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샤오무 님의 '단봉 평타 이속 매그너스' 공략

게임뉴스 | 전세윤 기자 | 댓글: 1개 |
안녕하세요. 영원회귀: 블랙서바이벌 포럼입니다.

지난 1월 경 진행되었던 '영원회귀 공략왕 이벤트'를 통해 다양한 게이머 분들께서 자신만의 노하우가 담긴 소중한 공략을 올려주셨습니다.

인벤에서는 공략왕 이벤트에 참여해 주신 게이머 분들의 공략을 좀 더 보기 편하게 가공하여 소개해 드릴 예정입니다. 또한 해당 공략은 원본을 표기하기 위해 작성자분들의 게시물 원본 링크와 제목, 작성자분의 닉네임을 함께 기재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 샤오무 님의 '단봉 평타 이속 매그너스' 목차

※ 목록을 클릭하면 해당 위치로 이동합니다.



1. 인벤 기자가 전하는 이모저모



2. 서론



3. 스킬 마스터 순서



4. 중후반 장비 교체



5. 재료, '깃털' 제작방법



6. 마치며



제목: 단봉형 평타기반 이속 매그 (단봉은 무조건 이속이 답)

■ 작성자: 샤오무 님
링크: https://www.inven.co.kr/board/er/5684/264 (바로가기)


1. 인벤 기자가 전하는 이모저모
웃음벨 꿀잼 매그너스

TOP





"하루종일 보물찾기군." "이 매그너스 님이 간다!", 이런 소리가 들려올 때마다 무심코 뿜고 맙니다. 너무 재밌습니다. 이젠 존재 자체만으로도 웃깁니다. 처음 매그너스를 봤을 때만해도 이러진 않았는데 요즘은 꽁무니 빼면서 오토바이 타고 도망치는 사진만 봐도 웃깁니다. 이젠 그냥 얼굴만 봐도 웃깁니다. 17 대 1 스킬을 사용해 탑블레이드처럼 공격하는 것도 웃깁니다.

아래의 공략을 작성해주신 유저 '샤오무' 님의 '단봉 매그너스' 공략은 루트와 간략한 캐릭터의 사용법, 스킬 마스터 순서 및 중후반에 갈아끼워야 할 장비까지 세세하게 적힌 공략이다.

지금부터 유저 '샤오무' 님이 작성한 매그너스 공략을 살펴보도록 하자.


2. 서론
루트 순서와 함께 하는 이속 매그 설명

TOP




루트 순서
병원
연못
번화가
학교
골목길

평타를 기반으로 한 이속형 매그너스다. 단봉은 사실상 아래 해머 파생형의 '스파이의 우산'을 겨우 쓰는 세팅이 아니고서는 보통은 '여의봉 + 용의 도복'을 활용한 사거리 매그다. 하지만 무기를 기본적으로 '포스 코어'씩이나 소비해야 되는 전설급 장비기 때문에 파밍도 어려워 차후 포스 코어가 남는다는 가정하에 용의 도복은 시체 파밍이나 보급상자로 먹고 여의봉을 제작하는 것을 추천한다.

본론으로 돌아가서 왜 이동 속도냐면 개인적으로 딜로스가 공격 속도보단 이동 속도 세팅이 훨씬 적다. 공격 속도 세팅도 물론 기본 이동 속도가 높긴 하나, 원거리 딜러가 이동기를 사용해서 이를 쫒아가 잡을려면 정말 답답할 때가 많다. 결국 후반에 갈 수록 맞다가 죽는 비중이 허다했다.

그런데 이동 속도 세팅으로 바꾸면 공속이 조금 줄지만 이속이 조금 늘어나게 되고 이 조금의 차이가 후반에는 엄청 큰 차이를 낸다. 특히, 스턴을 걸 때 늘 왼쪽 벽을 신경써줘야 하는데 이속만 빠르면 벽 위치에 상관없이 빠르게 이동해서 벽으로 박아버리면 된다.


3. 스킬 마스터 순서
W는 찍지 않는 것이 포인트

TOP


스킬 마스터 순서 (솔로)


E


R


Q


패시브


스킬 마스터 순서 (듀오/스쿼드)


Q


R


E


패시브

스킬 마스터의 경우, 공통적으로 W스킬은 찍지 않는다. 딜로스가 너무 나니 절대 금지다. 솔로인 경우에는 지속적인 1:1 상황 대응을 위해 E스킬을 우선 마스터한다. 듀오/스쿼드에서는 반대로 Q스킬이냐 E스킬이냐는 취향 문제지만 개인적으로는 견제용을로도 그렇고 초반에 파밍이 덜 되었을 때를 가정해 Q스킬 마스터를 우선시 한다.


4. 중후반 장비 교체
부위별로 설명한 장비 교체법

TOP


장비 교체는 레어 재료를 파밍할 때,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




미스릴








1순위: 미스릴 방패
2순위: 미스릴 갑옷
3순위: 미스릴 투구




VF 혈액 샘플






1순위: 변검
2순위: 분홍신




포스 코어






1순위: 헤르메스의 부츠
2순위: 리모트 마인

부위별로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 머리 : 변검 > 미스릴 투구 > 기사단장의 투구
- : 미스릴 방패
- 다리 : 헤르메스 부츠 > 미스릴 부츠 > 분홍신 > 경량화 부츠
- 갑옷 : 미스릴 갑옷 > 집사복


5. 재료, '깃털' 제작방법
깃털이 다섯 개!

TOP








파밍 루트에서 무려 깃털을 다섯 개나 먹어야 해서 걱정이 많은 분들도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사실 내가 루트를 사용할 땐 깃털을 세 개 정도만 먹는다. 나머지 2개는 늑대나 맷돼지를 지속적으로 잡아 '먼지털이개'와 깃털을 드랍하는 것을 기다리는 용도다. 맷돼지에서 깃털이 나오는 것도 그렇고, 늑대에게서 먼지털이개가 나오는 것도 그렇고 의외로 자주 나오는 재료다.

그러니 파밍 망했다고 몇 바퀴나 돌면서 시간을 허비하지 말고 세 개 정도 먹었다 싶다면 다음과 같이 맞춰주면 된다.

- 1순위 : 무기
- 2순위 : 머리
- 3순위 : 신발
- 4순위 : 옷
- 5순위 : 장신구

장신구보다 옷이 우선순위인 것은 집사복을 적들이 잘 입지 않아서기 때문이다. 반면 궁기병의 화살통은 자주 쓰이는 장신구다. 후에 상위용 장비를 만들 시, 교체해서 버리는 분들도 많아 버리는 빈도도 자주 있는 편이다. 신발보다 머리가 우선순위인 것은 어디까지나 머리를 만들지 않으면 인벤토리 압박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6. 마치며
이속의 세계에 빠져보세요

TOP


공격 속도를 올려서 연타를 넣어보거나 공격력을 올려 한 방의 위력을 높여봤자 아웃복싱일 뿐이다. 즉, 많이 맞게 되는 적들도 서서 맞아만 주는 것이 아니다. 적들이 아웃복싱을 하는 것을 가정하면 그보다 우위에 있는 속도로 제압해주면 된다. 그렇다고 이 세팅이 공격 속도가 느린 것도 절대 아니다. 다들 이속의 세계에 한 번 빠져보는 것을 추천하며 이만 글을 마친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