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일반] [Dev] 14.13 추천 룬 / 아이템 변경 패치 관련 코멘트

Mnnnnnn
조회: 1223
추천: 4
2024-06-20 18:06:04
< 추천 룬 / 아이템 >

● 아지르 / 탑 트런들 / 신지드 / 칼리스타

1. 추천 룬/아이템과 승률의 상관관계

추천 룬과 아이템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 한 가지 더 있습니다. 한 가지 실험이 제가 개발팀에 합류하기 전에 진행되었다고 들었는데, 듣기에는 헤카림, 잭스, 릴리아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이들의 추천 아이템을 개선하는 것이었죠. 릴리아의 2코어로 존야를 없애고, 잭스와 헤카림의 1코어로 신성한 파괴자를 없애는 방식이었습니다. 당시에 이들 챔피언들이 대부분 관성적으로 잘못된… 그러니까 승률이 낮은 빌드를 가면서 지표를 불필요하게 깎아먹고 있었거든요. 그래서 좀 더 나은 승률을 내고 있는 빌드를 추천 아이템에 추가해주는 그런 패치를 꾀했습니다.

그러나 지표가 말하길 각각 삼위일체 1코어와 리안드리 2코어가 신파자와 존야 등보다 압도적으로 좋은 승률을 보이고 있었음에도, 일련의 패치가 적용된 이후 승률에 미치는 영향은 아주 미미했습니다.

이런 일이 발생한 것은 기존 추천 아이템이 추천 아이템에서 밀려나고, 추천 아이템에 없던 지표상의 다른 아이템이 추천 아이템으로 올라올 경우, 지표가 역전되기 때문입니다. 기존에는 ⓐ.삼위일체 > 신파자의 승률을 보였다면, 삼위일체가 추천 아이템에 오르고 신파자가 추천 아이템에서 지워졌을 때 ⓑ.반대로 신파자 > 삼위일체로 지표가 엎어지는거죠.

이는 "추천 아이템"에 수록되어 있는 아이템들이, 대체로 그 챔피언의 비숙련자나 뉴비들이 일상적으로 구매하는 아이템이 되는 탓입니다. 초심자들이 상대 챔피언이나 조합, 구도에 따라 빌드를 변용해가며 쓸 리는 거의 없으니 그냥 추천 아이템에 떠 있는 것만 순서대로 가는거죠. 비숙련집단의 유입이 추천 아이템 빌드의 승률을 낮추고, 추천 아이템에 없는 아이템의 승률을 높이는 현상을 불러일으키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패치 적용 이후 삼위일체가 더 높은 승률의 아이템이었던 것이, 패치 이후에는 신성한 파괴자 기반 빌드가 더 높은 승률을 보이는 아이템으로 자리잡았습니다. 릴리아에게도 비슷한 현상이 발생했었고, 결과적으로는 아주 미약한 수치정도만 승률이 상승하였던 사실이 관찰됩니다.

2. 일부 챔피언별 추천 룬 재조정

건드리기 까다로운 난이도 있는 챔피언들의 정확한 지표나 추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저는 이러한 실험을 다시 진행해볼 계획입니다. 이 챔피언들, 혹은 이 비교군은 이런저런 결과를 냈군, 이런 상태에 있다고 추측해볼 수 있겠군, 뭐 그런 것들이죠. 물론 이런 실험이 챔피언의 실성능에 악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며, 관찰 목적의 실행이니 유저분들께서는 너무 우려하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여튼 그래서 같은 실험을 다시 해볼 생각인데, 이번에는 추천 룬도 함께 합니다. 몇 패치 전에 크산테로 동일한 실험을 해봤었고, 지난 패치에서 총 7명의 챔피언들을 추가로 실험에 추가했습니다. 이번 패치에서는 여기서 4명의 챔피언을 또 추가합니다.

현재까지 관찰한 바에 따르면, 거의 최대 2% 이하에 가까운 승률 변동이 있었습니다. 충분히 좋은 성능을 내고 있음에도 소외되어 잘 쓰이지 않는 일부 룬들이 있습니다. 중요한 건 성능상으로는 충분히 "좋은" 룬이라는 것입니다. 중요하니까 한 번 더 강조했습니다. 안 좋은 룬이라 소외되는 것이 아니라, 성능상으로는 이미 충분히 괜찮음에도 관성적으로 외면되는 룬들이 있습니다. 이런 룬들을 어울리는 챔피언에게 권장해주고 빌드를 교정했을 때 최대 2%까지의 승률 변화가 있었다는 것입니다.

3. 크산테

물론 일부 사례에서는 실질적인 성능이 그리 크게 변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아마 그런 경우도 있죠. 다만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현상이 챔피언의 난이도가 높든 낮든 상관없이 모두 동일하게 관찰된다는 것입니다. 크산테를 예로 들어보자면 크산테의 추천룬을 보호막 강타로 옮겨두었는데, 크산테는 해당 룬을 아주 탁월하게 사용할 수 있는 챔피언 중 하나죠. 기존에 사용하던 철거에서 보호막 강타를 고려할 수 있도록 추천룬을 그 쪽으로 바꾸어 두었습니다. 

실제로도 보호막 강타의 승률은 같은 줄의 철거를 사용했을 때보다 2.5-3% 가량 승률이 더 높게 집계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철거 ↔ 보호막 강타를 추천룬 리스트에서 교체하였을 때, 앞서 말했던 것과 같은 승률 역전 현상은 이번에도 일어났습니다. 철거의 승률이 2% 미만 정도로 보호막 강타보다 앞서게 됐죠.

철거(추천 룬) / 보호막 강타(일반) :::: 보호막 강타 > 철거 (승률 차이 2.5-3%)
보호막 강타(추천 룬) / 철거(일반) :::: 철거 > 보호막 강타 (승률 차이 2% 미만)

말씀드렸다시피 어떤 빌드가 추천 빌드에 포함되면, 비숙련자층의 유입으로 인해 해당 빌드의 승률은 낮아지게 됩니다. 반면 포함되지 않는 일반 빌드는 상대 승률이 올라가죠. 따라서 비숙련자층의 유입 때문에 승률 역전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당연하지만,

중요한 것은 추천 룬을 스왑했을 때 두 빌드 간 승률 격차가 이전보다 줄었다는 것입니다.

- 보호막 강타가 추천 룬에 들어있지 않았을 때는 무려 최대 3% 가까이 철거를 앞질렀지만,
- 반면 철거가 추천 룬에 들어있지 않을 때는 고작 1.n% 정도만 보호막 강타를 앞지릅니다.

- 보호막 강타가 추천 룬에 들어있을 때는 철거에 비해 고작 1.n% 정도만 뒤쳐지지만,
- 철거가 추천 룬에 들어있을 때는 보호막 강타에 비해 최대 3%까지 뒤쳐진다는거죠.

즉, 어떤 룬이 추천 룬에 들어갔을 때 승률 패널티를 받게 된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같은 패널티를 받더라도 보호막 강타가 철거에 비해 훨씬 덜 승률 손해를 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크산테에게 있어서 보호막 강타가 철거보다 더 좋은 룬이라는 걸 알 수 있죠. 그렇다면 보호막 강타를 추천 룬에 두는 것이 "아마도" 더 올바른 결론이 됩니다.

당연하게도 물론 여러가지 변수가 있긴 합니다. 매치업에 따라 달리 룬을 든다던지, 빌드를 짠다던지 하는 경우가 당연히 있고, 여기서 지표에서는 관측되지 않는 승률 차이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다만 말씀드리는 것은 어디까지나 일반론적인 측면에서, 보편적으로 "아마도" 이러한 추천 룬 변경이 올바르게 작용할 여지가 있다는 것입니다.

4. 기타 챔피언들

비단 크산테 뿐만 아니라 이러한 조정이 시범적으로 여러 챔피언에게 적용되었습니다. 갱플랭크, 르블랑, 탈론, 세라핀, 카르마 등이 대상이었죠. 이들은 모두 추천 룬 변경 이후 유의미한 수치로 승률이 상승하였습니다. 가장 눈에 띄었던 것은 르블랑으로, 거의 꽉 찬 1%를 넘는 승률 상승을 보였죠. 그저 추천 룬을 바꾸어 주었다는 이유만으로요.

동일한 패치에 르블랑은 새로운 스킨을 받게 됐습니다. 신 스킨이 나오면 으레 그렇듯 픽률이 가파르게 뛰어오르는 편입니다. 하물며 이번 스킨은…. (페이커 명예의 전당)
픽률이 이렇게 가파르게 상승하면 당연히 비숙련자층은 더욱 더 넓고 단단해집니다. 물론 르블랑을 접었다가 다시 돌아오는 르블랑 원챔들도 섞여있기에 마냥 악영향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어느 쪽이든 지표가 쉽게 불안정해질 수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래서 동일한 실험을 르블랑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챔피언들에게도 적용해보았습니다. 르블랑의 지표만을 유일한 비교 자료로 쓸 수는 없으니까요.

르블랑 뿐만 아니라 비슷한 조치를 받은 다른 수많은 챔피언들 역시 모두 크든 작든 승률 상승 현상이 관측되고 있으며, 그 수치 또한 유의미합니다. 직접적인 버프를 받은 것이 없었지만, 유저분들에게 보다 정확한 추천 룬 / 아이템을 개선하여 전해드리는 것만으로도 평균 승률이 의미있게 뛰어올랐죠. 이는 분명한 사실입니다.

여기에 챔피언의 난이도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는 것도 재미있는 부분입니다. 세라핀이나 카르마는 크산테에 비해 훨씬 쉬운 챔피언이지만, 추천 룬을 변경했을 때 세 챔피언 모두 비슷한 규격으로 승률이 상승하였습니다. 말씀드렸다시피 최대 2%까지 올라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챔피언의 난이도와 무관하게 말입니다.

이건 상당히 기묘한 일이긴 하지만, 사실은 사실이니까요. 여하튼 이말인즉슨 저희는 상당히 손쉽게 챔피언의 승률을 0.2-1% 가까이 끌어올릴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빌드 최적화를 공유하고, 보다 많은 유저분들이 보편적으로 더 높은 승률을 낼 수 있는 빌드를 채택할 수 있게끔 제안하면서요.

하루 일과를 모두 끝마치고 나면, 그러니까 더 이상 미팅도 없고, 다음 패치를 위한 패치안도 다 만들었고, 해당 패치 버전의 일정이 마무리 되면, 제게 6시간 정도 자유시간이 생기는데, 그 때 각종 챔피언들의 장인들이 모여있는 각종 창구를 기웃거리곤 합니다. 유튜브라던지, 커뮤니티라던지…. 그러고선 여기에선 이 챔피언의 이 장인이 이런 빌드를 만들었구나, 이런 최적화를 했구나, 하고 살펴보는 합니다. 하나같이 아주 탁월한 빌드들임에도, 대부분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저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런 것들을 추천 빌드에 포함시킬 수도 있죠.

특히 평균 승률이 매우 저조한 챔피언들에게 이는 아주 좋은 처방이 되어줄 수 있습니다. 잘못된 빌드를 가면서 불필요하게 지표나 승률을 깎아먹는 경우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챔피언의 접근성을 보강하는 좋은 장치도 될테죠.

여기까지, 최근에 몇 차례 진행되었던 추천 룬 변경 관련 조정을 진행하게 되었던 이유를 설명해드렸습니다.

Lv31 Mnnnnnn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LoL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