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략] 키텐과 흡사한 패턴! 벽으로 미는 번개 장벽을 조심하라 - 붕괴의 빗길

게임뉴스 | 이문길 기자 | 댓글: 1개 |






■ 붕괴의 빗길, 중독된 뇌수

플레인게이트 지역 중앙에 위치한 워프 게이트를 통해 차원 이동 후, 11시 방향의 파란색 게이트에 위치한 던전이다. 재해 복구 본부 - 강남일대에 등장하는 보스 몬스터인 뇌수 키텐과 흡사한 보스가 등장하는 곳으로, 공략법도 동일하다.

중독된 뇌수는 왜곡의 제단 보스인 우상신 모락스처럼 다운되지 않는 유형이며, 공격속도가 빠른편은 아니므로 적극적으로 백어택과 에어리얼 콤보를 노리면 좀 더 원활히 공략할 수 있다.

다만 퀘스트 수행 이후 차원압 단계를 높이면 높일수록 던전 내 등장하는 몬스터들의 패턴 및 보스 몬스터의 패턴이 추가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 보스 주요 스킬

- 펀치 연타 공격

평상 시, 가장 자주 사용하는 공격으로 전방을 향해 손을 좌우로 휘두르며 연타성 공격을 한다. 차원압 1단계에서는 단순히 원!투! 형식이지만 차원압 3단계부터는 최대 4연타까지 휘두르기 때문에 손을 휘두르는 모션이 보인다면 지체없이 뇌수의 등 뒤로 넘어가자.

안전하게 긴급회피를 사용해 뒤로 넘어간다면 빈틈이 많기 때문에 백어택으로 결전기 등 큰 대미지를 줄 수 있는 스킬을 마음껏 난사하자.










- 할퀴기 공격

펀치 연타 공격에 비해 자주 나오는 공격은 아니지만, 매우 강력한 대미지와 범위를 자랑하는 공격이다. 펀치 연타 공격과 시작 모션이 비슷하지만 대미지는 약 3배 이상 차이나며, 피격 시 캐릭터가 다운되니 안전하게 피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범위보다 판정이 넓은데, 단순히 위, 아래나 뒤로 피할 경우 미처 피하지 못하고 대미지를 받는 경우가 많으니 안전하게 등 뒤로 피하도록 하자.







- 라이트닝 웨이브

손을 하늘 높이 치켜올렸다 땅으로 내리치며, 전방으로 번개 줄기를 쏘아보내는 공격이다. 시작 모션이 비교적 큰 편이며, 공격 전 미리 피해 범위를 표시해주므로 피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번개 줄기는 항상 일정하게 일직선으로 나오므로, 보스의 등 뒤로 피한다면 역시 안전하게 반격을 할 수 있다.

다만, 처음 번개 줄기에 맞게되면 캐릭터가 넉백되면서 연속으로 피해를 받고 사망할 수 있으니, 섣불리 앞에서 공격하는 행위는 자제하는 편이 좋다.







- 일렉버스트

보스 주변으로 일정 크기의 붉은색 원이 그려졌다 잠시 뒤, 강력한 전자 폭풍을 발산하여 주변에 피해를 입히는 공격이다. 선 딜레이가 상당히 큰 스킬이지만 랜덤하게 빠르게 발동하는 경우도 있으니 해당 모션이 보인다면 공격을 잠시 멈추고 재빨리 범위 밖으로 벗어나자.

다만 미처 범위 밖으로 피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면, 빠른 돌진 스킬을 사용하여 스킬의 슈퍼 아머 판정으로 벗어나거나, 또는 제이의 [오메가3 러쉬]과 같이 대미지 감소 옵션이 붙어있는 스킬을 활용하여 피해를 최대한 줄이자. 마지막으로 강제캔슬을 활용하여 바로 다운된 후, 무적상태를 활용하여 피하는 방법이 있다.

뇌수가 몸을 웅크렸다가 머리를 치켜들때 공격 판정이 발생하므로, 타이밍에 맞춰 긴급회피를 누른다면 저스트 회피 판정을 받을 수 있다.










- 라이트닝 필드

뇌수가 일렉버스트와 흡사한 모습으로 몸을 웅크렸다가 하늘 위로 점프한 후, 떨어지면서 지면 전체에 강력한 전자기장을 흘려보낸다. 차이점은 공격 범위를 표시하는 붉은원이 맵 전체에 표시되다가 뇌수의 점프 타이밍에 맞춰 서서히 줄어든다는 것이다.

지상 전체에 공격 판정이 발생하므로, 뇌수의 착지 타이밍에 맞춰 같이 점프한 뒤, 공중에서 체공하는 스킬을 활용하여 버텨야 한다.

재해 복구 본부의 키텐과 차이점은 점프를 최대 3회 연속으로 한다는 점인데, 스킬을 마구 난사했다가는 공중에 머무를 스킬이 없게되어 큰 피해를 입게된다.

캐릭터의 발이 땅에 닿은 시점부터 피해를 입게되므로 만약 자신의 공중 사용 가능 스킬이 쿨타임이더라도 공중 기본 공격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하자.










- 감전내성 스케빈저 소환

재해 복구 본부와 달라진 패턴 두 번째. 뇌수가 차원문을 열고 부하 몬스터인 스케빈저를 소환한다. 소환되는 스케빈저의 숫자는 차원압 단계별로 다른데 단계가 높아질수록 더욱 많은 숫자가 소환된다.

소환된 스케빈저 자체는 일반 필드에서 나오는 몬스터와 큰 차이가 없지만, 워낙 많은 숫자가 소환되어 동시에 캐릭터를 공격하면 큰 피해를 입을 수도 있으니 되도록 빠르게 처리하자.

그리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추가 패턴으로 뇌수가 스케빈저 전체에 감전 버프를 걸어 캐릭터와 접촉 시, 일정 간격으로 감전 피해를 입으니 주의하자.










- 번개의 벽 쏘아보내기

새로 나온 신규 패턴으로 뇌수가 위상력 개방을 사용 후, 맵의 왼쪽 혹은 오른쪽 끝으로 빠르게 이동 후 6회에 걸쳐 번개로 이뤄진 벽을 쏘아보낸다.

해당 벽에 캐릭터가 닿으면 뒤로 밀리면서 지속 피해를 받게 되는데, 맵의 중앙에서 맞는다면 강제 캔슬 없이 살아남기 힘드니 주의하도록 하자.

파훼법은 크게 2가지인데 뇌수가 이동하자마자 곧바로 쫓아가 벽을 쏘는 쪽의 반대로 피하는 것이다. 뇌수의 뒤를 잡았다면 벽을 쏘아내는 동안 마음껏 대미지를 줄 수 있으니 가장 이상적인 회피법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뇌수가 벽을 발사할때 맵의 상단과 하단으로 번갈아 쏘는 점을 활용하여, 재빨리 위나 아래로 이동하면서 피하는 방법이다. 이때 아래로 쏘아지는 벽은 눈으로 보기보다 넓을 수 있으니 확실히 위/아래 끝으로 움직인다는 생각으로 피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완전히 피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면 뇌수가 이동한 방향의 정반대로 달리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다. 맵 끝에서 맞는다면 캐릭터가 피해를 받으며 밀리는 거리가 멀지 않기 때문에 최소한의 대미지를 받고 살 수 있다.













■ 공략 포인트

재해 복구 본부의 키텐과 흡사한 패턴을 다수 보유한 보스지만, 방어력과 대미지는 더욱 향상되었다. 하지만 3단 연속 점프 공격과 맵 끝으로 이동하여 번개벽으로 캐릭터를 밀치는 공격만 주의한다면 적어도 죽는 경우는 줄어들 것이다.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공격이 전방을 향한 일직선 공격이므로 보스의 뒤를 꾸준히 잡는다면 아무런 피해도 받지 않고 손쉽게 처치할 수 있다.

캐릭터가 위상력 개방 시, 3단 점프 공격을 제외하면 대부분 스킬을 결전기를 통해 끊을 수 있으니 파티 플레이시 참고한다면 좀 더 쉽게 공략할 수 있다.


■ 공략 영상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