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9일 뉴스를 통해 알게 된 것들
1. 서울 상위 20% 아파트 평균 33억 돌파 → 10·15 규제 직전, 추가 규제를 우려한 매수 수요가 급증한 때문으로 분석돼. 반면 서울 1분위(하위 20%) 아파트 가격은 4억 9536만원으로, 2024년 1월 5억원대에서 처음 4억원대로 내려온 이후 22개월간 4억원대 계속.(헤럴드경제)
2. 보이스 피싱, 금융감독원·검찰·경찰 사칭 여전히 먹힌다 → 대출빙자형, 메신저 피싱 사기 피해액은 감소했거나 증가 폭이 줄어든 반면 금감원, 검찰 등 기관 사칭형 사기 피해액은 최근 5년간 6배 증가. 대포통장 대대적 단속과 국제 공조 등 근본 대책 필요.(아시아경제)
3. ‘둔갑 김치’ → 수입 배추 등 수입 재료로 만든 김치가 '국산 김치'로 둔갑하는 사례 심각. 김치 제조업체의 60% 이상이 중국산 절임 배추 또는 완제품을 가공해 ‘국산’으로 판매하는 실정... 특히 외식·급식업체는 대부분 중국산 재료로 만든 혼합형 김치.(아시아경제)
4. 교사의 정당 가입? → 허용을 주장하는 쪽에선 OECD 회원국 중 교사의 정당 가입·활동 등을 금지하는 국가가 한국뿐이라 주장한다. 하지만 허용한 나라 대부분은 교사들의 근무시간 내 정치 활동이나 정파적 의견 전파를 법으로 금지하고 징계 조항도 있다. 교사의 정치 활동보장만큼 정치로부터 학생 보호도 필요하다(아시아경제)
5. 황금의 나라 신라 → 전 세계에 현존하는 고대 순금 금관이 13개 정도인데 그중 6개가 신라의 것이다. 이 신라금관 6개가 처음으로 한 곳에 전시 된다. 먼저 경주 APEC에서 참석 정상에게 공개되고 APEC 이후 한 달여간 일반에도 공개된다. 경주박물관 2025.11.02 ~ 12.14, 국립경주박물관.(한경)
6. ‘영악한’ 日, 5.5억弗 대미 투자금 전부 ‘리스크 0’ 산업에 투자 → 트럼프-사나에(高市早苗) 일본 총리의 첫 정상회담. 일본의 5500억 달러(약 788조 원) 투자 로드맵 마련.투자액 대부분을 전력·에너지·선박 등 ‘리스크 제로(0)’ 인프라에 집중 투입키로.(문화)
7. 외국인 배달원 늘어났다 했더니 ‘한국인 명의 도용’한 배달원 많아 → 배달은 수입도 많고 한국인과 부딪힐 적어 매우 편하다는 생각. 그러나 배달에 종사하기 위해선 △F-2(거주) △F-5(영주) △F-6(결혼이민) 비자 필요. 이런 자격 없는 외국인들이 한국인 명의 도용하거나 배달 대행업체에서 암암리 고용... 사고나 책임 소재 따질 때 소비자 피해 가능성.(문화)
8. 미국 실리콘밸리의 ‘996 근무’ → 996 근무는 오전 9시 출근해 오후 9시 퇴근, 그렇게 주 6일을 근무하는 것, 2010년대 중국 마윈 알리바바 회장이 강조했던 근무 행태지만, 살인적인 노동 강도 탓에 중국 정부마저 이를 금지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 스타트업들이 속속 ‘996 근무’를 내세우며 고강도 근무에 나서고 있다.(문화)
9. ‘서울대 공대 입학생 850명 중 100명 이상이 1학년에 학교를 그만둡니다. 대부분 수능을 다시 봐서 의대로 가기 위해서지요’(김영오 서울대 공대 학장, 24일 관훈클럽 토론) → ‘의대 쏠림’ 현상이 임계치를 넘어서 국가 핵심 산업의 미래마저 위협하고 있다는 진단.(동아)
10. 채식이 대세라고? 미국 콩고기 스타트업에 투자한 서학개미들 큰 손실 → 최근 1주일간 미국 대체육 기업 ‘비욘드 미트’ 주식 2400억원어치 넘게 사들여. 이는 이 회사 주식의 10%. 그러나 7달러 넘게 치솟았던 주가가 식물성 육류 열기 식으며 1달러 대로 폭락.(동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