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머니속의 작은 시네마! 스마트빔 큐브 !
이 신비스러운 작은 물체의 정체는 과연 무엇일까요 ? ^^
이 신비스런 물체의 정체는 바로 TO21에서 출시한 휴대용 빔 프로젝터 스마트빔 큐브! 입니다
TO21 스마트빔 큐브는 초소형 DLP 프로젝터로 휴대에 최적화된 스마트빔 프로젝터입니다WVGA(850x480)의 해상도, 최대 밝기 50안시, 명암비 1000:1 를 지원하며 PC의 HDMI단자에
연결, 다이렉트로 화면을 출력시키거나,스마트기기의 미라캐스트를 통한 출력, 스마트빔 큐브 자체 AP모드를
통한 무선 DLNA 출력, 무선 공유기를 통한 DLNA 출력, MHL 을 지원하는 스마트기기에 전용 젠더를 연결해
화면을 출력, WIDI 를 지원하는 기기에 무선으로 화면을 출력 시킬수 있습니다.
자체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 없이도 야외에서 손쉽게 영상을 출력해볼수 있으며
LED 렌즈 광원 채용으로 낮은 전력을 소비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스마트빔 큐브는 가로세로 60mm의 정육면체로 주머니속에 쏙들어가는 아담한 사이즈로 제작되었습니다
2014년 10월 25일 다나와 최저가 기준 289,000 원으로 다소 부담되는 가격일수 있으나
가족끼리 야외 캠프를 떠났을때 스마트빔 큐브가 선사하는 즐거움을 생각한다면 결코 부담되는
가격은 아닐것으로 생각 됩니다.
이 작은 화이트 정육면체의 스마트빔 큐브가 보여주는 놀라운 기능들을 기초 기능부터
사용법까지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빔 큐브 포장 & 팩키지
우선 제품 포장상태부터 살펴볼까요 ^^?
화이트 박스에 깔끔한 포장! 포장 크기도 작지만 큐브의 크기는 정말 너무도 작습니다
정품 박스를 열어보면 화이트 스마트빔 큐브가 예쁜 자태를 드러냅니다
스마트빔 큐브 팩키지
팩키지는 메뉴얼, 스마트빔 큐브, 휴대용 파우치, 전원 어댑터, HDMI TO Micro HDMI 케이블로
심플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스마트빔 큐브는 보기와 달리 무척 정교하게 제작된 영상 출력장치입니다
기본적인 작동법은 어렵지 않으나 상황에 따라 유선, 무선으로 적절하게 활용할수 있도록
작동원리와 사용법등을 정확하게 숙지해두는게 중요합니다. 영상출력, 내장스피커, 내장 배터리,
SOFT AP모드까지, 60mm 정육면체 하우징 안에 큼지막한 기능들이 집적되어있기 때문입니다
사용자 설명서에는 기본적인 작동법들을 설명해두고 있으나 초보분들에게는 다소 어려울수 있어
실사용법을 예로 들며 하나씩 설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메뉴얼을 처음부터 끝까지
정독 하신후, 추가로 리뷰의 설명을 보시면 이해가 빠르실겁니다
스마트빔 큐브 메뉴얼 !
간단한 영상장치로 보였는데 설명서를 읽어보니 뭔가 복잡복잡해보입니다
하지만, 알고나면 무척 쉽습니다.
스마트빔 큐브 본체
화이트 하이그로시 유광 코팅으로 처리되어있으며 내장 스피커, SOFT AP 모드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스마트빔 큐브는 가로 세로 높이 모두 60mm의 정육면체 크기를 갖고 있습니다
별도의 가방없이도 웬만한 주머니나 백, 가방에 쏙 들어가며, 여성분들도 부담없이 가볍게
들고 나닐수 있는 미니사이즈로 제작 되었습니다. 정육면체의 디자인을 갖고 있다보니 천정 투사,
벽투사, 평면 투사시 바닥만 평평하면 별도의 각도 조절이 필요 없이 간단히 사용할수 있습니다
다만, 요철지대나 기운곳, 바닥등에 투사할때에는 삼각대가 필요합니다
와우! 크기가 정말 작군요 . 면적이 스마트폰 1/2 사이즈보다 더 작습니다무게도 200 g 으로 무척 가볍습니다
DC 전원 어댑터 / 12V 2000mA
소음도 약간더 증가하게 됩니다. 12V/2000mA 출력을 갖는 어댑터를 사용하며
내장배터리 모드 일때와 전원 어댑터를 연결했을때에 , 전원 어댑터쪽이 좀더 밝은 영상을
보여 주지만 소음도 약간 더 증가하게됩니다.
HDMI TO Micro HDMI 케이블
후반부에서도 자세히 다르겠지만 영상소스를 주는 기기의 HDMI 규격에 따라 일반 HDMI, 미니 HDMI,
마이크로 HDMI 케이블등으로 분류됩니다. 가장 흔한게 일반 HDMI 이고 일부 그래픽카드에 내장된
미니 HDMI 단자, 스마트빔 큐브처럼 Micro HDMI 단자를 사용하는 기기들이 있습니다
변환젠더, 믹스 케이블등 다양한 케이블종류와 젠더들을 쇼핑들에서 판매하고 있으므로
상황에 맞게 구입해서 사용할수 있습니다. 스마트빔 큐브에 기본 제공되는 HDMI 케이블 타입은
HDMI to Micro HDMI 형태의 케이블입니다.
PC / 노트북 / IPTV 셋톱박스 / 스마트폰 MHL to HDMI 젠더(F)에 연결하는 HDMI 단자입니다.
IPTV 셋톱박스에 연결하면 보고 싶은 프로를 대박 큰 화면으로 볼수 있으며 AUX 단자에 스테레오
오디오 시스템을 연결하면 실내가 웅장한 영화관이 됩니다
필자는 IPTV시청중 괜찮은 영화가 상영되면 큐브에 연결, 여러편의 영화를 벽에 투사시켜
소극장 같은 분위기로 신나게 관람했으며 한달 체험기간 동안 대부분 영화를 시청했습니다.
간혹, 디아3나 베틀필드4 같은 게임도 즐기긴했는데 게임 해상도때문에 조금 부족한감이 있습니다.
스마트빔 큐브에 연결하는 Micro HDMI 단자
스마트빔 큐브 ! 휴대용 파우치!
But! 소중한 스마트빔 큐뷰를 주머니 하나에 달랑 보관하기엔 뭔가 불안합니다.
그래서 , 니콘 렌즈 보관용 가방을 별도로 구매했는데 기막히게 딱 알맞는 그림이 나옵니다
마치 스마트빔 큐브를 위한 가방이라고나 할까요. 중간 칸막이에 딱 맞는 사이즈, 푹신한 가방.!
스마트빔 큐브 계획중이신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스마트빔은 테스트후 반납 제품이라
가방은 스마트폰 용도로 쓸 계획입니다. ㅎ^^ㅎ 가방은 인터넷 최저가 5천원정도 합니다
대충보고 산건데 어떻게 저렇게 꼭 맞는지 심히 충격적이었습니다
브랜드만 바꿔달아서 스마트빔 큐브 전용 가방으로 옵션판매해도 될것 같습니다
스마트빔 큐브 아웃사이드 디자인 !
자, 그럼 스마트빔 큐브의 아웃사이드 디자인을 다각도로 둘러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면에 투사렌즈가 위치해 있으며 LED를 광원으로 쓰기때문에 소비전력이 무척 낮습니다
제품 공식 스펙에는 16W로 나와있지만 소비전력 측정기로 측정해보면 16W에 못미칩니다
정육면체의 화이트 하이 글로시 디자인! 순백색으로 참 깔끔한 이미지를 갖고 있습니다
측면의 마이크로홀은 방열과 동시에 스피커 음을 외부로 발산해줍니다
60mm 정육면체의 작은 크기에 짱짱 울리는 스피커를 내장하고 있어서 야외에서도 별도의 확장
스피커없이 미디어를 감상할수 있습니다. 외장 스피커가 필요하다면 휴대용 배터리를 내장한 블루투스
스피커를 사용시 둘다 별도의 외부 전원 없이 훨씬 더 큰 사운드를 즐길수 있게 됩니다.
후면부에도 방열및 스피커음 발산을 위한 마이크로홀이 형성되어있으며
강제 전원 오프 스위치, AUX, MIcroHDMI, 전원, 밝기, 전원 LED, PBC 버튼, DC 전원 IN 단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차후에 출시될 모델에서는 무선 리모콘 기능까지 갖추면 금상 첨화가 될것 같습니다
전면 상단으로는 포커스 조정용 슬라이더가 위치해 있습니다
하단부로는 카메라 삼각대 플레이트홀이 형성되어있으나 깊이가 조금 얕아서 볼트가 완전히 장착이 안되는
문제가 있지만, 중간에 고무팩킹이나 프라스틱 패킹등 스마트빔 큐브에 스크래치를 주지 않는
와셔류를 만들어서 끼우면 간단히 해결됩니다. 필자는 마우스패드를 펀치로 뚫고 조그맣게 오려서
삼각대 플레이트에 끼운후 단단하게 고정시켰습니다. 마우스 패드 재질이 부드럽고 고무패킹 기능까지
갖고 있어서 딱 안성 맞춤이었습니다.
바닥에 놓고 사용시, 슬립 방지를 위한 강한 접지력을 가진 4개의 피트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지금까지 제품 아웃사이드 디자인을 살펴보았습니다
스마트빔 큐브! 콘트롤 버튼 살펴보기 !
스마트빔 큐브 설치 및 가동 !
백문이 불여일견! 직접 작동하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정확한 투사각도를 잡기 위해 삼각대는 필수입니다
대충 책상위나 박스나 의자 테이블등에 놓고 사용할수 있지만 상하좌우 정확한 각도를 맞추기 위해서는
삼각대가 꼭 필요합니다. 전문가용 삼각대가 무겁고 안정적이고 각도도 정확하게 잡을수 있지만
건들거리지만 않는다면 저렴한 삼각대도 무난하게 사용할수 있습니다.
볼 플레이트 방식의 철제 삼각대는 상당히 무거우므로 스마트빔 큐브를 장착 사용시에는
쓰러지지 않도록 유의해야합니다. 쓰러질때 하중이 큐브로 몰리면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삼각대 제조사마다 다르겠지만 스마트빔 큐부의 하단 볼트홀이 조금 얕은 관계로 플레이트 볼트가 완전히
들어가지 않고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마우스 패드를 펀치로 뚫고 저런식으로 1~2장 만들어 큐뷰와
플레이트 사이트에 끼워넣고 조이면 단단하게 고정시킬수 있습니다
금속 와셔류는 안되고 고무나 프라스틱류의 와셔가 있으면 임의로 장착후 유격을 메꿔주면 됩니다
임의로 제작한 팩킹으로 단단히 고정시켜 장착한 모습입니다
큐브와 영상 소스 장치 연결하기 !
가장 쉬운방법은 HDMI 를 지원하는 기기 (데스크탑 , 노트북, MHL 지원 스마트기기, IPTV 셋톱박스) 와
유선으로 연결하는것입니다
간단히 케이블 연결후 전원을 ON 시키면 즉시로 화면이 나오기때문에 가장 쉬운 방법이 되겠습니다
스마트빔 큐브에 Micro HDMI 단자를 연결해줍니다
표준 HDMI 단자는 PC의 HDMI 단자에 연결해주고 전원을 켜면 곧바로 화면이 출력되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HDMI 출력 단자가 저렇게 Mini HDMI 단자로 된것들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표준 HDMI (F) to Mini HDMI 젠더를 이용해 연결해주면 됩니다
젠더를 사용하는 경우 저렇게 그래픽카드 나사 하나를 빼고 연결해야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Mini HDMI 일체형으로 제작된 케이블을 사용하는게 유리합니다
HDMI 케이블블 스마트빔 큐브에 연결하는건 일반 모니터를 연결하는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부팅부터 윈도우 화면까지 똑같이 디스플레이 됩니다
데스크탑 HDMI 연결 장면
32인치 TV와 비교
스마트빔 큐브와 32" TV 스크린 사이즈에서 엄청난 차이를 보입니다
안방 시네마로 불리우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유투브
주먹만한 크기의 빔 프로젝터로 저런 대화면 영상을 볼수 있는다는것 자체가 최대의
장점이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게이밍
호기심에 게임도 플레이 해봤지만 일반 모니터같은 고해상도의 고화질을 기대하긴 어렵고
대형화면으로 플레이할수 있다는것에 만족해야 했습니다
베틀필드4 처럼 스케일 큰 게임은 확실히 큰 화면이 분위기가 좋습니다
스테레오 시스템까지 잘 갖추면 집안을 전쟁터로 만들수 있을것 같습니다
텍스트 가독성은 생각보다 낮아서 읽기가 좀 힘든편입니다
해상도를 1366X768로 설정했을때에 가장 읽기좋은 상태가 되긴 하지만 일반 모니터같은 가독성은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즉, 스마트빔 큐브의 목적은 사진, 영상,그래프 위주로 사용하는 기기로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실내 시네마 구성이나 캠핑시 위와같은 영상들을 대형화면으로 볼수
있다는것이 스마트빔 큐브의 최대의 장점이므로 구입 계획이 있으신분들은 참조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실내에서 감상할때도는일만 모니터와는 다른 분위기를 받게 되는데 , 소극장 영사기로
투사해주는듯한 분위기와 비슷한 분위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IPTV 셋톱박스
IPTV 셋톱박스 사용시에는 PC처럼 간단히 셋톱박스 HDMI 포트에 연결만해주면
대형스크린으로 안방 시네마를 구축할수 있습니다
* HDMI to MHL을 이용한 스마트폰 연결방법은 각 모델에 맞는
전용 케이블을 구입후 사용해야 하며 모델에 따라 MHL 지원여부 확인및
핀갯수, 케이블종류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
베가아이언2 처럼 MHL 을 지원하지 않는 기종은 사용할수 없습니다
스마트빔 큐브! 무선 링크 사용법
무선 출력방법중 가장 제약이 적고 사용하기 쉬운 미라캐스트, DLNA 두가지 방법을
시연해보겠습니다. WIDI도 해보고 싶었지만 아직 널리 보급되지 않아 테스트하기가 어려웠습니다
미라캐스트
스마트빔 큐브의 전원을 ON 시키면 설명서와 달리 초기 화면은 미라캐스트 모드입니다
화면 좌측 하단에 IP Aaddress:... 라고 떠있으면 미라캐스트 모드, 192.168.8.1로 떠있으면
DLNA/SottAP 모드 상태이며 모드 변경은 PBC 버튼을 원클릭 해줌으로서 간단히 전환시킬수 있습니다
미라캐스트 모드에서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데스크탑등의 AP리스트에 스마트빔 큐브 리스트가
뜨지 않지만 DLNA/SoftAP 모드에서는 리스트에 스마트빔 큐브 리스트가 뜨게 되므로
현재 모드가 미라캐스트 모드인지 DLAN/SoftAP 모드인지 좌측 하단의 아이피로 확인하면 됩니다
PBC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같이 WPS Start / Wifi Mode Switch / Factory Reset 메뉴가 되는데
가볍게 원클릭하면 미라캐스트 < - > DLNA SoftAP 모드 전환 / 2~5초정도 누르면 무선 공유기와
WPS 로 연동, 9~15초 사이로 누르면 팩토리 초기값으로 리셋됩니다
저렇게 화면 좌측 하단에 IP Adress:... 라고 뜨면 미라캐스트 모드입니다
스마트빔을 미라캐스트 모드로 설정후, 화면을 보낼 기기를 선택하면 이후로 스마트폰의 모든
동작 화면이 실시간으로 스마트빔 큐브로 미러링 됩니다.
미라캐스트를 끄기전까지 계속 동작하므로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페어링 상태를 중단시켜줘야 합니다
미러링이 시작되면 스마트폰에 저장해둔 미디어를 열어서 선택합니다
안드로이드폰 기준, 플레이시킬 앱으로 동영상 플레이어를 선택하면 스마트빔 큐브로 풀화면
영상이 출력되며 스마트폰에는 외부기기로 화면을 보내는중이라는 화면이 뜹니다
카메라 노출을 너무 높여서 촬영하는 바람에화질이 좀 밝게 나왔지만 리뷰 종반부에 실제 투사중인
영상을 동영상으로 촬여한것들을 올려두었으며 그게 실제 화면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메뉴얼에도 나와있듯이 안드로이드 미라캐스트에서는 영상 송신중 랙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DLNA /Soft AP 모드 (스마트폰 - 스마트빔 큐브 다이렉트)
미라캐스트와 달리 스마트빔 큐브를 AP기로 전환시키거나, 별도의 무선 공유기를 통해
영상을 출력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재생 엡 종류에 따라 미디어 종류를 재생이 안되는 경우가 있으며 여기서는 Streambels 앱을
사용, 스마트폰에 저장하할 미디어는 MP4로 인코딩 시켜서 업로드시켜 둡니다
큐브에 연결전, Streambels 앱은 미리 설치해두어야 합니다.
스마트빔 큐브 AP 모드 + 스마트폰 WIFI 연결
먼저 스마트폰 -> 스마트빔 큐브 로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큐브의 PBC 버튼을 1회 눌러 DLNA/SoftAP 모드로 전환시킨후, 스마트폰의 와이파이 리스트에서
SmartCube를 찾아 연결시켜줍니다. 용어가 약간 어려울수 있는데 AP모드는 스마트빔 큐브가
무선 공유기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단,이경우에는 스마트빔 큐브가 광대역과 연결되어있지 않은 로컬서버로 동작하기때문에
스마트폰의 와이파이를 통한 인터넷 접속은 불가합니다
화면 좌측 하단에 IP Adress:192.168.8.1 모드 / Password:12345678 로 뜨면
DLNA/SoftAP 모드로 전환된 상태입니다.
스마트빔 큐브가 무선 AP모드로 전환되어 접속하는 단말기에 아이피를 할당해줄 DHCP 서버를
가동시키고 , 무선 접속암호를 활성화 시켰다는 뜻입니다
스마트폰 WIFI 연결 설정에서 SmartQube:22AF 를 선택후, 비번 12345670 을 입력후
StreamBels 앱을 실행 시킵니다. 앱의 기본 출력장치는 스마트폰으로 설정되어있으므로
출력장치를 SmartQube 로 변경해줍니다
출력장치를 SmartCube로 선택했으면 이제 재생할 미디어를 선택합니다
스마트폰에는 SmartCube로 영상이 출력되고 있다는 화면이 뜨고(정지/재상/볼륨),
스마트빔 큐브에서는 재생중인 영상을 투사하게 됩니다. 볼륨은 스마트폰의 하드 볼륨버튼을
이용해 간단히 조정할수 있습니다
미라캐스트와 마찬가지로 카메라 노출을 높여서 촬영하는 바람에 화질이 좀 밝게 나왔습니다
실제 영상은 리뷰 종반부 동영상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DLNA/SOFT AP (스마트폰 - 스마트빔 큐브 공유기를 통한 연결)
스마트빔 큐브와 스마트폰을 모두 같은 공유기에 무선으로 링크시킨후 DLNA 지원앱으로
플레이 시키는 방법입니다. 스마트빔 큐브의 PBC 버튼을 2~3초정도 누른후, 공유기의 WPS 버튼을 눌러
서로 링크시켜주면 큐브 , 스마트폰 둘다 공유기에서 할당하는 DHPC서버의 아이피그룹으로 묶이게 됩니다
스마트큐브에 다이렉트로 연결시켰을때에는 스마트폰의 인터넷 사용이 불가했지만
공유기를 이용해 같이 링크시킬경우 스마트폰의 와이파이를 통한 인터넷도 사용가능하고
DLNA를 통한 영상 전송도 가능하게 됩니다
화면 좌측 하단에 192.168.0.103 의 공유기 주소로 잡혀있으면 스마트빔 큐브와 무선 공유기가
정상적으로 WPS 로 연동된 상태입니다.
스마트폰도 마찬가지로 큐브가 아닌 같은 공유기로 접속시켜줍니다
자, 이제 스마트빔 큐브와 스마트폰 둘다 공유기로 접속된 상태에서 Streabels 앱을 실행시킨후
스마트빔 큐브 DLNA/SoftAP 모드로 다이렉트로 접속했을때와 마찬가지로 큐브 디바이스가
장치 목록에 뜨면 선택해줍니다
재생할 미디어를 선택합니다
이미 눈치 채셨겠지만 스마트빔 큐브로 접속했을때와 , 같은 공유기로 따로 접속했을때의
사용법은 똑같습니다. 둘다, 같은 네트워크로 묶어 출력시키는 방식이기때문입니다
다만, 공유기는 광대역으로 연결되어있고, 스마트빔 큐브는 광대역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로컬 전용 공유기라는 차이점만이 있을 뿐입니다
역시 노출 높게 잡혀서 밝게 촬영된 관계로 종반부의 실 동영상 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와같이 스마트빔 큐브와 스마트폰을 모두 같은 공유기에 접속시키면, 큐브 영상을 출력중에
스마트폰의 화면을 전환시켜 인터넷을 사용할수 있게 됩니다
스마트빔 큐브 영상 출력중 웹서핑
WPS 버튼이 없는 공유기의 경우
무선 공유기에 WPS 버튼이 없을 경우에는 스마트큐브 내부설정으로 들어가서 설정해야하는데 이부분이
좀 불편하고 초보자들에게는 어려울수도 있으므로 이런 기능이 있다는것 정도로만 알아두시면 됩니다
공유기는 최저 1만대부터 다양한 제품군이 있으며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WPS 를 지원하므로
새로 교체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방법은 스마트큐브의 PBC 버튼을 눌러 DLAN/SoftAP 모드로 전환시킨후, 스마트폰이나 PC 노트북등으로
스마트큐브에 무선으로 접속,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192.168.8.1 를 입력후, 연결할 공유기의
SSDI 네임, 비번 , 암호화 방법등을 수동으로 입력해주면 됩니다. 오토 스캔및 브라우징 기능을 갖고 있다면
좀더 쉬울수 있지만 미라캐스트, SOFT AP, WPS , HDMI-to-MHL 기능등 쉽고 다양한 출력한 방법이
있으므로 굳이 내부로 접속해 수동으로 설정할일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공유기와 스마트큐브 수동 연결에 성공했다면 STREAMBELS 같은 DLNA 지원 앱을 이용해
출력장치를 스마트큐브로 설정후 미디어를 출력시키면 됩니다
그래프 투사
거리를 두고 화면을 크게 볼시 텍스트 가독성도 일반 빔 프로젝터에 버금가는 화질을 보여줍니다
애니메이션
사랑스러운 아이들과 야외 캠핑을 갔을때 상영해주면 너무도 좋아할것 같습니다
실동영상은 종반부 동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시네마
모니터로 보는것과 확실히 분위기가 다릅니다.
마치 영화관에 와있는듯한 분위기를 자아내기 때문에 사랑하는 연인과 함께 관람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실내에서 사용시 벽지나 천정에 무늬가 없는 곳에 투사하는게좋습니다
무늬가 있으면 아래처럼 원본영상에 겹쳐져 보기 안좋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됩니다
소파와 우측으로 보이는것들이 모두 벽지 무늬입니다
실외 테스트
실외에서는 어둡고 편평한 하얀 스크린벽을 찾기가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산이나 들같은
주변 광원이 없는 캠핑장소나 지하실, 암막 처리된 실내등이 영상을 가장 선명하게
볼수 있는 최적의 장소가 되겠습니다
아파트 복도 천정
주변 광원의 간섭을 받고 있는 상황인데도 좋은 투사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아파트 비상계단
움직임이 많은 영상은 카메라로 촬영시 흔들림이 많으나 실제로는 깨끗하게 나옵니다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vs 북한 이라는 글자도 선명하게 잘 보입니다
아파트 외벽
주변에 가로등이 많아 간섭이 있지만 괜찮은 투사력을 보여줍니다
지나가던 사람들이 신기한듯 발길을 멈추고 구경하다가 가곤 합니다
공원
공원 벤치 중앙 바닥에 투사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자동차가 지나가고 가로등이 둘러싸고 있어 도저히 못볼것 같았는데 의외로 괜찮은 영상을 보여줍니다.
아파트 지하 주자창
역시 간접 조명이 많고 자동차가 지나가고 벽에 빛까지 반사되서 난감한 장소이지만
괜찮은 영상을 보여줍니다. 주변광원이 너무 밝아 노출을 조금 어둡게 해서 촬영했습니다
IPTV 투사장면 실시간 촬영
투사중인 영상을 순간촬영했을때에는 어느정도의 화질인지 표현하기 어려워 직접 동영상으로
촬영했습니다. 반짝이는듯한 느낌이 드는건 빔으로 투사할때 보이는 현상으로 디카같은 정밀
장비에서만 인식하고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영상은 IPTV 촬영장면이며 드라마나
영화 애니등은 저작권 문제로 동영상 제작및 업로드가 불가능함을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TV나 PC 모니터를 직접 촬영해도 모두 저작권에 위배됩니다
소비전력및 소음 측정 !
스마트빔 큐브의 대기전력/소비전력/소음은 어느정도일지, 동시에 측정해 보았습니다.
전원 OFF/ 대기전력 1.95W / 주변 소음 평균 44dB
전원 ON / 밝기 1단계 소비전력 8.91 W / 평균 소음 46~50dB
전원 ON / 밝기 2단계 소비전력 10.98 W / 평균 소음 46~50dB
전원 ON / 밝기 3단계 소비전력 11.87 W / 평균 소음 44~50dB
전원 ON / 밝기 3단계 소비전력 12.23 W / 볼륨 최대 / 평균 소음 80~88 dB
스마트빔 큐브의 볼륨은 우퍼가 내장 됐는지 소리가 꽤 커서 별도의 외부 스피커가 필요 없을 정도입니다
소음 기준표에 따르면 최대 볼륨시 공장소음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나와 있습니다.
내부 발열을 냉각시키기위한 팬소음은 수준은 게이밍 PC 의 3D게임 풀가동시의 공랙식 CPU 쿨러
소음 정도로 다소 큰 편입니다. 소음표 기준으로 45dB 전후이지만 실제 체감 수준은 좀더 큰편입입니다
TO21 스마트빔 큐브 최종 평가
장 점
60mm x 60mm x 60mm / 200g의 초소형 사이즈
유선은 물론 무선으로 간단히 링크시킨후 빔으로 출력 가능
휴대성 용이 / 내장 배터리 / 자체 스피커 / HDMI to MHL 지원
미라캐스트 / DLNA SoftAP /WIDI 지원
어둠이 있는 벽과 바닥 천정이라면 어디든 투사 가능
AUX로 외부 스피커 연결 가능 / 캠핑,야유회, 여행 필수품 !
개선점
하단 삼각대 패드 나사홀 깊이가 앝은 관계로 별도의 고무 패드 제공 필요
촛점 조절을 슬라이드 방식이 아닌 다이얼 방식으로 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소음이 다소 큰 편입니다
좀더 다양한 칼라의 제품 출시가 필요합니다
초미니 스마트빔 큐브!
참 신선한 충격을 주는 좋은 체험기회에 심심한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