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메인보드] AMD 레이븐 릿지에 가장 잘 어울리는 메인보드~ ASRock AB350M PRO4 에즈윈!

아이콘 진사사마
조회: 1173
2018-03-30 10:37:02













< ASRock AB350M PRO4 에즈윈 사용기 목차 >




1. 제품 소개

2. 개봉 및 구성품

3. 외 형

4. 조 립

5. 바이오스 및 프로그램

6. 성능 테스트

7. 사용 소감
















 < 1. 제품 소개 >





















 http://www.aswin.co.kr/page.asp?pageid=product2&pagenum=020200&cate=0215&method=detail&g_seq=757 






 제품명 : ASRock AB350M PRO4 에즈윈










 이번 사용 해볼 제품은




 AMD CPU - AM4 소켓 메인보드


 " ASRock AB350M PRO4 에즈윈 " 입니다.






 에즈원은 ASRock 메인보드 (인텔 , AMD ) 국내 전문 유통 기업이며


 최근에는 ASRocK 제품 외 리드텍 그래픽카드도 출시했습니다.






 ASRock AB350M PRO4 에즈윈 제품 정보를 간단히 살펴보면


 9페이즈 전원부 + 히트싱크로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확장성이 좋습니다.




 비슷한 가격때의 제품중 돋보이는 장점이 많은것 같습니다.




 






 요즘 가성비로 상당히 인기 좋은 CPU




 AMD 라이젠 3 2200G (레이븐 릿지)


 ASRock AB350M PRO4 에즈윈


 시스템으로 구성해 꼼꼼하고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 2. 개봉 및 구성품 >














 레이븐 릿지 2200G 와 같이 사용할 목적으로 구매했습니다.




 저렴하게 A320으로 구성해도 되지만 사용 중 업그레이드 까지 고려해서  


 ( 서밋릿지 - 1600~1700 / 피나클릿지(출시예정) )


 좀 더 안정적인 ASRock AB350M PRO4 에즈윈으로 선택했습니다.




 2017년 3월 서밋 릿지 전용으로 출시가 되었지만


 바이오스 업데이트로 최근 출시한 레이븐 릿지 까지 호환 가능합니다.




 무상 보증 3년입니다.
















 정전기 비닐로 안전하게 포장되어 있으며


 사용하는데 필요한 구성품들이 동봉되어 있습니다.












 램 1개 장착시 A2

 램 2개 장착시 A2 B2 에 장착하면 됩니다. 





 그 외 클럭 별 장착은 메뉴얼 확인 후 장착하세요

















 비슷한 가격 대의 제품들 중


 전원부가 좀 더 많은 편에 +히트싱크가 있어


 발열 제어 효과가 탁월합니다.





 M-ATX 규격이지만 확장성이 좋고 다양한 기능이 있습니다.


















 < 3. 외 형 >













 M-ATX 규격이며 확장성 좋습니다. 





 O - 팬 헤더 3개 - ( 4핀 x2 , 3핀 x1 )


 □ - M.2 2개 - ( Ultra M.2 x1 , M.2 x1 )


 ☆ - PCI 슬롯 3개 - ( 2.0 x1 , 3.0x16 x1 , 2.0x16 x1 )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9페이즈 전원부에 히트 싱크가 부착되어 있어


 발열 제어 효과에 탁월하며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램 소켓 4개이며 한쪽 방향만 제껴서 장착하면 됩니다.





 램 1개 장착시 2 (A2)


 램 2개 장착시 2 (A2) , 4 (B2) 에 장착해서 사용해야합니다.





 라이젠 - 서밋릿지 , 레이븐릿지 2개 동일합니다.














 램 소켓 상단 옆에는 RGB / 팬 LED 헤더가 있어


 커스텀 튜닝 할때 편리합니다.











 AM4 (소켓) - AMD 라이젠 (서밋릿지 , 레이븐 릿지 ) CPU 사용 가능합니다.


 인텔과는 다르게 CPU에 핀이 있습니다.













 ELNA Audio Caps / Realtek ALC 892 Codec이 장착되어 있어


 뛰어난 음질의 사운드를 7.1 CH로 즐길 수 있습니다.








 










 메인보드 오른쪽 하단에는


 USB 2.0 (2개) , 케이스 전원 헤더가 위치해 있습니다.


 


  
















 저장 장치는 


 SATA3 x4 M.2 x2 (M.2 Ultra M.2 x1 , M.2 x1)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혹시 M.2 방식의 SSD와 SATA3 HDD를 같이 사용하게 된다면


 SATA3 포트 잘 확인해서 꽂아 사용해야합니다.


















 메인보드 뒷면 - CPU 쿨러 백플레이트 기본 장착되어 있습니다.






























 < 4. 조 립 >







 최근 가성비 좋기로 유명한 CPU


 AMD 라이젠 3 2200G (레이븐 릿지)를 이용해


 시스템 조립해 보겠습니다.






















 1. 메인보드 CPU 소켓 안전 핀을 올린 후


    CPU , 메인보드에 표기 된 방향에 맞추어서 체결 하면 됩니다.





 구멍에 핀 제대로 넣지 않은 상태에서 누르면 안되며


 꽂은 후 제대로 들어갔는지 확인하세요.
































 2. 동봉 된 기본 쿨러 장착합니다.


    기본 쿨러 안쪽에 서멀구리스 발라져 있어 그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메인보드 쿨러 지지대 부분을 분리해야 장착되며


   뒷면 백플레이트는 그대로 사용합니다.





 기본 쿨러 장착 방향은


 AMD 로고 ← → 장착 가능하지만 → (램) 쪽으로 장착시


 램 소켓 1 (A1) , 2 (A2)를 가려서 사용 못합니다.


 가급적이면 ← 방향으로 장착하는걸 권장합니다.





 아쉽게도 AMD 로고 ↑ ↓ 쪽으로는 장착 안됩니다.





 그리고 팬 전원과 램을 꽂은 상태로 대기




   


















 3. 메인보드 CPU 및 램 장착한 후 대기하고





  케이스에 파워 / SSD를 장착하고


  사용할 파워 / 케이스 케이블을 케이스 안쪽으로 넣어둡니다. 



















 4. 미리 조립하고 대기한 메인보드를 케이스에 넣고


    나사 체결 후 케이블 연결하면 조립 끝 입니다.~




















 * 케이스 전원 케이블 연결 방법 *













 PC 조립 처음하시는분들이 많이 헷갈려하는 부분입니다.


 


 가성비 시스템 구성으로 꾸미는데


 조립비가 부담 될것 같아


 직접 조립 사용하였으면 하는 바램으로 설명드렸습니다.





 위 방법에 따라 순서대로 조립하면 됩니다.














  * CPU 쿨러 / 그래픽카드 간섭 확인 *














 일반 M-ATX 와는 다르게  ATX 규격과 비슷할 정도로 공간이 넓어


 대부분의 CPU 쿨러 / 그래픽카드 문제 없이 장착 사용 가능합니다.
















 < 5. UEFI 바이오스 및 프로그램 >








 2018. 3월 중순 구매했지만


 2018. 1월 버젼의 바이오스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CPU 레이븐 릿지 장착 사용은 가능하지만


 오버클럭 , 그 외 오류가 발생할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바이오스 가장 최근 버젼 (2018. 3월)으로 업그레이드 해서


 사용하는걸 권장합니다.





 업그레이드 안하고 사용하는데 문제 발생 안된다면 그대로 사용해도 됩니다.


 













 Main - CPU , 메인보드 , 램 정보를 간단히 볼수 있습니다.






 










 OC Tweaker - 오버 클럭 관련 설정이 가능합니다.


 ASRock / AMD / Manual (사용자 임의) 설정 가능합니다.












 Advanced - 메인보드 칩 , 기능 설정이 가능합니다.












 Tool - RGB LED , RAID , 바이오스 업그레이드 가능합니다.















 H/W Monitor


 CPU , 메인보드 온도  / 팬 RPM 확인 및 설정이 가능합니다.





 팬 RPM 설정은 단계가 아닌 몇가지 모드로 설정 가능합니다.













 Security - 보안 관련 설정 입니다.











 Boot - 부팅 순서 및 설정이 가능합니다.











 Exit


 Save Changes and Exit (변경 된 설정 저장 후 나가기)


 Discard Changes and Exit (저장하지 않고 나가기)


 


 LOAD UEFI Defaults (바이오스 설정 공장 초기화로 변경)


 일반 , 오버클럭 사용 중 바이오스 설정이 꼬인다면 사용하면 됩니다.














  * 바이오스 초기 화 방법 *










 1. 시스템 전원 Off 상태에서


   일자 드라이버를 이용하거나 손으로 수은 전지 탈착 (몇분 후 장착)






















2. 점퍼를 이용한 바이오스 초기화


   시스템 전원 off 상태에서


   메인보드 하단에 위치한 CLRCMOS1 핀 을 뽑아 옆에 꽂은 후


   다시 원 상태로 꽂으면 자동으로 시스템 전원이 켜지면서 초기화 됩니다.





 일반 , 오버클럭 사용 중 바이오스 설정이 꼬인다면 사용하면 됩니다.
















 < 윈도우 설치 >




 윈도우7 예전 설치 방법 (스카이레이크 UEFI 패치)으로는 설치 안됐으며


 혹여나 윈도우7 설치 한다고 해도


 자잘한 오류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수도 있어 윈도우 10으로 설치했습니다.





 레이븐 릿지는 윈도우 10 최신 버젼에서 정상 작동합니다.


 (Windows 10 RS3 - Fall Creators Update 1709 ~이상)





 윈도우10 설치 후 따로 드라이버 설치 안해도


 대부분 자동으로 설치되어 있어 그대로 사용해도 됩니다.








 내장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가 제대로 안되었다면


 윈도우 제어판 - AMD 관련 프로그램 삭제하고





 https://www.amd.com/ko/support/7706 에서 다운로드 후 설치하면 됩니다.




 










 < FreeSync 설정 >










 1. FreeSync 기능 있는 모니터 사용 (설정에 들어가서 FreeSync 켬)


 2. AMD 그래픽카드 제어판 ( 디스플레이 - FreeSync 켬 ) 





 내장그래픽으로는 FreeSync 효과 없습니다. 










 < 플루이드 모션 설정 >





 


 1. http://bluesky23.yukishigure.com/en/BlueskyFRC.html 다운로드 후 설치


   



















 2. BlueskyFRC 설정 변경 후 시스템 재부팅













 3. AMD 그래픽카드 제어판 ( 비디오 - Fluid Motion 켬 )

















 4. BlueskyFRC 설정 (30P)




 위 이미지에 체크 된 항목 확인하면 됩니다.









 플루이드 모션은 AMD 그래픽카드에만 있는 기능이며


 이 기능 하나때문에 AMD 그래픽카드 선택하는 분들이 있을 정도로


 유용한 기능입니다. 레이븐 릿지 내장 그래픽 카드 큰 장점 중 하나.




 애니메이션 볼때 효과 가장 좋습니다.


 














 < 6. 성능 테스트 >


















 < CPU - Z >










 바이오스 2018 1월 버젼이지만


 레이븐 릿지 사용 가능합니다


 사용중 오류가 발생하거나 오버클럭을 한다면


 최신 버젼 (2018 3월)으로 업그레이드해서 사용하세요 



















 










 < CINEBENCH R15 >


















 < 3D mark11 - 파스 >















 CPU 싱글 , 멀티코어 / 내장 그래픽카드 성능


 예상했던것 보다 휠씬 좋으며 SSD 속도 잘 나옵니다.




 












 < 게임 성능 테스트 >








1 레이븐 릿지 2200G+ASRock AB350M PRO4 에즈윈 디아블로3 테스트





해상도 FHD (1920) , 옵션 전부 낮음 (가장 낮게 설정했습니다.)




프레임 50~80 까지 나오며 원활하게 플레이 가능합니다.














2 레이븐 릿지 2200G+ASRock AB350M PRO4 에즈윈 다크소울3 테스트





해상도 FHD (1920) , 옵션 전부 낮음 (가장 낮게 설정했습니다.)




프레임 18~35 나오며 순간순간 중요한 게임이니

원활하게 플레이하기에는 조금 부족합니다.












3 레이븐 릿지 2200G+ASRock AB350M PRO4 에즈윈 오버워치 테스트





해상도 FHD (1920) , 옵션 전부 낮음 , 랜더링 스케일 75%




프레임 55~80 나오며 아나 , 위도우 같은 원거리 케릭


플레이하기에는 조금 힘듭니다.

그 외에는 어느정도 원활하게 플레이 가능편입니다.












4 레이븐 릿지 2200G+ASRock AB350M PRO4 에즈윈 배틀그라운드 테스트





해상도 FHD (1920) , 옵션 전부 매우 낮음 , 스케일 75%




평균 프레임 40~50 프레임 정도 나왔지만

그래픽이 너무 안좋고 인벤토리 열거나


플레이 도중 가끔 프레임 드랍 현상이 있어서

플레이 하기 많이 힘든편입니다















 시스템 전체 사용량이며


 내장 그래픽이라 사용 전력이 낮습니다.












 고사양 게임은 플레이 하기 힘든 편이였지만


 사양 낮은 편에 속하는 게임들은 원활하게 플레이 가능해서





 CPU , 내장 그래픽 성능이 생각 했던것 보다 훨씬 잘 나와서 놀랬습니다.






















 < 7. 사용 소감 >







 ASRock AB350M PRO4 에즈윈를 사용해 본 결과


 자잘한 오류나 블루 스크린등 문제점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고


 안정성 , 성능 , 기능 괜찮고 전부 잘 작동했습니다.


  








 9페이즈 전원부에 히트싱크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구조의 설계로 CPU쿨러,그래픽카드 간섭이 없는 편입니다.




 그리고  확장성이 뛰어나 굳이 고급형 보드의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분들에게 강력히 추천할 정도로 잘 나온 메인보드로


 비슷한 가격때의 제품 중 가장 마음에 듭니다.














 AMD CPU 라이젠 서밋 릿지 - 레이븐 릿지 - 피나클릿지(출시 예정) 까지


 호환성이 (피나클릿지는 확실히 모름)  좋기 때문에


 구매해서 사용해도 절때 후회 할지 않을것 같습니다.

















 ASRock AB350M PRO4 에즈윈 /  AMD AM4 소켓 메인보드


 구매 예정인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이 사용기는 자비로 직접 구매해 작성하였습니다. "

















Lv86 진사사마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