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략] 거리를 좁혀오는 마력결계와 블랙홀 소환을 주의! - 왜곡의 제단

게임뉴스 | 이문길 기자 | 댓글: 1개 |






■ 왜곡의 제단, 우상신 모락스

붉은 차원이동석의 마지막 던전인 왜곡의 제단은 고정형 보스 몬스터인 우상신 모락스가 등장한다. 재미있는 점은 우상신 모락스는 순례길의 막시무시와 같이 PvP 모드에 보스형 몬스터로 등장한다는 사실이다.

최종 던전인만큼 입장하기 위해서는 '붉은 차원이동석 열쇠'라는 아이템이 필요하며, 해당 아이템에 필요한 재료인 붉은 열쇠자루, 붉은 열쇠머리는 각각 사원 진입로/순례길의 보스 몬스터를 사냥하여 얻을 수 있다. 제작 방법은 플레인게이트의 제작기를 통해 제작할 수 있으며, 차우너 세계의 동력원가 26,400 크레딧이 추가로 소모된다.

우상신 모락스는 플레인게이트의 보스들과 비교하여 비교적 낮은 난이도로 평가받고 있으며, 즉사형 스킬 패턴과 호밍 패턴, 그리고 매우 넓은 범위 공격 등 주요 패턴 몇가지만 주의한다면 쉽게 공략할 수 있다.


■ 보스 주요 스킬

- 손 휘둘러 공격하기

평상시 시도하는 일반 공격으로 모락스가 손을 휘두르며, 주변의 캐릭터를 공격한다. 휘두르는 타이밍과 판정이 왼쪽/오른쪽에 차이가 있는데, 왼쪽 휘두르기는 타점이 높고 모락스 주변 전체에 대미지를 주지만, 오른쪽 휘두르기는 점프하면 피할 수 있으며, 반대쪽에 캐릭터가 위치한다면 피해를 받지 않는다.










- 파장 흩뿌리기

손 휘두르기 공격과 동일한 모션이지만, 선딜레이가 좀 더 있으며 휘두른 자리에 대미지 및 넉백을 일으키는 파장을 남기는 공격을 한다.

공격 전에 미리 붉은 선으로 공격 범위가 표시되니, 공격 사이에 존재하는 빈틈을 찾아 피하거나 높은 점프 등으로 피할 수 있다.

그리고 역시 오른쪽에서 휘두르는 파장과 왼쪽에서 휘두르는 파장의 공격 범위가 다른데, 처음 휘두르는 공격 범위의 빈틈을 다음 공격이 채우는 식이다.










- 파괴의 파장

양 손을 끌어모았다가 강하게 땅을 내려쳐 대미지를 입힌다. 박력있는 모션답게 대미지가 굉장하지만, 땅에 닿아있지만 않으면 피해를 받지 않는다.

모락스가 기지개를 펴듯 어깨를 펴고, 두 손을 끌어모으는 모션이 확인되면 점프나 공중에서 체공할 수 있는 스킬을 적극 활용하자.










- 일렬 전자 폭풍

모락스가 양팔을 옆으로 벌리거나 혹은 앞으로 세우며, 해당 방향으로 일정 범위에 걸쳐 전자 폭풍을 쏘아보낸다. 팔의 방향에 따라 가로 혹은 세로로 쏘아지는데, 범위 안에 들게 되면 무한 경직과 큰 피해를 입게 되니 주의하자.

보스 바로 옆에 붙으면 공격이 닿지 않으나 범위가 매우 좁아 조금이라도 잘못 움직인다면 대미지를 받게 된다. 확실하게 피하기 위해서는 점프 연계 스킬을 사용하여 공중으로 피신하는 것이 좋다.

또한, 차원압 3단계부터는 전자 폭풍의 범위가 아니더라도 캐릭터를 자동으로 추격하여 공격하는 웨이브 패턴이 추가되는데, 이럴 경우 일정 높이 이상의 점프 및 빠르게 움직이는 돌진 계열 스킬로 회피해야한다.













- 기합 지르기

순간적으로 푸른 파장을 몸에서 발산하여 주변의 캐릭터를 튕겨낸다. 대미지는 크지 않으나 순간적으로 경직 및 날리기 피해를 입기 때문에 이후 연속해서 들어오는 패턴을 조심해야 한다.







- 유도 레이저 연속 발사

캐릭터에게 타게팅 마크가 생긴 후, 유도 레이저가 나타나 공격하는 패턴이다. 자동으로 추격하는 스킬이지만 타겟 마크가 나타난 직후 빠르게 자리를 피해주면 대미지를 받지 않는다.

유도 레이저는 총 3회 연속 발사되며, 최초 레이저는 저스트 회피로 피했다면 이후 들어오는 레이저는 모두 무적 판정으로 회피가 가능하다.

다만 맵이 전체적으로 붉은데다 타게팅 마크 역시 붉은색이기 때문에 다른 스킬 효과에 잘 안보이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 하자.







- 포위형 결계 소환

모락스가 양 팔을 크게 벌린 후, 캐릭터를 기준으로 네 방향에 걸쳐 거대한 벽이 소환된다. 그리고 빠르게 거리를 좁히면서 마지막으로 캐릭터를 가두고 즉사 대미지를 입힌다.

벽 자체에 밀어내기 및 경직, 대미지가 존재하며 벽의 높이가 매우 높기 때문에 점프나 돌진 계열 스킬로 빠져나갈 수 없다.

가장 정석적인 회피법은 벽이 소환된 이후, 모서리 끝에 벽이 닫히지 않는 부분으로 달려나가 회피하는 것이며, 갇히게 된다면 강제캔슬을 통해 무적 상태를 활용하여 빠져나가도록 하자.

또한, 차원압 5단계 이상부터는 벽이 추가로 소환되므로, 하나의 벽을 피했다고 안심하지 말아야하며, 추가로 유도형 레이저 공격도 들어오니 재빠르게 판단해 움직여야 한다.













- 격자무늬 전자 폭풍 및 유도 레이저 공격

모락스의 몸체가 뒤로 사라지면서 가로 혹은 세로로 사용하던 전자폭풍을 격자무늬로 교차시켜 동시에 맵 전체에 일으킨다.

피할 수 있는 범위가 좁은 탓에 처음 위치를 잘못 잡는다면 그대로 폭풍에 휘말릴 가능성이 있으며, 이외에도 해당 패턴이 유지되는 동안 단발형 유도레이저가 캐릭터를 끊임없이 쫓아다녀 피해를 입힌다.

가장 안전하게 피하는 방법은 격자무늬 사이의 빈틈을 미리 파악한 후, 패턴 동안 가만히 서 있는 것이며, 다른 방법으로는 공중에서 오랫동안 체공할 수 있는 스킬을 활용하는 것이다. 단발 유도 레이저의 경우 대미지가 강한 편이 아니니 무시하도록 하자.










- 공간 압축 후 대폭발

차원압 3단계 이후로 등장하는 패턴으로 모락스가 자신의 아래쪽에 주변의 캐릭터를 빨아들이는 거대한 보랏빛 구를 소환한 후, 잠시 뒤 화면 전체에 즉사 피해를 입힌다.

즉사기인만큼 일반적인 방법으로 피하기란 매우 까다로우며, 빨려들어가지 않도록 아슬아슬한 거리를 유지하다가 보랏빛 기운이 구에 빨려들어가는 모습이 보일때 저스트 회피로 살아남아야한다.

만약 저스트 회피에 성공할 자신이 없다면, 그냥 마음 편하게 구 근처로 들어가 경직을 받은 뒤, 강제 캔슬로 다운을 유도하자.

단발로 즉사 대미지를 입히기 때문에, 물약으로도 살아남을 수 없으니 되도록 강제 캔슬을 아껴놓을 수 밖에 없다.









■ 공략 포인트

등장한 맵 가운데에서 위치를 고수하는 고정형 보스 몬스터로 제자리에서만 공격하기 때문에 캐릭터의 스킬을 맞추기가 쉽다.

또한, 덩치도 큰 편으로 대부분 스킬을 연게하기 쉬우며, 패턴은 즉사 및 유도 패턴이 있다는 점만 제외한다면 공략이 어렵지는 않다.

다만 즉사 패턴 중 공간 압축 후, 폭발 패턴은 일반적으로 피하기란 어려우므로 강제 캔슬 스킬을 최대한 아껴놓는 것이 좋다.

포위형 결계 소환은 캐릭터의 이동속도가 어느 정도 필요하므로, 미스틸테인이나 이슬비일 경우 미리 자리를 잡고 있거나, 이동속도 증가 옵션을 활용하자.

그리고 모락스의 왼쪽에서 공격하면 백어택 판정을 무제한으로 받을 수 있으므로, 큰 대미지를 입히는 스킬을 사용할때는 반드시 왼쪽에서 공격한다면 더욱 빠른 속도로 처치할 수 있다.


■ 공략 영상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