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완전히 달라지는 하스스톤 e스포츠! 블리자드, '하스스톤 마스터즈' 2019년 계획 공개

게임뉴스 | 박태균 기자 | 댓글: 27개 |
자료제공 :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는 자사의 첫 스마트폰 게임이자 인기 디지털 카드 게임인 하스스톤의 e스포츠에 2019년 대대적인 변화를 적용, 3단계로 구성된 신규 시스템명을 ‘하스스톤 마스터즈(Hearthstone Masters)’로 확정하고 세부 계획에 대해 공개했다.

‘하스스톤 마스터즈’ 프로그램은 온라인 예선전(Hearthstone Masters Qualifier)과 오프라인 행사인 ‘하스스톤 마스터즈 투어(Hearthstone Masters Tour)’, 그리고 최상위 단계인 ‘하스스톤 그랜드마스터즈(Hearthstone Grandmasters)’의 3단계로 구성된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하스스톤 챔피언십 투어(이하 HCT)는 4월에 개최되는 HCT 월드 챔피언십과 함께 막을 내리게 된다.

하스스톤 마스터즈 대회에 참가하기 위한 첫 단계인 ‘하스스톤 마스터즈 예선전’은 누구나 원하는 시간에 출전할 수 있도록 온라인으로 열리며, 수년간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와 함께 일해온 글로벌 플랫폼인 배틀파이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진행될 예정이다. ‘하스스톤 마스터즈 예선전’에서 우승을 하는 선수들은 오프라인으로 개최되는 하스스톤 마스터즈 프로그램의 2단계인 ‘하스스톤 마스터즈 투어’에 초청된다. 또한, ‘하스스톤 마스터즈 예선전’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상위권 선수들에게 하스스톤 카드 팩을 보상으로 증정한다. ‘하스스톤 마스터즈 예선전’ 등록 기간은 예선전이 시작되는 날짜를 기준으로 2주 전부터 진행되며, 첫 번째 토너먼트는 3월 5일(이하 별도 언급 없는 경우 태평양 표준시 기준)에 시작될 예정으로 한국 시간으로는 금일 오전 11시부터 배틀파이에서 참가 신청 등록을 할 수 있다.

또한, ‘하스스톤 마스터즈 투어’에 출전할 수 있는 자격 범위를 넓혔다. 하스스톤 등급전에 전력투구하는 플레이어들을 위해 ‘하스스톤 마스터즈 예선전’이 진행되는 시즌 중에는 매달 정규 등급전 상위권 순위를 공개할 예정이다. 월말 성적을 기준으로 상위 200위 안에 드는 플레이어들은 ‘하스스톤 마스터즈 예선전’과 동일한 규칙에 따라 진행되는 온라인 ‘등급전 예선전(Ranked Ladder Qualifier)’에 초청되어 대결을 하게 되며, 상위 4명의 선수는 차기 ‘하스스톤 마스터즈 투어’에 초청을 받게 된다. 이외에도 ‘하스스톤 마스터즈 투어’ 출전 자격을 다각화했다.

■ 2019 하스스톤 마스터즈 투어’ 출전 자격
- 온라인 ‘하스스톤 마스터즈 예선전’ 우승
- 온라인 ‘등급전 예선전’에서 4위 이내 등극
- 라이선스를 획득한 제3자 주최 토너먼트를 통해 초청장 확보
- 이전 ‘하스스톤 마스터즈 투어’ 대회에서 최상위 성적을 거둔 선수
- ‘차이나 골드 시리즈(China Gold Series)’를 통해 출전권 획득
- 최소 120점의 하스스톤 경쟁 점수를 확보하며 까마귀의 해 마무리

올해의 첫 ‘하스스톤 마스터즈 투어’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위치한 링크 호텔(LINQ Hotel)에서 6월 14일부터 16일까지 사흘간 개최될 예정이다. 선수들은 스위스 라운드와 엘리미네이션 라운드를 거치며 총상금 미화 25만 달러는 물론, 하스스톤 그랜드마스터라는 이름이 어울리는 실력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한편, 미화 25만 달러의 총상금 규모는 더 증가할 수 있다. 하스스톤 팬들이 직접 하스스톤 마스터즈를 지원하고 멋진 게임 내 아이템을 누릴 수 있도록 올해 안으로 기간 한정 e스포츠 묶음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해당 묶음 상품의 판매 수익 일부는 2019년에 예정되어 있는 3회의 ‘하스스톤 마스터즈 투어’ 대회 상금에 배분될 예정이다.

미국 라스베이거스를 시작으로 아시아와 유럽에서도 ‘하스스톤 마스터즈 투어’가 열릴 예정이며, 개최 장소와 일시는 각 예선전 시즌이 시작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적어도 2주 전에 발표할 예정이다. 2020년에는 더 많은 지역에서 ‘하스스톤 마스터즈 투어’를 개최할 계획이다. e스포츠 묶음 상품과 하스스톤 e스포츠의 가장 상위 단계로 볼 수 있는 ‘하스스톤 그랜드마스터즈’에 대한 출전 자격 기준을 포함한 자세한 내용은 추후에 공개될 예정이다.

기존 HCT 시스템에서 사용된 정복전 대신 앞으로 새롭게 소개하는 스페셜리스트(Specialist) 대회 형식이 사용될 예정이다. 이 형식에서는 선수들은 하나의 직업을 선택하여 카드 덱을 3개 제출하게 되며, 덱 하나를 기본 덱으로 지정하고 나머지 두개를 각각 2차, 3차 덱으로 지정해야 한다. 2차와 3차 덱에는 기본 덱과 다른 카드를 최대 5장씩 포함할 수 있으며, 기본 덱에 같은 카드가 두 장 중복되는 경우 카드 두 장으로 간주된다. 각 경기의 1차전은 기본 덱으로 플레이해야 하며, 2차전 이후부터는 기본 덱을 유지할지 아니면 2차 또는 3차 덱으로 변경할지 선택권이 주어진다. 2차, 3차전을 위한 덱 선택은 각 게임의 시작과 동시에 결정되며, 상대편 플레이어에게는 어떤 결정을 내렸는지 공개하지 않는다. 모든 ‘하스스톤 마스터즈 예선전’과 ‘등급전 예선전’은 3전 2선승제로 진행되며, ‘하스스톤 마스터즈 투어’ 이벤트도 5전 3선승제로 진행되는 결승전을 제외하고는 모두 3전 2선승제다. 또한, 하스스톤 e스포츠 시청자와 대회 참가자들의 피드백을 수용하여 공식 대회에 메모 필기를 허용하는 등 일부 변화를 적용했다.

오늘 발표된 새로운 ‘하스스톤 마스터즈’ 프로그램에 세부 내용은 하스스톤 공식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댓글(27)

새로고침
  • 똘아이1호19-02-22 11:25
    신고|공감 확인
    야생 다 가고 카드없어서 될까 저거 특정덱만 계속 나오고 개노잼될듯
    답글
    비공감0공감 1
  • Erehevael19-02-22 11:56
    신고|공감 확인
    대회에 무난한 덱 3개만 나오겠다 쩝
    답글
    비공감0공감 1
  • 캡틴리드19-02-22 14:54
    신고|공감 확인
    3개 덱도 아니고 1개 덱임. 나머지 두개는 다섯장 테크카드만 커스텀 하는거라서.
    답글
    비공감0공감 1
  • 하나의꿈19-02-22 12:21
    신고|공감 확인
    출시된지 5년넘게 제대로된 인게임 옵저빙 시스템도 없는 겜이 이스포츠는 개뿔
    답글
    비공감0공감 2
  • 하나의꿈19-02-22 13:23
    신고|공감 확인
    상식적으로 경기당 최소 3직업3덱 나오는 정복전보다
    카드 5장씩 다른 1직업1덱이 재미있을까?. 이제 진짜 히오스따라 관짝갈듯
    답글
    비공감0공감0
  • Vlue19-02-22 13:28
    신고|공감 확인
    매칭에 따라서 서로 머리싸움하고 변형덱 준비한걸로 카운터치면 그냥 정복전보다 훨씬 재밌을수도 있을거같아요. 상대방 메카툰 덱같은거 보고 학카르를 넣은 변형덱으로 다른 두판을 잡아내거나 하면.
    답글
    비공감0공감 1
  • Vlue19-02-22 13:31
    신고|공감 확인
    홀방밀vs메카툰흑마 만나서 홀방밀이 변형덱에서 바쿠 빼고 학카르 써서 이기고 담판에 흑마가 외눈깨비 커스텀덱을 들고 이긴다거나 하면 보는맛이 있을듯
    답글
    비공감0공감0
  • Vlue19-02-22 13:23
    신고|공감 확인
    결과적으로는 한 직업 한 덱으로만 싸우는 건가? 최대 5장커스텀한 저격용 덱 2개 추가로 준비하고. 선수들 입장에서도 편하긴하겠네. 저격덱 먹혀들어가는 그림도 재밌겠고. 확팩 개판나면 보이는 직업만 보일 수도 있으려나. 한 직업이면 밴픽같은건 없는건가? 아니면 처음부터 2직업x3덱 준비하고 서로 하나빼기일 하는것처럼 한 직업 골라서 싸우는 식일수도 있나.. 준비된 덱 아키타입이야 결국 5장으로 바뀌기 힘드니까 한직업만 준비하면 극상성 만나서 커스텀이고뭐고 그냥 끝나는 재미없는 그림 나올 수도 있을텐데 랭크 운빨처럼.
    답글
    비공감0공감 1
  • BALup19-02-22 14:48
    신고|공감 확인
    그 다른카드게임 할때 사이드보딩 그런얘기나오던데 그거랑 머가다른건가여?
    답글
    비공감0공감0
  • 반달고미19-02-22 15:39
    신고|공감 확인
    완전히 같은거 아닐까요
    그 사이드 보딩이 상대방에게 공개되느냐 안되느냐의 차이일 뿐일듯
    답글
    비공감0공감0
  • 정신병19-02-22 17:17
    신고|공감 확인
    베틀파이 링크있으신분있나요? 예선은 아무나 참가가늘한가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닭장19-02-22 17:19
    신고|공감 확인
    망겜됫네ㅋ 겜접는다ㅋ
    답글
    비공감 1공감0
  • 아멜리스19-02-22 19:39
    신고|공감 확인
    씹노잼 룰같은데 저렇게 머리를 못쓰나
    답글
    비공감0공감0
  • 퐁10719-02-22 20:05
    신고|공감 확인
    이거 시간대도병신같은게  수요일아침 목요일아침 이지랄로해놨음 ,금토일도있지만

    저녁도아니고 아침에 ㅋㅋㅋㅋㅋㅋㅋ
    답글
    비공감0공감0
  • Rkanto19-02-22 20:54
    신고|공감 확인
    미리 노잼이다 어쩌다 할필요 잇나?
    재미 없으면 알아서 망하겟지.. 
    재미 잇으면 알아서 흥하겠고.
    답글
    비공감0공감0
  • 으랏샤19-02-23 00:22
    신고|공감 확인
    븅신들인가? 안그래도 냥꾼 사제 다 밴하는 마당인데 
    사기덱 하나 나오면 모든 참가자가 모두모여 다같이 한덱만 죽어라 하겠네 븅신겜 ㅋㅋ 블리자드 진짜 뇌가 없는거같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으랏샤19-02-23 00:23
    신고|공감 확인
    차라리 2차, 3차덱을 포함한 3덱 1직업으로 9개직업 전부 제출하라고 해서 4밴후 5개중에 3개선택 이러면 말이되지 ㅋㅋ 설마 1선수당 1개직업만으로 대회한다고?ㅋㅋㅋ
    답글
    비공감0공감 1
  • 바나오렌19-02-23 16:51
    신고|공감 확인
    박제가 사라지는건 아니네
    200박이 다 평등하니까 예전보단 덜 스트레스이긴 하지만
    답글
    비공감0공감 1
  • 그러나그러나19-02-24 17:23
    신고|공감 확인
    등급전에 반영되면 좋을듯... 상대 직업보고 2~3덱으로 변경할수 있도록.. 그럼 완전 가위바위보 싸움보다는 나아지지않을까?
    답글
    비공감0공감0
  • 가입1a19-02-24 18:30
    신고|공감 확인
    이거 메게더에서도 쓰이는 시스템인데 거기는 직업이 없다는 것부터 알아야함, 그리고 커스텀 가능한 카드도 10장임
    답글
    비공감0공감0
  • 어보미네이션19-05-20 17:24
    신고|공감 확인
    매직15장입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운도형밴드19-02-24 23:18
    신고|공감 확인
    변화에 잘 적응하는것이 가장 오래 살아남는다고 한다.
    과거의방식에 연연하며 불만을 말하든
    아니면 변화를 받아들여 거기에 맞게 최적화하든 자기마음이지만
    확실한것은 변화에 적응하기로 결정하는것이 느리고 불만을 토로하는시간이 길어질수록
    본인만 더 힘들어질뿐이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운도형밴드19-02-24 23:21
    신고|공감 확인
    살아보니깐 쉬운것 하나없더라
    하지만 때론 보너스처럼 찿아오는것들도 있는 법이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운도형밴드19-02-24 23:24
    신고|공감 확인
    힘내라는뜻이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보노보노8319-02-24 23:30
    신고|공감 확인
    맞는 말이지 친일파가 오래 살아남는 것처럼
    답글
    비공감0공감0
  • 아이유가짱19-02-26 08:37
    신고|공감 확인
    4개직업 4개의덱에서 4개직업 12개의덱으로 바뀐게 아닐까?
    답글
    비공감0공감0
  • 니뇨뇻19-03-03 00:57
    신고|공감 확인
    이번달에200박해야신청할수있는거임?
    답글
    비공감0공감0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4 5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