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잡담] 끝까지 거점 죽같이 패치해봐

아이콘 캐닛
댓글: 20 개
조회: 3714
추천: 25
비공감: 1
2024-06-15 21:52:28
끝까지 글 쓸라니까...

(또 거점 관련 내용입니다 관심 없는 분들에게 죄송하고 관심 있는 분들만 한번 읽어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_ _) 거점 노관심 분들은 뒤로가기 눌러주세요 죄송합니다 ;ㅁ;)



이번 6/14 연구소 업데이트 사항 중 거점전 내용에 건의할 사항이 있어 글 씁니다.

 
요약을 다음 사진과 같이 잘 해주셨는데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최대 참여 인원의 30%가 아닌 50% 이상으로 설정해야 하며,

성채 생성 규칙도 지키지 못한 길드는 아예 거점전에 참여가 불가능해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8:45pm에는 현재와 같이 참여를 누른 모든 길드들이 거점전 목록에 뜨고, 8:55pm에 최소 참여 인원을 달성하지 못한 길드는 추방하는 것을 건의합니다.

 
 
하나하나 자세히 설명해보겠습니다.
 

1. 왜 최소 참여 인원이 50%는 넘어야 하는가?

 
 
아마 이 해외 거대 알박이 카르텔 문제 때문에 이번 업데이트를 준비하신 것 같습니다.
(한국섭은 다행히 신거점 패치 이후 저 정도 규모의 알박 카르텔은 본 적이 없습니다. 한섭은 알박 자체가 별로 없습니다.)
 
 
NA/EU 스트리머 Blue_squadron님이 보여주신 거대 알박 카르텔 모집 공고문입니다.
 
요약하면 최소 참여 조건(100킬/데스와 1성채 점령)만 달성하고 참여보상을 얻고 나가자는 겁니다.
여기에 심지어는 알박 카르텔의 규모가 커질수록 몇몇 길드는 거점 점령 보상까지 획득할 수 있습니다.
 
거점 시스템을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예를 들어 보자면,
칼페온 영지에 거점길드 3길드와 알박길드 10길드가 들어오면 칼페온 영지에 성채가 총 6개가 지어집니다.
진짜 거점 길드 3길드가 모두 성채를 점령하더라도 3개나 성채가 남습니다.
그럼 알박 카르텔 쪽에서 3개의 성채를 먹는 게 가능합니다.
 
 
이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는 1성채 점령조건은 의미가 없어집니다.
 
칼페온에 거점길드3개, 알박길드10개가 들어왔을 때 나머지 3개의 중립 성채를 10개의 알박이 길드들이 차례로 먹으면서 점령조건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100킬/데스요? 길드당 10분도 안 걸릴껍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거점참여버프를 48시간으로 만들어 주신 덕에 보상을 원하는 더 많은 유저들이 알박카르텔에 가입할 것이고, 규모가 커질 수록 알박카르텔에서 가져가는 성채 수도 많아집니다. 이틀 단위로 남은 성채를 돌려먹기까지 가능해집니다. 
 
 
자 그럼 이 상황에서 30%의 최소 참여 인원이요??
 
얌비얌님의 디코 스샷에서 각 길드의 인원 수 입니다. (? 는 연맹인가 보네요 연맹이라면 최소참여인원 맞추기가 더 쉽겠죠)
 
Opposite 12 / Odyllita 98 / Conquer ? / Erathia 90 / suiren 34 / lifechills 94 / feeltheFEAR 54 / Envy 1 / Necrotic 99 / Night_Shade 100 / NovusOrda 56 / Clarity 100 / XXggdrasilX 81 / MoonFire 83 / Approved 79 / Buffs 91 / BugCat 94 
 

그럼 칼페온&카마실비아 최소 참여인원 22명(30%)를 달성 못할 길드가 몇개인가요??

 

인원이 10명 정도 나오는 길드도 2~3길드만 연맹해서 참여해도 30%는 충분히 넘을 수 있습니다.

 

이것이 첫 번째 이유입니다. 최소 참여 인원은 최소 50%를 넘어야 합니다. 

 
 
 
솔직히 제 생각으론 예전에 건의했던 70%로 설정해도 무리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스트리머 합랑님도 제 글을 보시고 이건 좋다고 반응하셨구요.
 
(https://chzzk.naver.com/video/1770573 6:36:25 보시면 됩니다)
 
 
50%를 이번에 건의하는 이유는 75명 최대 참여 거점에 50명이 참여하든, 60명이 참여하든 승패를 떠나 길드의 자유로운 선택권이 보장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알박이를 방지하기 위해 최소 50%의 인원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거점 영지별 인원 수 입니다.
 
 
75명의 50%인 37명도 못 채우는 길드/연맹이라면 메디아 영지를 가는게 맞지 않겠습니까?
 
 
----------------------------------------------------------------------------------------------------------------- 
 
 
두 번째 이유는 거점 시스템의 문제로 인한 거점 유저들의 박탈감입니다.
 
예를 들어 메디아 영지에 3길드가 참여했는데 A,B 길드는 50명 풀인원, C 길드는 15명(최대 참여 인원의 30%)이 ? 성채 하나를 두고 경쟁하는 상황을 가정했을 때,
 
A와 B 길드에서 단순하게 "15명밖에 없는 C길드가 운좋게 막타 먹고 성채를 점령하는 게 짜증나요!!" 라고 하는 것이 아닙니다.
 
위의 예시에서 거점전이 진행되면 성채 체력에 주로 타격을 줘야 하는 쪽은 A와 B 길드이며
C 길드는 절대 주도적으로 거점전을 플레이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성채 막타 타이밍에는 C 길드와 경합해야 하는 이상한 시스템입니다.
이 상황에서 C 길드가 거점을 점령하고 끝난다면 A, B 길드는 어떤 마음일까요? 이 길드들은 뭐 때문에 성채 피를 깎았나요?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거점 참여 인원 수는 길드의 자유도 보장해야 합니다. 하지만 "건강한" 거점전을 위해서
결국에는 100% 인원이 거점에 참여해서 클래스를 구성하고, 전략을 짜면서 거점전에 참여해야 합니다.
(여기서 "건강한"이란 길드 단위의 노력과 협동과 승리, 또 점령전, 월드 거점전을 향하는 도전 의식과 길드의 성장 동기가 되는 거점전)
 
따라서 위의 상황 때문에 거점 길드는 자체적으로 성채와 상대 전진 기지에 유효타를 입힐 수 있는 70% 이상의 인원이 필요하다는 것이고, 그래서 최소 인원을 50% 이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2. 거점전에는 동일하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진짜 열이 받아서 한 마디 하고 시작하자면 이런 생각은 어떻게 하실 수 있는지 대단하십니다. 정말 A를 요구할 때 B, C 해주는 그 기조와 고집은 진짜 고쳐지지를 않네요;;
 
첫 번째로 성채 건설 조건이 안되는데 거점전에 참여가 되는 게 말이 됩니까 일단..??
 
아무리 생각해도 '신거점 패치 이후로 거점 참여 인원 수가 늘었다' 를 보여주고 싶다는 의도밖에 안보이는데요
 
두 번째로 악용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A, B, C, D 4개의 길드가 참여하는 거점에 A길드가 B길드를 테러하기 위해 일부로 참여를 9시 5분 전에 누르면요..? 나머지 3길드는 뭐 때문에 한 성채를 4길드에서 놓고 싸워야 됩니까??
 
또 다음과 같은 악용도 가능합니다.
  
1. A, B, C 세 길드가 참여하는 거점에 A길드가 D길드를 섭외합니다.
2. D 길드에게 다른 한 길드의 불퇴의 깃발만 꼬장해달라고 하거나, 대충 B, C 아무나 보이는대로 죽이라고 사주합니다.
 
이렇게 되면 이미 공정한 거점전이 아니게 됩니다. 심지어 상대적으로 A길드가 가장 강할 때 D 길드에게 성채를 한번 점령시켜주면, D 길드는 PVP 재미만 보고 거점 참여 보상까지 챙겨 나갈 수 있게 됩니다.
 
 
 
아무래도 외국 알박 카르텔 때문에 이런 생각하신 것 같은데 위에서 설명드렸지만 못 막습니다 이런 패치로는.
 
 
 

3. 거점전 시작 15분 전 참여 인원 수를 집계한다.

 
아마 이 부분 때문에 30%라는 수치를 정하신 것 같은데 8시 45분에 거점 길드와 서버가 발표난 후 채널 이동을 하고 참여를 누르는 분들도 많이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참여 인원 수 집계를 45분이아니라 대부분의 거점 인원들이 참여를 눌렀을 시간인 55분에 하고, 최소치를 상향 조정하면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 
 
 
 
여기까지 글 쓰면서 든 생각이 참 디렉터 선생님이 화이트보드에 대학생이 하루 전에 과제하듯 스케치한 아이디어 가지고 보수하시느라 고생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100킬/데스 + 성채 1회 점령 + 성채 건설 조건 이렇게 3번의 알박이 방지 패치를 하셨는데 이번에도 알박이는 못 막을꺼 같습니다. 
 
한국 서버도 몇몇 길드가 모이기만 하면 48시간의 참여 보상 버프를 언제든지 획득할 수 있습니다. 메디아&발렌시아, 칼페온&카마실비아 두 영지는 일요일을 제외하면 거의 많아봐야 4길드거든요.
 
 
 

제가 건의하는 알박 방지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가 한달전에 건의했던 내용인데요 조금 보완을 해보자면, 최소 참여 인원 70%의 수치는 50%로 조정합니다.
 
 
현재 신거점은 ? 성채가 20분 이후 종료로 패치되었으므로, 이제 어떤 거점이든 최소 20분 이상 진행됩니다.
 
 
말씀하신대로 데이터를 잘 쌓으셨다면, 100킬/데스 1성채 점령의 단순한 조건 말고 20분동안 제대로 거점전을 진행했다면 달성할 수 있는 최소 수치를 설정해주세요. 또 10분 단위로 최소 조건을 설정해주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이 수치가 제대로 설정된다면, 1성채 점령 기준은 필요 없습니다.
억울한 거점 길드가 생기지 않게 해주세요. (40분 이상 거점을 열심히 하고도 성채를 점령하지 못해 참여 보상도 못 받는 길드)
 
 
 
그리고 최소 조건만 달성하고 거점을 이탈하는 인원들을 막기 위해 패널티 방안을 생각해주세요.
 
 
제대로 거점을 하는 길드는 성채를 점령해서 나가는 경우가 아니라면 마지막 성채가 끝날 때 까지 거점 지역을 이탈할 이유가 없습니다.
 
따라서 거점이 진행중인데도 채널을 이동하거나, 거점 지역 밖으로 나가는 인원은 다음 일주일동안 거점전 참여 자체를 제한해주세요. (게임에서 팅기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니 3분 이상 이탈 시 패널티 적용)
 
이런 인원들을 거점 참여를 제한시키면 그 길드는 점점 성채 활성화 조건을 달성하기가 힘들어질꺼고, 알박이 완화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여기에 1대1 구도는 밸런스가 박살나있어서 조금 더 강한 길드가 성채를 점령하고 있으면 약 길드 입장에서 성채를 1회 점령하는 것도 굉장히 버겁습니다. 따라서 1대1 상황에서는 패널티를 적용하지 말아주세요.
 
 
 
마지막으로 거점 시스템을 바꾸는 방법입니다.
 
(이 부분은 100% 제 생각입니다. 위의 강화된 참여 조건과 패널티 방안에 집중해주셨으면 합니다. 아래는 그냥 제 개인 의견)
 
아까 거점길드 3개, 알박이길드 10개의 예시에서 만약 거점길드가 성채를 2개씩 먹을 수 있다면 건설되는 총 6개의 성채 중 하나의 성채도 알박이길드 쪽에서 못 가져갈 수 있습니다. 
 
거점 길드에겐 2개의 성채 점령 시 많이도 필요없고 금괴 보상만 50% 추가 지급하면, 알박이길드 미는 건 일도 아닐껍니다.
 
그럼 알박이 길드 입장에서는 "우리가 성채 지어줘서 거점 길드에서 보상을 더먹네" 라는 생각을 하게 되고, 알박이를 안하게 유도되며, 패널티 방안까지 같이 적용한다면 정말 쉽게 알박이를 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그럼 한 길드에서 2개의 성채를 먹을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데, 예를 들어 성채 점령 시간이 긴 쪽이 거점전을 승리하는 구조로 만들고 최대 2개의 성채만 동시에 점령 가능하게 한다면 완전히 불가능한 방법은 아닙니다.
 
제대로 거점을 진행하고 있는 한국 서버같은 경우는 한 길드에서 2성채를 점령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부작용도 없을 것 입니다.
다만 발레노스&세렌디아 영지에서는 막타 거점을 좋아하는 분들도 계신 것 같으니 발노세렌 영지에는 현 시스템을 그대로 적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외국의 Choice 스트리머 분이 제시한 방법입니다. 200추가 넘었네요.
 
 
쉽게 요약하자면
1. 거점 최대 시간을 90분으로 늘린다.
2. 참여 길드의 33%의 해당하는 거점이 활성화된다. (단계 상관없는 완전 랜덤 거점)
3. 성채 점령 시 포인트가 누적된다.
4. 활성화된 노드는 15분마다 초기화되고, 새로운 위치의 거점이 활성화된다.
5. 포인트 순으로 거점 보상을 획득한다.
 
이런 식으로 거점이 진행된다면 90분동안 치열하게 거점을 진행해야 하며, 알박 길드를 가려내기 더 쉬울 것입니다. 
 
 
 
----------------------------------------------------------------------------------------------------------------- 
 

 

마지막으로 거점 유저들이 피부로 느끼고 있는 거점의 현 실태입니다.

 
1vs1은 밸런스 박살 / 1vs1vs1은 정형화된 거점 구도(전진 기지 건설 후 조금씩 부속 당기기) / N+ 거점은 해외 대형 알박 카르텔
 
아무리 열심히 참여하더라도 운이 나빠 성채를 점령하지 못하면 참여 보상도 못받는 거점
 
늘 했던 자리 거점만 반복해야 되는 자유도도 뺏겨버린 거점
 
다양한 직업군이 여러 전략적인 요소를 위해 캐릭 특징을 살리지도 못하는 한타 위주의 획일화된 거점
 
해외 유저들의 조롱거리로 전락한 검은사막만의 거점
 
 
 
재희 선생님 이렇게 놀림받고 계신데 정말 이대로 가실껀가요??...
 
 
 
제 건의글 피드백 게시판에도 간 소통하자는 글 논의하고 계시던데
 
 
정말 10년간 놓지 않은 검은사막의 키워드를 '소통'으로 정하셨다면 제발 내부에서 여러분끼리 토론하지 마시고 거점 유저들과 이야기해주세요.
 
그리고 해외 유저들도 왜 한국 유저들만 피드백을 받냐고 말씀하시던데 해외 거점 유저들의 반응도 제발 참고 부탁드립니다.

 

 BDO UN에서 진행했던 신거점 글로벌 피드백 영상과 내용 첨부하고 마무리하겠습니다.

 

     

    BDO UN 정리

     

    거점 변경에 대한 권역별 생각

     

    유럽 - 안좋다. 문제가 너무많음 14일 이내로 펄어비스에서 변화없으면 큰길드 3~4개 접는다고, 막타만 치면 이기니까 제대로 안싸워도 거점을 먹는다. 막타문제 유럽은 95% 반대, 5%가 바뀐 거점을 찬성.

    MENA(중동) - 카르텔이나 정치가 없어져서 좋음 막타거점 문제, 70% 반대, 30% 찬성.

    아시아(동남아,태국) - 잠수 거점 너무싫다 20분 싸우지도않고 끝나는거 싫다. 중간에 TFT하러간다. 기존에 슈퍼연맹 3개가 있었는데 그 안에 속하지못하면 참여가 불가능할정도였다. 근데 카르텔 없어져서 좋다. 아시아는 좋다고 한사람 보지못했다 (대부분이 부정적)

    북미(Czane 스트리머) - 재밌다. 즐기고 있다. 시스템에 따라 싸워야해서 좋다? 라고 함 거점전 보상 좋아져서 좋다.

    북미(블루 스트리머) - 북미 반응은 안좋다 70%가 반대, 30%가 찬성. 북미같은경우는 한지역에 길드가 25개 들어옴 (발레노스만 25길드) 그래서 렉이 너무 심하다.

     

    바뀐 거점전의 장점

     

    EU - 보상이 너무 좋다. 1단 거점 다니는 뉴비한테 좋다. 그냥 참여만하고 싸워도 되서 부담감없어 좋다.

    북미(Czane) - 끊임없이 싸워서 좋다. 잠수타는길드있으면 우리가 치러간다. 전에는 정치/카르텔때매 답답했다. 붉전같다.

    아시아- 매일 할수있어서 좋다. 슈퍼연맹한테 당하지 않아서 좋다. 근데 1시간이라 짧다.

    MENA - 정치없어서 좋다.

     

    바뀐 거점전의 단점

     

    북미(CZane) - 거점이랑 공성이 달라서 나중에 공성할때 문제가되는 길드 많을듯. 물음표 거점 싫다. (극대노) 53분에 끝나는거 싫다. 거점 알박 고칠지 모르겠다. 북미는 알박이 그렇게 많이 없는듯하다. 거점시간이 짧다. 모든 거점시간 10분정도 늘려달라.

    유럽 - 한거점에 8길드가 싸우면 정신없고 렉이 걸린다. 그냥 전략 없이 싸우고 다니다 마지막에 거점 먹으니 PVP길드들은 항상 쉽게먹는다. 막타치는거 시시하다. 거점전 시간 늘려달라. 1:1상황에서 성채 먼저 먹은 길드가 너무 유리하다.

    아시아 - 거점 최소 30분 이상 진행해야한다. 최대 1시간 너무 짧다. 발렌시아 디네 없으면 스폰 너무 개판인 지역이 있다.

    MENA - 전체적으로 의견 비슷함. 대포 다시 밸런싱해야한다. 화탑, 신기전 너무 피통큼. 성채 점령하면 주변 화탑, 신기전 파괴되야 한다. 나머지 의견은 비슷.

    블루 - 거점 주인 바뀌면 부속 터져야함. 거점하다 공성 넘어가는거 힘들 것 같다. 알박문제 특정 연맹이 홍보글에 알박연맹 "PVE중심, 거점전은 아주 짧게 참여" "10명만 참여해서 보상받자" 라는 문구로 홍보하고있다. 

    얌비얌 - 최대 참여인원의 60%의 최소 참여인원 시스템이 필요하다.

    EU - 거점 단계 올라갈수록 참여길드가 너무 적다.

    북미 - 강길드들이 항상 1단거점 에 들어온다. 북미는 이게 좋다. 강 길드 템 차이없이 깨트리는게 좋다.

    북미(블루) - 막타시스템 너무 구리다. 하지만 약한 길드를 위해 어쩔수없이 유지해야할거같다. 막타 계속 가능하게할거면 모든 거점이 랜덤 시간이어야한다.



    전문가 인벤러

    Lv83 캐닛

    750찍고시퍼오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검사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