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 드립니다
매번 제 공략은 너무 길었던 것 같은데
이번 글은 짧을 것 같네요^^
바로 갑시다~
우선 야수와 긍지의 적용 방식을 이해 하기 위해 예전 공략을 봐주시면
더욱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해골 데미지 계산법
위 공략글에서 예시 일부를 발췌하겠습니다
해골 소환 스킬37레벨 기준 맥뎀 507
예시 1
용병 없는 해골 데미지(맥뎀기준)
150*3.38 = 507
예시 2
17위세 용병 오라 추가시(17 위세 = 200% )
150*5.38(238+200의 합 증가 비율) = 807
예시 3
17위세 용병 + 17긍지 아골(17위세=200 17긍지=300)
150*8.38(238+200+300 비율) = 1257
예시 4
17위세+17긍지+9파낙(93%)
150*9.31(238+200+300+93) = 1396.5
예시 5 긍지 없이 야수 단독 사용시
17위세+9파낙
150*6.31(238+200+93) = 946.5
위의 예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야수는 데미지 증가 폭이 크지 않습니다
예시2 = 야수 없이 위세용병만 썼을 때 해골 한마리 데미지 807
예시5 = 예시2에서 야수만 추가한 경우 해골 한마리 데미지 946.5
즉 야수를 써도 데미지는 크게 올라가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그러면 야수는 구린가요?
야수 왜 써요?
해골의 기본 공속은 18프레임이고
공격간의 딜레이는 15프레임 고정입니다
즉 18+15=33프레임
9파낙을 받는 경우
해골의 기본 공속은 14프레임
공격간의 딜레이는 15프레임 고정
즉 14+15=29프레임 입니다
하지만 실제 인게임에선
파낙이 없을 때 33프레임 마다 정확하게 가격을 하지 않습니다
가끔 멍때려요;;
파낙을 들 경우 그 멍때리는 시간이 확 줄어듭니다
예전 실험 글 링크 입니다
위와 같이 야수를 쓰게 되면 같은 시간 안에 더 많은 가격 횟수를 만들 수 있습니다
상단 예시3과 같이 긍지를 추가하게 되면 제법 높은 데미지 상승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즉 긍지의 역할은 데미지 증가 입니다
야수의 역할은 공속의 증가 입니다
다시 말해 야수의 공속증가와 긍지의 데미지 증가를 합쳐야 좋은 시너지를 낸다는 말이 됩니다
이론적인 효율만 생각하면
오심+통찰아골 < 야수+통찰아골 < 오심+야수아골 < 오심+긍지아골 < 야수+긍지아골
순으로 dps가 높습니다
가성비를 생각하면 오심+통찰아골이 가장 좋은 선택이고
엔드 셋팅을 생각하면 야수+긍지아골이 종착지 입니다
예전에 올렸었던 제 캐릭에 대한 글입니다
독조넥 엔드셋팅 14k 포노+18k 해골
현재 스왑 방패로 불사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불사조의 효과가 발동하는데 인터벌이 있기 때문에
그전에 시폭 소환등이 가능하고 독조넥 특성상 시폭 소환을 반복하지 않아
만족스럽게 사용했습니다
여기서 이런 질문을 하시는 분이 계실지도 모르겠네요
쌍마소 5막 용병이 등장한다면???
개인적인 실험을 해봤는데 준영이가 더 좋았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무공의 방깎효과는 대단했다
강령의 가장 취약점은 보스 공략에 취약한 점입니다
본넥은 사냥이 아닌 듀얼에 적합한 셋팅이고
소환넥은 용병에 의지해야 하고
독넥은 독데미지의 씹힘현상으로 인해 보스딜이 좋지 않습니다
해서 준영이의 강타셋팅이 반강제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무공의 방깎으로 인해 타격확률이 올라가고 강타를 넣을 수 있는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보스킬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게 됩니다
(디아블로2의 방어도 개념은 맞았을 때 덜 아픈 것이 아닌 맞느냐 아니냐의 확률 개념입니다)
(개인적인 테스트 당시에도 보스킬 시간 편차가 큰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타격이 적중 될 확률, 들어간 타격이 강타로 발동될 확률에 따라 측정 시간은 많이 다르더군요)
소환수의 적중률(어택레이트)를 올리는 오오라를 쓰면 적중 확률을 올릴 수 있으나
데미지 증가가 1순위 이기 때문에 준영이 위세 오라가 필수 입니다
따라서 적의 방어도를 낮출 수 있는 무공은 소환넥에게 아주 좋은 무기입니다
(무공을 만들기 전 순종을 사용할 경우 조준오라를 쓰면 보스킬 강타 확률을 올릴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무공(방깎)+야수(공속증가)+긍지(데미지증가)의 시너지 효과로 가장 효과적인 보스공략 셋팅이 됩니다
1. 무공의 방깎으로 적중확률을 올린다
2. 야수의 공속으로 더 많은 적중횟수를 만든다
3. 긍지의 데미지 상승 효과로 더 강한 타격을 만든다
결론은 가성비는 오심+통찰이고 욕심을 낸다면 야수+긍지라는 결론이지만
어디까지나 이론적인 이야기일 뿐입니다
조넥은 다인방에서 한계가 명확하고 솔방만 가정하면 오심+통찰을 이길만한 셋팅은 없겠죠
하지만 효율만 따지면 네크를 할 이유가 없습니다
결국 게임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재미'입니다
저도 예전에 보스킬 때문에 팽드나이프 들고 강타 셋팅에 직접 콕콕이 한 시절이 있었습니다만
불편하고 효율도 구리지만 재미는 있었습니다
네크는 아골로 인해 아주 다양한 셋팅이 가능합니다
본인의 취향에 맞는 조합이 정답입니다
아주 오랜만에 공략 글을 씁니다 만 앞 전의 글들에 비해 너무 무성의한 글 같네요^^
곧 명절이 다가오네요
다들 건강하고 즐거운 시간 보내시기 바랍니다
ps. 이번 글은 짧은 편이라 쪽지가 많지 않을 것 같지만
쪽지는 답변이 어려우니 댓글로 문의 주시고
팁게에 제 닉네임 검색해 보시면 필요하신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한번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엔드셋팅은 그러면
본체=야수 / 아골=긍지 / 용병=무한 이렇게되는건가요??
혹시 템셋팅한거 구경좀 가능할까요?
데쓰웹을 씁니다 마상이 있어서 사냥시에는 마나가 크게 부족하지 않습니다
스왑 불사조를 쓰면 마나는 충분합니다
제가 라이트 유저라 템 셋팅은 좋은 편이 아닙니다 아래 링크를 보시면 대충 맞춰놓은 셋팅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inven.co.kr/board/diablo2/5734/6050?my=post
감사합니다
갚이 공감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직접 겜 하는 것보다 숫자놀음(?)하는 것도 재미가 있어서 ㅎㅎㅎ
아마만 데이터 분석 많이 하는 줄 알았는데 역쉬 타 클래스 고수분들은 다 데이터 분석 많이 하시는군요 ㅎㅎ (거의 아마만 해서 시야가 편협합니다 ㅠ)
명줄률 같은 경우는 스킬에서 표기가 되어있는데 캐릭터레벨은 표기가 안되어 있네요
적중률 가늠이 안되서 여쭤봅니다
제 공략글들이 다 숫자가 많이 등장하는 편입니다
위 링크에 있는 본캐가 97레벨이였습니다
네크와 활아마의 조합은 정말 환상적입니다.
저주가 참 매력적인 스킬이긴 합니다
전 독조넥만 파고 있는데... 냥3님 글 많이 참고했습니다. ㅎㅎ
독조넥 참 매력있는 캐릭이죠^^
보스킬만 생각하면 긍지보다 나을수도 있스니다
본문에도 있습니다만 보스킬 실험을 아주 많은 횟수 반복 통계를 내어야 정확한 데이터가 되나 시간 내기가 쉽지않고 강타가 터지는 확률적 운이 작용하기 때문에 킬타임이 들쑥날쑥합니다
재료수급이 원할하다면 스톰래쉬도 좋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수급의 문제로 긍지를 더 선호하는 편입니다
스톰래쉬 아골에 정통하신 네크 고수 분이십니다
제 체감을 간단히 적어본다면 이렇습니다.
1. 스톰래쉬 아골은 노가다용은 아니고, 한 30번정도 트라이해서 신기록 세운거 영상 찍고 유튜브에 올리는 느낌으로 쓰는 아골입니다.
저는 오더바바 없이, 통찰 아골을 안쓰면 너무 불편해서 노가다 용도로는 못쓸거같다고 생각합니다.
2. 냥3님의 의견과 다르게 저는 야수 & 통찰 아골 조합도 굉장히 높게 쳐줍니다.
왜냐하면 이론적으로는 야수 + 긍지 / 야수 + 스톰래쉬 조합에 비해서 밀리지만, 중간중간 마나가 바닥치거나 리바이브 / 해골몹 양산에서 통찰 아골이 시간을 꽤 단축하거든요
그래서 막상 야수 + 통찰 아골 / 야수 + 긍지 아골 조합을 영상 찍어서 비교해보면, 최고 기록을 제외하고 평균 기록은 엇비슷하거나 오히려 통찰 아골이 더 좋게 나왔습니다.
인챈소서가 들어간다면 리바이브 머릿수도 중요해질테니 그걸 감안하면 통찰 아골도 긍지 아골만큼 좋다고 평가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3. 물론 야수는 8인방 차력쇼용 or 장난감용이라고 보고요. 실전에서 좋은건 솔방에서 노가다 최적화 세팅인 오심 + 통찰 아골 세팅입니다. 패캐는 75도 좋고 125도 좋구요. (저는 75패캐 오심도 고평가합니다. 샤코가 워낙 좋아서...)
순간적인 딜은 야수긍지가 높지만 긴 플탐 동안 통찰의 부재는 큰영향을 주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저도 독조넥 스왑으로 소환스킬 올리려고 스플랜더 재료찾다가 불사조 써보니 좋더군요
통찰아골은 확실히 아주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죠
편안한 밤 되세요
해골마스터리 370%
그럼 기본데미지가 31정도 아닌가요?
https://www.inven.co.kr/board/diablo2/5734/5675?my=post
을 참고하시면 자세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해골 마스터리는 다른 오라 등과 함께 합연산으로 계산된 후 곱으로 적용됩니다
기본데미지가 마스터리합친데미지가 아닌거같아서요
보스도 바바용병이 있으면 훨씬 빨라짐.
무공이 있어야 시폭 쎄진다는 분도 있고
오심들고 가성비 세팅으로 빨리 텔하고 시폭하는게 좋다는 분도 있고
근데 조넥 풀방에서 하시는 분 거의 없잖아요.
그럼 그냥 하고싶은 감성이 맞는듯.
전 조넥은 오라가 많을 수록 좋더라고요. 그래서 용병 갑옷에 찔레도 입힘.
보스킬은 큰수법칙이 적용될 수준까지 반복 실험 통계가 필요한데 시간의 문제도 있고 네크로 굳이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을까 싶기도 하네요
조넥은 말씀처럼 결국 취향 갬성이 정답인 듯 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찔레 써봤는데 생각보단 괜찮았습니다
다만 공식화 된 무공 명굴 길뚜 조합이 가장 좋긴 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명절 잘 보내세요~~^^
그것도 재미있을 것 같네요^^
몹을 당기는 효과가 있겠군요
그 점은 생각을 못했네요
상당히 괜찮은 방법이네요
용병도 필요없이 바로 시체 생성이 가능한데요?
시폭 원툴로 보면 솔방은 본넥 다인방은 독넥을 하고 조넥을 할 이유가 없을 것 같습니다
야수나 긍지가 해골과 리바이브 공속+데미지도 올려주지만
사실 가장 버프를 받는 입장은 용병이지요
물론 셋팅은 본문에도 있듯이 취향입니다
본문 링크의 독조넥 셋팅처럼 소환수 극딜을 챙길 수도 있고요
솔방에선 해골댐지 높이면 일반몹도 시폭 안써도 알아서 잘 죽임.
시폭을 위한거면 조넥보다 조독넥이 시체는 더 잘만듬.
그리고 애초에 네크 시폭만 있으면 되는데는 서머너 컨셉에
불필요한 발언임.
오심통찰에서 만족하고있었는데 또다른 목표를 제시해주셨어요ㅎㅎ
야수통찰에서 마상마쟁 더 알아보고 야수긍지로 넘어가봐야겠어요!
이론적으로는 야수긍지가 딜은 높지만 조넥이 다인방에서 큰힘을 발휘하지 못해서요
본문 링크 독조넥처럼 데스웹에 마상이 있고 스왑 불사조도 용이한 독조넥이 더 어울리긴 합니다
솔방위주의 플레이를 하신다면 오심통찰을 더 추천드립니다
즐거운 명절 보내시기 바랍니다
저도 솔플유저여서 오심통찰로 재미있게 하고있어요~
그래도 뭔가 오라투성이 조넥을 해보고싶어서 정보를 얻고있어요!
올리신 글중에 프레임단축 글 봤는데 야수를 쓰고싶게 만들어주셨어요ㅎㅎ
말씀하신 독조넥도 이미 키우고있어서 야수쪽을 연구해보려고 합니다
좋은 연구글 감사합니다~ 즐거운 명절 되셔요!
즐거운 명절 되시기 바랍니다
베이스에 따라 아골 공속과 데미지가 달라지지만
크게 영향을 주는 요소는 아니라서요
오심 통찰은 정말 사기적인 셋팅이라고 생각합니다
즐거운 주말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