는 까마귀와 관련된 이펙트
나쁜 점 : 닉네임이 폭군 스웨인이면 다른 스킨을 사용할 수가 없어요.
다른 스킨에 비해 고풍스러운 느낌이 물씬 풍기는 스킨이에요. 모든 스킬에 검은 깃털이 휘날리고, DEMONIC ASCENSION(악의 승천)을 사용하면 아예 머리가 까마귀가 돼요.
※ 많은 분들께서 DEATH'S HAND(죽음의 손길)탕! 하는 타격감을 특히 좋아하시는 스킨이에요.

인상적인 귀환 모션


용 지배자 스웨인(1,350RP)
좋은 점 : 과 관련된 이펙트, 다양한 색깔의 크로마
나쁜 점 : 머리가 엄청 커 보여요.
까마귀로 변신한다면 으로 변신하는 스킨이에요. 평소에는 손에서 DEATH'S HAND(죽음의 손길)을 쏘지만 이 되면 입에서 DEATH'S HAND(죽음의 손길)을 뿜는 등 높은 퀄리티를 자랑해요.


저의 경우에는 다른 계정으로 흑요석 크로마를 사용하고 있는데, 정말 예뻐요.
이 공략에 대한 평가는? 참여자:84명

나도 한마디 (398)

  • 시원하게 | [답글] 근데 이번시즌 공략은 안올릴건가요???
  • 시원하게 | [답글] 빠른답변 정말고맙습니다 ^^
  • 시원하게 | [답글] 폭군 스웨인님 아직도 이공략보고 하면 좋은가요?? 그리고 탑을가는건가요 미드를가는건가요? 빠른답변해주세요
  • 아이콘 혜모 | 다행스럽게도 댓글을 다신 지 얼마 안 되서 확인했네요. 결론부터 시원하게 말씀드리면 '아니오'예요. 다른 부분은 차치하더라도 특히 룬 부분이 그러한데, 저도 스웨인에게 있어 난입이 가장 좋은지 확신이 서지 않아 제 글보다는 차라리 OP.GG와 같은 사이트의 통계를 참고하시는 것이 더 좋을거예요. ※ 저의 경우에는 '감전'을 사용해보고 있어요. 그리고 라인의 경우에는 탑과 미드를 다 갈 수는 있지만 탑보다는 가급적 미드나 원딜을 가시는 것을 권장해요. ※ 사실 현재 시점에서 스웨인을 한다는 것 자체가 좋은지 잘 모르겠지만요.
  • Kine333 | [답글] 좋은 공략 감사합니다 ^^
  • Kine333 | 롤인벤 오랜만(5년)이나 첫댓인거 같습니다
  • 그러하더라 | [답글] 루시안 상대하는거 답없음;;; 6렙전 풀콤보 맞추는데 루시안 떄리는게 딜 더 강하고. 6렙후 싸워도 루시안이 더 강함. 무엇보다 스웨인 e를 맞추는게 엄청 힘듬. e로 피한다음 바로 들어오니 노답..;; 개인적으로 르블보다 힘듬; 갱없이 할떄.
  • 미스틱블루 | [답글] 아 이분 챔피언별 공략보고 너무 재밌어서 ㅋㅋ 엑셀 마구마구 드립니다 ㅋㅋ
  • 적혈z | [답글] 저 친추좀 받아주세요!!! 요즘 스웨인에 푹 빠져서
    닉은 Nyx Jasper 입니다 부탁드립니다 ㅎ
  • 적혈z | 물어보고 싶은것도 잇고 클럽이 있다면 들어가고 싶어요!
  • 르블랑장인요 | [답글] 피즈공략좀..
  • 아이콘 Shine수 | [답글] 서폿 스웨인 총검-%gt;라일라이-%gt;정령 은 별론가요?
  • 아이콘 혜모 | 저는 스웨인으로 서폿을 해본 적도, 마법공학 총검을 올린 적도 없어서 답을 드릴 수가 없네요. 하지만 정령의 형상보다는 심연의 가면을 올리는 것이 더 좋을 때가 많다는 것만은 말씀드릴 수 있어요.
  • 말은잘하네 | [답글] 스웨인 플1구간 6연승중 ㅎㅎ
  • 아이콘 혜모 | 저는 기다리다 보면 다이아로 승급했다는 댓글이 생길 줄 알았어요. 다이아로 승급하시기 바라요. 이미 하셨을 것도 같지만요.
  • 아이콘 아반샤 | [답글] 상대 미드라이너가 기동성이 좋을때 너무 힘이 드네요 스웬은 영겁이나 오기전까진 솔직히 포탑에서 나오기 힘든데 적 라이너가 초반 스웬 보다 강력하고 높은 기동성으로 딴 라인 터트리고 내려오니 답이 없네요 핑을 찍어주긴 하는데 따라가자니 페이커면 내가 당하니 가기도 그렇고 기동성도 안좋으니 가봐야 뒷북이고 가만히 있잖니 겜이 터지고 ㅁㄷ차이 난다고 딴 라인에서 뭐라고하고 스웬이 어느정도 힘을 쓸수 있을때면 겜이 끝나 있으니 답답 하네요 방법이 없을까요?
  • 아이콘 혜모 | 제가 이에 대해 답을 드릴 수 있는 수준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저 역시 지적하신 점에 매우 동감해요. 마치 제 생각을 보는 것 같았어요. 제가 생각하기에 스웨인은 우리 팀이 '보통 이상' 하지 않으면 운영이나 성장 등에서 큰 역할을 하기 어려운 친구예요. 그런 만큼 진솔하게 말씀드리면 상대 라이너가 라인 클리어가 빠르고, 로밍을 잘 다니는 친구라면 스웨인을 선택하는 것을 재고하는 것을 추천해요. 라인 클리어도 느리고, 궁극기의 재사용 대기시간도 긴 스웨인으로서는 다른 라인에 도움을 주는 데 한계가 분명히 있어요. 뚜렷한 답을 드리지 못해 미안해요. ※ 스웨인으로 봇을 가시면 말씀하신 고충이 어느 정도는 상쇄될 수 있어요. 만약 다음 패치에 스웨인이 스킬의 주문력 계수 등 딜에 너프를 받는다면 미드 스웨인의 입지는 지금보다 더욱 좁아질 공산이 크구요.
  • 아이콘 Seule | [답글] 공략 내용이 자세한데 깔끔하게 쓰셨네요 엑셀 드리고 잘 보고갑니다~
  • 아이콘 혜모 | 제가 보기에는 둘 다 아닌 것 같지만 그렇게 작성하려고 노력한 것을 알아주셔서 고마워요. ※ 물론 엑셀도 고마워요.
  • 핑찍는갱킹좀 | [답글] 블라디는 어떻게 상대하죠
  • 아이콘 혜모 | 제가 생각하기에 블라디미르는 강화된 수혈만 맞지 않으면 어려운 점이 없는 친구예요.
    그래도 블라디미르를 상대하기 어려우시다면 악의 승천(R)이 없을 때 무리하게 딜교환을 시도하지만 않아도 큰 도움이 될 거예요.
  • 핑찍는갱킹좀 | [답글] 블라디는 어떻게 상대하죠
  • 아너무해진짜 | [답글] 공략글에 댓글 한번도 달아본적 없는데 이번에 처음 달아봐요ㅎㅎ 진짜 공량 너무 재밌게 쓰셔서 잘 보고 갑니다
  • 아이콘 혜모 | 처음 댓글을 다시는 글이 제 글이라니 영광이에요. 질이 떨어지니 재치 있게라도 작성했는데, 그렇게 느끼셨다니 다행이기도 하구요. 고마워요.
  • 니가사는 | [답글] 님아님아 마법공학 벨트는 어케 생각합니까?
  • 샤랜 | [답글] cs 먹는게 너무 어려워요 ㅜㅜ 팁좀 주세요 그리고 상대가 라인 빨리 미는 아이면 정말 답이 없을 정도로 cs먹기가 어렵네요 ..
  • 앙마서비 | [답글] 잘 보고 갑니당~! ㅎㅎㅎ
  • 추선 | [답글] 기민함대신 깨달음,2코어로 루덴은 어떻나요?쿨감없으면 답답해서...
  • 혼랑q | [답글] 티모같은건 어떻게상대해야할가요??
  • Lasbella | [답글] 안녕하세요 스승님 요즘 스웨인이라는 챔피언이 마음에 들어서 하는 도중에 스승님의 공략을 보고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스승님 요즘 제가 난입 룬에 선템을 루덴의 메아리를 가는데 스웨인의 q 시너지와 잘 맞는 거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스승님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쿨감도 20퍼센트나 해주고 나쁘진 않은 거 같은뎁.. 체력이 없다는 단점은 있지만..
  • 아이콘 공허의카이사 | [답글] 다른 챔은 어느정도 상대할줄알겠는데 이놈의 쓔발둥이 사용하는 피즈는 답도없네요 ;; 딜교 자체가 성립이 안되네요 최대한 사리면서 CS챙기려해도 재간둥이랑 Q로 들어와서 딜교넣고 평타치다가 재간둥이 쿨되면 유유히 빠져나가고...궁쿨은 더럽게 짧아서 하 ㅠㅠ
  • 스웨인봇 | [답글] 현재 스웨인 250판 63% 유지중인 스웨인 유저인데용..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스웨인은 감전이 제일 어울린다고 생각해요 감전들고 라인전 하면 1렙때 e찍고 e패시브 평 하면 감전 터져서 2~3렙때 킬각도 볼수있고 한타때도 원딜에게e만 맞추면 e w 패시브 q 점화로 원콤 나더라고요..! 스웨인 감전에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해 주셨으면 합니다 ㅠㅠ 닉네임:용지배자스웨인봇
  • 아이콘 공허의카이사 | 감전도 괜찮나요? 가끔 난입으로 딜이 아쉬울때가 있긴있었는데
  • 아이콘 혜모 | 최근 들어 감전이 좋다는 충고를 많이 듣고 있는데, 재고해볼게요. ※ 저 역시 감전이 괜찮다고 생각해요. 원딜을 한번에 쓰러뜨릴 수 있다는 게 결코 과언이 아니거든요. 다만 다음 패치에 난입이 상향되면 난입이 더욱 좋아질거라고도 생각해요.
  • 아이콘 공허의카이사 | [답글] 스웨인할때마다 이글 계속보면서 하는유저입니다. 정말 도움 많이됬습니다 20~30번은 가까이 본것같아요 정말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아이콘 혜모 |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이네요. 저도 고마워요.
  • 칼동네칼잡이 | [답글] 스웨인 50판 정도 한 유저입니다. 공략 덕분에 캐리머신으로 세탁했는데 가끔 극후반 가면 힘이 많이 빠지더라구요.. 후반에 돈은 넘쳐나는데 궁극적으로 완성하면 좋은 템셋팅이 어떻게 되는지요? 또 후반에 상대 AD가 극강세일때 또는 AP가 극강세일때의 템셋팅도 추천해주시면 감사합니다!!
  • 아이콘 혜모 | 답변을 드리기에 앞서 제 생각을 먼저 말씀드릴게요. 저는 스웨인이라는 친구 자체가 후반에 매우 약해다고 생각해요. 다시 말해 어떻게 아이템을 올리더라도 극후반에 힘이 빠지는 것은 어떻게 하기 어려울 거예요. 저의 경우에는 최종 아이템으로 '존야의 모래시계', '신발', '영겁의 지팡이', '모렐로노미콘 or 리안드리의 고통', '라바돈의 죽음모자', '유동적'을 맞추는 경우가 많아요. 여기서 '유동적'이 바로 상대 딜러의 성격에 따라 유동적으로 올리는 아이템인데, 예를 들어 AP가 강세일 때는 대개 적응형 투구를 올리는 편이에요. 반대로 AD가 강세일 때는 란두인의 예언이나 얼어붙은 심장을 올리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거예요. 하지만 저 개인적으로는 딜로스를 경계해서 스웨인이 탱의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면 존야의 모래시계 이외의 방어력 아이템은 가급적 올리지 않으려고 해요.
  • 브로콜리피그 | [답글] 손에 잘 맞는거 같아서 공략 보러 왔습니다. 제라스는 "매우 어려움"이라고 하셨는데, W선마 혹은 QW 균등 분배 해두고, Q 차지 할 때마다 W 쓰면 잘 맞는거 같아요.
  • 아이콘 혜모 | 손에 잘 맞다면 제 글이 필요가 없을 것 같지만 아무튼 이렇게 충고해주셔서 고마워요. 그런데 죽음의 손길(Q)을 포기하고, 제국의 눈(W)의 레벨을 빨리 올리는 것이 좋은 선택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몇 번 해보고 유효하면 상대법에 기술할게요.
  • 아리가또죽네 | [답글] 다음패치때 메자이 이동속도 추가효과가 10스택부터 적용된다 하더라구요. 그래서 스웨인이 암흑의인장 스타트를하고 초시계를 들고 안정적으로 플레이한다면 존야가 나올때쯤엔 충분히 10스택을 쌓을수 있을거같아서 좋은 시작탬이 될듯합니다
  • 아이콘 혜모 | 굉장히 좋은 말씀이에요. 다만 암흑의 인장을 시작 아이템으로 올리기 보다는 첫 번째 귀환 후에 상황을 보고 올리는 것이 더 바람직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 Tusins | [답글] 제가 탑을 주로하눈데요 스웨인 요즘 탑에서 입지어떤가요??? 탑스웨인 한번 파보려구요!! ㅎㅎ
  • 아이콘 혜모 | 미드라고 크게 다른 것은 아니지만 탑의 경우에는 이렐리아같은 카운터를 만날 가능성이 높아서 선픽을 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하지는 않네요. 그리고 메타에 관해서는 저보다는 타 사이트의 통계 자료를 참조하시는 것이 훨씬 좋을 거예요.
  • 정치훈 | [답글] 말투 넘이뻐요
  • 아이콘 혜모 | 칭찬도 이뻐요. 고마워요.
  • 명불허전찡 | [답글] 모렐로는 안적어 주셨네요 ㅜ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아이콘 혜모 | 글에서 강조하지 않았을 뿐 모렐로노미콘 역시 굉장히 좋은 아이템이라고 생각해요. 리안드리의 고통이 상대 팀에 탱커가 있을 때 효율적이라면 모렐로노미콘은 상대 팀에 스웨인이나 문도 박사같은 친구가 있거나 체력이 낮은 딜러가 많을 때 효율적이라고 보는데, 모렐로노미콘에 대한 내용도 이보다는 구체적으로 기술하도록 할게요. 말씀해주셔서 고마워요.
  • 마군한 | [답글] 스웨인 사자마자 이글보고 바로 랭겜해서 캐리함 ㅅㅅㅅㅅ
  • 아이콘 혜모 | 축하해요. 나중에 스웨인으로 졌다는 이유로 다시 댓글을 다시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네요.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