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정보] 가상 메모리 ON, OFF에 따른 프레임타임 분석

자몽이42
댓글: 5 개
조회: 1436
추천: 4
2024-05-30 00:04:03
일단 먼저 가상 메모리 ON, OFF 하는 방법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윈도우 키 눌러서 '고급 시스템 설정 보기'를 검색해서 실행합니다.


그리고 '고급' 탭의 성능 - 설정을 클릭합니다.


그 다음 '고급' 탭으로 가서 가상 메모리 란의 변경을 클릭합니다.


원하는 드라이브를 선택하셔서 가상 메모리 ON을 하고 싶으시면 사용자 지정 크기 클릭 후 처음 크기와 최대 크기를 지정하신 후 설정을 클릭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가상 메모리 OFF을 하고 싶으시면 페이징 파일 없음을 클릭 후 설정을 클릭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테스트 장소: 엘비아 귄트
테스트 방법: 10분 동안 프레임타임 측정을 여러번 테스트(10분 동안 기가고드 같은 보스가 딱 1번 등장한 경우만 해당)
테스트 옵션:
해상도: UWQHD (3440*1440)
옵션: 높리마 + FSR Ultra-Quality
세부 옵션: FXAA + SSAO

테스트 결과
1. 평균 FPS 및 1%, 0.1% FPS


(1) 가상 메모리 ON의 경우 평균치
    평균 FPS: 367.4
    1% LOW FPS: 170.5
    0.1% LOW FPS: 68.76

(2) 가상 메모리 OFF의 경우 평균치
    평균 FPS: 368.2 (+0.2%)
    1% LOW FPS: 173.7 (+1.9%)
    0.1% LOW FPS: 71.6 (+4.1%)

평균 FPS은 0.2% 차이이므로 오차 범위 내입니다.
1% LOW FPS은 1.9% 차이, 0.1% LOW FPS은 4.1% 차이인데, 이 부분도 차이가 크진 않기 때문에 오차 범위 내인지 가상 메모리 OFF에 의한 효과인지는 불분명합니다.

2. 프레임타임 분석 


위 데이터를 보는 방법은, 영역이 >12ms, <12ms, <8ms 이렇게 나누어져 있는데요, >12ms이 의미하는 것은 프레임 연산 시 프레임과 그 다음 프레임 사이가 순간적으로 12ms 이상 걸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흔히 뚝 끊기는 부분이 여기에 해당할 것으로 보구요.

그 다음, <8ms 와 <12ms 영역은 0.01초 정도 화면이 멈추는 것 의미하는데 티가 나게 뚝 끊기기보다는 마이크로 스터터링처럼 아주 살짝 끊긴 부분을 의미한다고 봅니다.

위 그래프를 봤을 때 가상 메모리 OFF일 때가 <12ms와 <8ms 영역이 확실히 적습니다만, 스터터링에 대한 결론은 각자 의견이 다양하므로 개인의 판단에 맡기겠습니다.

3. 프레임타임 그래프 분석
(1) 가상 메모리 OFF





(2) 가상 메모리 ON






위 그래프들은 각각 10분 측정하는 동안 프레임 타임이 언제 발산했는지(=언제 스터터링이 발생했는지)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그래프를 보시면 가상 메모리 ON일 때 빨간색 원으로 표시한 것처럼 프레임이 노이즈처럼 살짝 튀는 구간이 생겼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가상 메모리 OFF로 인해 자잘하게 튀는 부분이 줄어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만, 이것이 마이크로 스터터링 감소로 이어질지는 각자의 판단에 맡기겠습니다.

참고) 램 용량이 적을 때 가상 메모리 OFF을 하면 시스템 불안정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한, 프로그램에 따라서는 가상 메모리를 우선적으로 쓰는 경우도 있기에 OFF만으로도 특정 프로그램은 불안정해질 수도 있습니다.

Lv58 자몽이42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검사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