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L/e스포츠 이야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일반] LCK BNK VS 광동 1세트 분석

Ahxy
조회: 197
2024-06-28 18:56:25

스크린샷 2024-06-28 170730.png
ap 정글이 모두 풀려있는 상황 bnk는 당연히 트타를 가져오고 광동은 이즈 니달리로 맞불을 놓는다. bnk는 그다음 1티어 카드인 스카너 그리고 트타에 짝궁으로 마오카이를 선택해 조합에 단단함을 만들고자 했고 광동은 크산테로 첫 밴픽을 마무리 짓는다.

스크린샷 2024-06-28 170642.png
여기서 광동은 상대가 원딜로 기용할 수 있는 하이퍼 캐리형 원딜인 제리와 카이사를 잘라내고 남은 원딜카드를 제한시킨다. 광동의 미드 선택은 흐웨이였고 이는 니달리 이즈와 연계되는 포킹 조합을 맞추려는 선택으로 보인다. bnk는 바텀조합을 직스 렐로 완성시켰고 광동은 부족한 이니시를 메우기 위해 남은 서폿 카드 중 라칸을 선택하게 된다. 다만 이 직스 픽은 광동이 생각하지 못한 부분.

bnk가 마오카이를 선택한 이유는 상대의 포킹을 막아내고 팀의 이니시 부담을 지우기 위해 선택한 것으로 보이고 광동 입장에서 불편한 부분은 이즈를 통해 바텀의 주도권을 잡아두고 싶었지만 이즈 라칸은 상대를 압박할 수 있는 카드가 아니다. 과연 이 부분이 인게임에서 어떻게 작용할지 궁금한 부분이다.

스크린샷 2024-06-28 170918.png
광동의 날카로운 초반 설계. 마오카이의 약점이라고도 볼 수 있는 초반 구간. 상대의 인베 설계에 레드를 순순히 내줄 수 밖에 없었고 이는 bmk의 초반 설계를 무너트리는 부분이다. 

bnk 입장에서는 마오카이의 초반 성장이 절대적으로 중요하고 니달리와 정글링을 맞춰가야만 트타에게 힘을 실어줄 수 있는데 여기서부터 꼬이게 된다. 스크린샷 2024-06-28 170952.png
결국 이 초반 설계로 인해 레드를 먹은 니달리가 미드 개입을 하게 되고 초반 주도권을 잡아주어야만 하는 트타가 플래쉬가 빠지게 된다. bnk입장에서는 치명적인 피해를 입은셈. 

니달리는 상대 레드와 칼날부리를 카정했기 때문에 이대로 윗 정글을 돈 후 아래 캠프만 지키게 된다면 니달리 특유의 스노우볼을 계속해서 굴릴 수 있게 된다.

스크린샷 2024-06-28 171129.png
다만 광동의 설계가 무너진 부분. 바텀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선택한 이즈가 짝꿍으로 라칸이 선택되게 되면서 바텀의 라인전이 밀리고 치명적인 딜교환을 당하게 된다. 밴픽 단계의 설계는 이 주도권을 이용해 정글을 반반을 갈라넣어서 압박을 주는 것이였겠지만 오히려 역으로 밀리는 구도가 나오게 된다.스크린샷 2024-06-28 171139.png
이 아래정글만 지켜낸다면 압도적인 정글 차이를 유지할 수 있었겠지만 결국 블루를 내주고 마는 모습. 

다만 bnk와 광동 중 누구의 설계가 망가진 것이 더 치명적이냐고 물어본다면 당연히 bnk일 것이다. 미드의 주도권을 잡아주고 흐웨이를 압박해야만 하는 트타가 완전히 망가지고 말았다. 이미 텔포까지 사용한 모습.스크린샷 2024-06-28 171358.png
6분 경 지속되는 유충 눈치 싸움. 

하지만 광동은 흐웨이를 무난하게 성장시켰고 대치 상황에서 렐 마오카이 트타/ 니달리 흐웨이 라칸 중 어떤 조합이 더 유리하냐 라고 물어봤을 때 당연하게도 광동쪽일 것이다. 트타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해 상대를 한점 돌파할 딜이 나오지 않고 지속적인 포킹으로 인해

스크린샷 2024-06-28 171440.png

결국 유충 교전에서 패하는 bnk. 결국 트타가 상대를 잡아낼 딜이 나오지 않았고 광동의 초반 설계가 주요하게 들어가 이 유충 교전에서 트타를 말리게 한 스노우볼로 이겨낸다.스크린샷 2024-06-28 171655.png
광동의 바텀 설계가 망가지고 직스가 유리함을 잡게 되면서 나오게 되는 블루 카정. 다만 누구의 설계가 더 주요했는지 여기서 나오게 된다. 흐웨이의 존재감 때문에 bnk는 이득을 보지 못하게 되고 팀적으로 직스를 제외하곤 어느 누구도 이득을 보지 못하는 모습.스크린샷 2024-06-28 171902.png
유충 눈치 싸움이 시작되는 11분 경 이즈가 직스를 향해 딜교환을 시도하는 모습이 나온다. 왜 이즈가 어거지 딜교환을 시도해야만 했는가? 여기서 이즈와 직스의 스펠 차이를 확인해야 하는데 직스가 나오면 상대 원딜도 텔을 드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마오카이와 렐의 압박 때문에 정화를 선택해야만 했고 이즈가 여기서 직스를 압박하지 못하면 텔이 있는 직스는 라인을 푸쉬한 후 텔포를 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저지해야만 했다. 스크린샷 2024-06-28 171947.png
하지만 실패했고 직스는 텔포를 타게되고 4대5 상황을 맞게 된다. 다만 흐웨이는 이런 대규모 한타에서 빛을 발한다. 라칸과 니달리의 핑퐁, 크산테의 탱킹 그리고 흐웨이의 딜을 감당하지 못한 bnk는 스크린샷 2024-06-28 172026.png
결국 대패하게 되고 상대적 유리함을 가지고 있던 바텀마저 이즈가 삼위일체를 띄우고 복귀하면서 게임이 터지게 된다.


경기를 복기해보자면 bnk와 광동 모두 밴픽에서 가지고 왔던 설계가 하나씩 망가졌지만 그것이 더 치명적인 쪽은 bnk였고 bnk입장에서는 어떻게든 트타를 복구해줬어야 했고 차라리 유충 싸움을 해주는 것이 아닌 유리함을 가지고 있던 직스 쪽으로 투자를 해서 용을 챙겨가는 편이 어땠을지 아쉬움이 남는다.

Lv1 Ahxy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LoL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