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헬레네서버 GraciaS 길드마스터 지뉴가조아요 입니다!
예~~~~~~~~~~~~전에 어느 글에서 범선에 적재를 싣는 것보다 갤리에 적재를 싣는 것이 더 패널티를 받는다는 이야기를 봤었는데 아무리 찾아도 그 글이 없어진건지 내용이 없어서 오늘 한 번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따로 영상이나 사진이 없어서 아쉽기도 하고 제가 실험이나 연구 이런 분야에는 약해서 맞게 작성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모쪼록 재밌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범선과 갤리의 속도저하 차이 실험
☆가설☆
동일한 양의 적재를 실으면 범선보다 갤리가 더 느려진다.
조건
① 출발지는 리스본, 목적지는 하바나로 동일하게 설정한다.
② 각 선박을 동일한 캐릭터로 같은 사람이 운전한다.
③ 각 선박에 똑같은 양의 적재 (탄약 1500개)를 싣는다.
④ 그리퍼는 그리퍼끼리 선박장비를 동일하게, 개나갤은 개나갤끼리 선박장비를 동일하게 장착한다.
⑤ 똑같이 풍신을 사용한다.
⑥ 똑같이 비전과 치천사를 사용한다.
⑦ 동일한 직업과 동일한 캐릭터장비를 유지하며 대학스킬과 학술스킬도 동일하게 유지한다.
⑧ 급가 노젓 등의 스킬은 사용하지 않는다. (스킬사용시간과 타이밍에 따른 변수를 없애기 위함.)
⑨ 선원은 최대치의 신참선원을 배정한다.
⑩ 출발할 때 피로도는 0으로 만들고 측량만 사용한 채 출발하며 항해 중간에 피로도 회복 음식은 먹지 않는다.
⑪ 부관선장 및 부관선박도 아무것도 손대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다.
⑫ 무보급 항해
실험방법
① 그레이트 리퍼블릭을 적재 0인 채로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② 그레이트 리퍼블릭을 적재 1500인 채로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③ 개량 나폴리탄 갤리스를 적재 0인 채로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④ 개량 나폴리탄 갤리스를 적재 1500인 채로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①~④ 모두 왕복x 편도만 계산)
⑤ ①-②의 그리퍼 시간 값과 ③-④의 개나갤 시간 값을 %로 환산한다.
식 : 그리퍼 속도저하 % = (②-①) ÷ ①의 시간 X 100
개나갤 속도저하 % = (④-③) ÷ ③의 시간 X 100
⑥ ⑤에서 나온 %값을 비교.
변수
① 선원의 충성도 훈련도 피로도가 변동될 수 있음.
② 폭풍 등 자연적인 날씨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
③ 운전의 영향이 다소 있을 수 있음.
④ 네트워크 지연에 따른 시간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
⑤ 선박에 따라 적재 패널티에 따른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
결과
1) 각 시간 측정 결과
실험① 10분 30초 = 630초
실험② 11분 02초 = 662초
실험③ 10분 18초 = 618초
실험④ 11분 5초 = 665초
2) 실험⑤ 식에 대입
그리퍼 속도저하 = (662-630) ÷ 630 X 100 = 약 5%
개나갤 속도저하 = (665-618) ÷ 618 X 100 = 약 7.6%
결론
★동일한 양의 적재를 실었을 때 범선보다 갤리가 더 느려진다는 가설은 성립한다.★
보완할 점이나 아쉬운 점
1) 더 다양한 선박으로 실험을 해보지 못해 표집이 적다는 점.
2) 선원 훈련도, 피로도, 충성도를 항시 동일하게 맞추지 못한 점.
추가실험1
노젓기를 쓴다면?
개나갤 노젓+측량 적재 0 = 8분 46초 = 526초
개나갤 노젓+측량 적재 1500 = 9분 26초 = 566초
식에 대입
(566-526) ÷ 526 X 100 = 약 7.6%
결론
노젓기를 써도 동일하다
추가실험2
부관배를 빼고 순수 캐릭터배만 한다면?
실험방법
① 그레이트리퍼블릭 측량스킬만 사용 적재 1000
②수송용 랑스킵 측량+노젓만 사용 적재 0
③수송용 랑스킵 측량+노젓만 사용 적재 1000
그리퍼 적재 0 하바나까지 도달시간 10분 30초 = 630초 (첫 번째 실험기록)
그리퍼 적재 1000 하바나까지 도달시간 11분 9초 = 669초
수송용 랑스킵 적재 0 하바나까지 도달시간 11분 1초 = 661초
수송용 랑스킵 적재 1000 하바나까지 도달시간 11분 45초 = 705초
식에 대입
그리퍼 (669-630) ÷ 630 * 100 = 약 6.1%
랑스킵 (705-661) ÷ 661 * 100 = 약 6.66%
결론
① 본배에만 적재를 실으면 더 느리다.
② 범선보다 갤리가 적재 패널티를 더 받는 것은 동일하다.
의문점
1) 부관배를 뺀 실험에서 범선은 적재를 적게 실었음에도 오히려 패널티가 증가, 갤리는 감소했다.
- 부관선박의 적재도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추가실험 3
가설 - 적재에 따른 속도저하 패널티는 범선과 갤리에 상관없이 총 적재의 %를 기준으로 저하가 일어난다
실험방법
1) 그리퍼와 랑스킵 각각 적재를 가득 채워서 시간을 측정한다. (그리퍼 1510 랑스킵 1388)
2) 그리퍼와 개나갤 각각 적재를 0%와 50%를 채웠을 때의 시간을 측정한다. (그리퍼 755 개나갤 95)
1)의 결과
그리퍼 적재0 도달시간 10분 30초 = 630초
그리퍼 풀적재 도달시간 11분 22초 = 682초
랑스킵 적재0 도달시간 11분 1초 = 661초
랑스킵 풀적재 도달시간 11분 57초 = 717초
식에 대입
그리퍼 (682-630) / 630 * 100 = 약 8.25%
랑스킵 (717-661) / 661 * 100 = 약 8.47%
2)의 결과
개나갤 창고 190의 50% = 95
그리퍼 1510의 50% = 755
개나갤은 측량과 노젓만, 그리퍼는 측량만 쓰고 적재 50%를 싣고 시간을 측정
식에 대입하여 결과값을 도출하여 수치 비교.
개나갤 적재 0% 도달시간 8분 46초 = 526초 (부관배 빼고 측정한 시간은 없어서 추가측정함)
개나갤 적재 50% 도달시간 8분 53초 = 533초
그리퍼 적재 0% 도달시간 10분 30초 = 630초
그리퍼 적재 50% 도달시간 11분 = 660초
식에 대입
개나갤 (533-526) ÷ 526 * 100 = 1.3%
그리퍼 (660-630) ÷ 630 * 100 = 4.7%
실험 3-1에서 랑스킵, 3-2에서 개나갤을 타고 비교한 결과 적재 %에 따른 속도저하가 아닌 적재 갯수에 따른 속도저하라고 볼 수 있다.
★현재 결론★
① 갤리는 화물 적재 시 범선보다 속도저하 패널티를 더 받는다. (노젓기를 써도 동일하다.)
② 적재를 많이 실을수록 속도저하 패널티도 올라간다.
③ 총 적재%가 아니라 적재 갯수에 따라 패널티가 증가한다.
이상입니다. 표집이 이번 실험 하나 뿐이라 더 많은 표집을 위한 실험을 하지 못해서 가설이 온전히 성립한다고는 볼 수 없지만 많은 분들이 함께 더 많은 실험을 해주신다면 가설이 성립하지 않을까 싶구요!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이런 연구 글 등은 제가 잘 모르기도 하고 실험이 잘 됐는지에 대해서도 모르는게 많다보니 잘 아시는 분이 계시다면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노젓기 사용시엔 어떤결과값이 나올지
궁금하네요ㅎㅎ
저도 추가연구 하다가 총 적재의 비율과 관련이 있지 않을까 하고 추가실험부분 올려봤습니다만 확인 한 번 해주시고 궁금하신 부분 있으시면 더 말씀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ㅎㅎ
읽고나니 궁금한점이 생겼는데요
1. 그리퍼 증기기관 사용여부
2. 1차 부관과 함께한 항해때 그리퍼와 개나갤의 총적재량
중 개나갤은 적다인경우 1500적재면 거의 풀적재일텐데
절반수준의 그리퍼적재량과 적재비율이 맞는것인가하는
궁금증
3. 2차 랑스킵과 그리퍼 부관없을때 총적재량이 많이 가까
워진 상태라 속도 저하 패널티가 가까워진게 아닐까
하는 궁금증 입니다
부관o 개나갤(거의 풀적재) 그리퍼(절반언저리) 2.6퍼차이
부관x 랑스킵 그리퍼 (1차실험보다 총적재에서 적재비율이 비등해짐 ) 0.2퍼
싣고달린다면 그리퍼 퍼센트 차이에 변동이 있을지가
궁금해요~
2. 기존 실험에서 적재비율은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개나갤은 1500개를 실었을 때 1649에서 1500을 차지했고, 그리퍼는 2969에서 1500을 차지해 적재비율은 많이 달랐습니다. 적재비율로 인해 속도저하에 차이가 있을 것 같아 마지막 추가실험을 했는데 앞서 실험한 것들이 마지막에 실험했던 적재비율 측면에서도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겠네요!
3. 이 또한 적재비율과 관련된 말씀이신 것 같아서 이거도 따로 실험을 해봐야알겠지만 갤리류의 %에 맞는 적재량을 범선에도 맞게 싣는다면 결과값이 달라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적재 50프로를 기준으로 한다고 하면 개나갤은 95개, 그리퍼는 755개가 될텐데 이거는 추후에 한 번 해보거나 다른 분께 맡기겠습니다 제가 당장은 어려워서 ㅠㅠㅠㅠ
3.
비율보단 적재수가 가깝다고 생각이 드네요
순간... 또다른.. 실험글을 정독하며 느낀점
부관선박의 영향이크다?
1실험에 부관0 그리퍼1500적재 약5퍼
부관x 그리퍼 1507 풀적재 약 8.25퍼
다른궁금점이 있어요 빈배로 도착시간이 나누는 큰변수잖아요? 범선과 갤리의 차이라기보단 그리퍼와 랑스킵 개나갤의 차이같아요
빈배도착시간이 최대한 가까운 선박이 쵸이스 되야할꺼같아보여요 부관없을때 그리퍼와 수랑스가 각각 39/44초
차이나는거에비해(약5초) -1000적재
빈배 (30초) 차이계산이 식에들어가는건 갤리냐 범선이냐가아닌 그선박의 항해성능 인거같아서요
아니면 빈적재가아닌 예로 500적재타임과 1000적재타임을 비교해 보면 항해성능보다 적재에 무게페널티를 보기
좀더 좋을까 싶은 궁금증이에요 빈배타임이 비슷한게 베스트일꺼같긴한데.. 항해시간이 같다는 조건이 기본에있어야
범선과 갤리로 비교될꺼같은 생각이듭니다
장문 계속 남겨서 죄송스럽..
일단 이 실험 자체가 변수가 많아서 표집이 많아야하지만 그렇지 못하다는 점
그래서 똑같은 선박, 똑같은 적재 0이어도 항해시간의 오차가 발생한다는 점
말씀하신대로 선박마다 기본항해성능의 차이가 있어서 개나갤과 랑스킵만의 차이인거지 갤리의 대표라고 하기는 어렵다고도 볼 수 있는 점 등 다양한 요인과 변수로 인해 무조건 이렇다! 라고 말씀드리기도 조금 어렵긴 합니다. 그러다보니 쨌든 더 많고 다양한 선박들과의 실험결과가 필요하게 되는데 똑같은 속력의 범선과 노젓배를 가지고 한다고 해도 그 역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서 본 실험 자체를 100% 결론내기에는 저 이외에도 많은 분들의 실험결과가 추가된다면 통계적으로는 어떻다는 결론을 낼 수 있을 것 같아요 ㅎㅎㅎ 그래서 저도 현재 결론 정도로만 적어둔 것이고 무조건 이겁니다!! 라고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 ㅎㅎㅎ 더 추가적인 실험에 대해서는 우리 머항 유저분들에게 한 번 맡겨보고 싶습니당
하나 유의점이 적재에따른 항속감소는 내파가높을수록 감소폭이작아지는데 그리퍼와개나갤이 같은6지 선박이라면
그리퍼는내파43 개나갤은 내파40이되겠지요
그부분에따른 두선박의 항속차이가 발생될것같기도 합니다
파도가 높은곳에서 내파가 낮은배로 풀적재를 하면 패널티를 더 받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있습니다 범선들이 기본내파가 대체로 갤리보다 높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