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틀마스터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잡담] 기록,정리용) 나선경에 관한 정리와 최적화 사이클

아이콘 Methe덕
댓글: 15 개
조회: 4120
추천: 13
2025-07-08 19:53:04
선요약:
 * 본 글은 현재 대다수의 오의배마가 사용인 것으로 판단되는 (폭쇄-풍신휘몰-금뢰간소) 루트에 비해 기존 나선경 사이클이 가지는 단점들을 최대한 극복하고자 한 사이클을 제시.
* 세팅 부분의 특징과 함께, 쿨타임 감소가 어느정도로 세팅되어야하는지 전달하며 치신팔찌도 항상 4버블 오의를 사용가능한 이유를 설명. 
* 딜 계수로는 나타낼 수 없는 스킬 시전시간 등의 요소를 바탕으로 나선경 사이클이 실제 레이드에서 유리한 점들을 정리하며 관련하여 실제 운용간 경험하고 느낀 점들을 공유.
* 폭쇄진에게 유리하게 계산된 이론 딜계수 계산에서 고안된 사이클이 (폭쇄-풍신-금뢰간소) 사이클에 비해 약 3% 이상 우위인 것을 확인.

---------
더 들어가기 전에, 지금 배마는 아크그리드가 나오지 않는 한 추가로 연구될게 거의 없는 상황임.
애초에 배마라는 직업에 유별나게 강한 스킬트리가 있는것도 아니고, 그냥 멀쩡한 세팅에 피격이상 안뜨고 올바른 콤보로 쿨마다 따박따박 스킬 돌리는 사람이 쌤.
다소 과하게 폭쇄진 쪽으로 뭉쳐져있는 주의를 환기하고자 하는 글이지, 폭쇄진이 쓰레기고 반드시 나선경을 써야한다는 글이 아님. 

1, 2 장은 개인 연구이므로 다른 사람 입장에서 다르게 생각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음. 사이클은 3장부터.



1. 폭쇄진 vs 나선경 : 나선경 왜 씀?
* 지난 패치로 폭쇄진은 16% 너프, 나선경은 5% 버프를 먹었다..
* 그러나 대다수의 여론은 '나선경 다 맞추면 좀 더 쌔긴 할텐데, 압축도 구리고 그냥 폭쇄진 쓰고 말지'로 귀결되었다.
* 글에 들어가기 전에, 기존의 나선경 사이클이 '좀 더' 강한게 얼마나 강한지 확인을 해봐야한다.
  다음은 비교대상들이다.

  폭쇄진
    - 트포 및 도약: 용포 자증, 금뢰 간소, 풍신 휘몰
    - 사이클 : 바폭용창뇌금풍화(2버블 화룡) / 바폭용창뇌풍붕화
    - 비고 : 돌대기준 (2버블 화룡, 용포+바속) 안에 넣는게 (4버블 화룡, 용포+붕천)보다 딜 계수가 더 강하여 해당방향으로.
                폭쇄진의 경우 딜 계산은 전체 5타 중 앞의 3타는 바속만, 뒤의 2타는 바속용포 모두 적용되게 계산하였고, 화폭의 경우 로스트빌드를 참고하여 계산하였으나 현재 실제로는 오의강화(버블당 딜증) 깨달음이 적용되지 않는 버그가 있어 해당 부분 반영.

  나선경
    - 트포 및 도약: 용포 패잔(자증 해도 의미X), 금뢰 간소, 풍신 휘몰
    - 사이클 : 용바창뇌금풍붕화나(2버블) 붕나(4버블) / 바폭용창뇌풍붕화 붕나(4버블)
    - 비고 : 유사하게 (4버블 용바 화룡, 2버블 용바 나선)이 (4버블 용바 나선, 3버블 용바 화룡)보다 강하여 해당방향으로.

  딜 계수를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왼쪽부터
    1. 금뢰각 사이클
    2. 일반 사이클
    3. 일반 사이클에서 붕천 쓸 시간이 없거나 붕나를 못넣는 등 삑사리난 사이클

    요약하면, 폭쇄진 사이클 대비 기존 나선 사이클은
    1. 금뢰 사이클의 경우 나선경이 폭쇄에 비해 딜 계수가 약 2.3% 정도 더 강함
    2. 일반 사이클의 경우 나선경이 폭쇄에 비해 딜 계수가 약 1.0% 정도 더 강함
    3. 삑사리 난 사이클의 경우
      3-1. 붕나를 한번 못 넣는 경우, 삑사리 난 폭쇄에 비해 딜 계수가 약 3.6% 정도 더 약함
      3-2. 붕나를 한번 못 넣는 경우, 일반 폭쇄 사이클에 비해서는 딜 계수가 약 6.3% 정도 더 약함
   
    이는 크게 추가적인 계산을 안해도, 나선경 실수 한번 하는 순간 사이클 3~4번 간 쌓아온 이득이 없어진다는 의미로 해석가능.
    -> 요약. 계산으로만 보면, 폭쇄진을 써야하는 것이 훨씬 타당해보인다.


2. 아닌데? 나선경쓰고 실질 딜은 올라간거같은데? : 딜계수로 보이지 않는 장점들
* 위의 딜계산만 본다면 나선경은 하이리스크 초로우리턴의 선택지로 보인다.
* 하지만 누군가는 '체감 딜량은 올라갔던거같은데?'라고 할 수도 있음. 이는 단순히 해골물일 수도 있으나, 딜 계수엔 표시되지 않아도 실질적인 딜량 상승에 기여하는 변인들이 존재한다.

  1) 활용가능한 바속의 시간의 차이에서 오는 문제들 - 가장 유의미
    -> 용바 지속시간의 차이는 풍신, 화룡의 바속 적용률에서 유의미하게 작용한다. 딜계수에서 고려한 삑사리는 어디까지나 마지막에 살짝 절었을 경우를 상정하는 것이지 보다 다양한 상황(대부분 회피. 스페가 있다면 스페피면컨으로 상쇄가능하지만...)의 대처에 필요한 시간 소요를 반영하지 않았다. 상황대처에 필연적으로 소모되는 것은 용바 지속 시간이다.  
        바속의 지속시간은 8초(순환 첫 패치때 6초는 어캐 살았던건지ㅋㅋ), 풀공속 기준, 바속-폭쇄진은 시전시간 1.25초, 용포는 0.417초가 걸린다. 폭쇄진 사이클 기준 바폭용-까지만 해도 바속 버프 8초 중 1.66초가 소모되게 된다. 서버렉까지 고려하면, 남은 버프시간은 약  6.4초 정도이다. 나선경 시전 시간은 풀공속, 노질풍룬, 재빠손 기준 0.6초의 시전시간이 걸린다. 전체 주기로 보면 2번 사용하지만 바속 버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은 (용바창뇌(금)풍붕화(뇌)나)의 마지막즈음 0.6초 뿐이다. 
        폭쇄진 사이클의 경우 가장 약한 스킬을 마무리하고 창룡을 쓰는 시점에서 이미 바속 시간의 20%가 소모되어 6.4초가 남는다. 나선경의 경우, 패잔 채용 가능으로 용포 시전 시간이 바속 지속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아 창룡을 쓰는 시점에서 바속 버프가 8초 거의 그대로인 상태에서 시작한다. 실전에서 이 체감은 매우 크다.(당장 최근 패치가 바속 6->8초다!) 또한 보스의 이동이나 패턴 회피 등으로 시간이 조금 더 모자라게 된 상황에선 아예 나선경을 바속에서 배제하고 강한 스킬들 위주로 적중시킨 뒤 나선경을 붕천 공증에 용포 패잔 지속시간에 넣는 식으로 보완이 가능하다. 나선경을 바속에서 배제하는 경우, 폭쇄와 비교했을 때 여유시간의 차이는 2.26초로 더욱 의미가 있어진다.
        이런 차이점이 가장 유의미하게 드러나는 부분 중 하나는, 사이클 도중 금뢰각의 쿨이 돌아오는 상황이다. 금뢰각은 무조건적으로 용바 지속시간 안에 써야하는 스킬이지만, 바속 사이클 기준으로 쿨이 깔끔하게 정렬되지 않는다.(속행을 써서 정렬을 시도하는 경우는 다음 파트에서 다룬다.) 최초 금뢰 사이클 후 2번정도 일반 사이클을 굴리면, 그 뒤에 일반 사이클을 굴리는 도중 쿨이 도는게 보통이다. 워낙 레이드가 다양한 변수가 있고, 매 순간 상황이 달라지기에 경험적인 부분으로 설명하는 것이 최선이지만, 폭쇄와 나선 둘 다 사용해본 입장에선 나선경을 사용했을 때 "오 이거 풍신쓰고 붕화 사이에 금뢰 박을만하겠다" 하는 순간이 확실히 더 많았다. 폭쇄의 경우 여유시간이 부족하여, 금뢰 쿨이 돌았음에도 바속이 매우 조금 남아 다음 용바를 기다리는 경우가 제법있었는데 나선경은 그런 경우가 더 적게 느껴졌다. (해골물일수도 있고, 결국 전투분석이 나와봐야 알 수 있는 부분일 수도 있지만...) 요지는, 나선경을 채용했을 때 폭쇄진에 비해 더 적은 손실로 금뢰각의 가동률을 올릴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이다.

  2) 속행룬과 금뢰각의 기대 값어치 상승 - 부수적
    금뢰각의 값어치가 더 커진 상황에서, 사이클에 약간 안맞게 돌아가는 금뢰쿨을 줄이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속행룬 채용이 늘었으며 극단적으로는 4속행을 사용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보통 폭쇄 사이클에서 속행이 고려되는 스킬들은 바속, 용포, 풍신(폭소채용), 화룡(보통 여기에 전설) 등이 있다. 이때 바속과 용포에 속행을 넣는 경우 창룡이 속행 영향을 받을 수 없어 금뢰 쿨 감소 이외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폭소 채용의 경우 속행이 들어가는건 괜찮으나 풍신자체의 딜이 떨어진다.(딜압축의 장점은 존재한다. 이렇게 보면 한편으로는 폭쇄는 폭소가 맞는거같기도...?) 화룡은 사이클의 마지막으로 모든 스킬에 적용될 수 있어 이상적이나, 질풍의 부재로 용바 내에 화룡이 못들어가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풍신 휘몰의 경우). 나선경의 경우, 가장 쿨이 긴 스킬들 이후에 사용이 되어 전체 사이클을 땡길 수 있고, 한 바속 주기에 두 번 사용되며, 기본 시전 시간이 빠른 편이라 질풍 의존도가 낮다는 강점이 있다. 또한 이 강점들은 1)에서 설명된 강점과 시너지가 있어, 금뢰의 기댓값을 더 높일 수 있다.


  3) 최적화된 나선경 사이클과 세팅들
    우선, 현재 나선경 사이클 [용바창뇌(금)풍붕화뇌나    붕나]을 두고 보았을때, 문제점들을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1. 폭쇄진에 비해 딜압축이 아쉽다.
    2. 패잔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으로 굴리면 붕나에 용포가 안묻는다. 
    3. 저 사이클대로라면, 붕나를 쓰고 아주 조금 있다가 [용바~~~] 사이클을 시작해야한다.
    4. 나선경은 0.5버블인데, 존재하는 수급기들이 전부 1.5 버블이라 넘친다. (중요한 문제)
    5. 바속 시간 내에 시간이 빡빡해서, 바속을 못 묻히고 바속 사이클의 나선경이 붕천+용포 버프만 발릴때가 많다.

  1번은 나선경이 스킬에 포함되는 한, 어떻게도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이므로 배제하였고, 2~5 번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고민해본 결과, 여러 방향으로 응용이 가능한 재밌는 해결책이 나왔다.
    1. 나선경을 스킬 사용 중간으로 땡긴다.
    2. 붕천퇴를 1타만 사용한다! 1타로도 0.5버블은 찬다!
   2번이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위 두 해결책을 바탕으로 정리된 사이클은 다음과 같다.

금뢰 사이클:
(붕천 1타)
..... 

일반 사이클:
(붕천 1타)
.....

    이렇게 되는 경우, 원래 붕천퇴 하나를 [1타 - 2타] 차는 시간에 [나선경(0.5버블 소모)-붕천퇴 1타(0.5버블+ 회복)]으로 바꿀 수 있다. 금뢰각 사이클의 경우는 화룡까지 안정적으로 바속에 넣으려면 8~9틱 정도에서 끊고 뇌명-화룡을 사용하면 안정적으로 들어가게 된다. 일반 사이클의 경우에는 풀콤보를 넣어도 1초 가까이 시간이 여유로워진다.

    위 사이클에 따른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1) 뇌명 쿨이 4.05초 아래여야 하며, 쿨이 짧을 수록 좋다.
          이는 질증+신속500이상+10작 같은 케이스가 아닌 이상 진화 2티어 노드에 최적화 훈련을 찍어야한다는 말이다. 
          올 8겁작 기준 신속 400, 9겁작 기준 신속 350도 가능은 하다. '풀공속 이후 신속은 의미가 없는거 아니냐!' 고 할 수 있으나, 붕천 나선을 돌릴때 값어치가 있으므로 폭쇄진을 쓰던 시절보단 조금 더 올려도 괜찮다.(돌대약간+붕나 공속)
      2) 나선-붕천1타 후 반드시 풍신을 먼저 써야한다.
          풍신의 시전시간이 다음 2버블 오의(화룡) 전 뇌명각의 쿨을 벌어주는 시간과 정확히 일치한다.(뇌명 쿨을 4.05초 아래로 맞춰야하는 이유) 비상시에 화룡을 먼저 쓰는게 가능하나, 뇌명 쿨을 기다려야하여 풍신초래 풀틱을 먹일 수가 없게된다. 뇌명 쿨이 짧을 수록 좋은 이유는 이때문.
      3) 바속 바깥의 붕천-나선이 용포 효과를 받을 수 있다.
          두 사이클 모두, 나선경을 빨리 사용했으므로 용포패잔이 4~3초정도 남았을때 붕천-나선이 돌아오게 된다.
      4) 치신팔찌도 모든 오의를 풀버블로 사용가능하다.
          붕천퇴(전풍) 1타가 0.5버블을 채워주는 특화 1138이다. 뇌명각 1.5버블 조건을 맞춰놓기만 하면 치신팔찌를 쓰던 말던 모든 오의가 4버블로 나갈 수 있다.
      5) 붕천퇴의 [급소 노출] 트포가 의미가 적다.
          시너지도둑이냐 소리가 나올 수도 있지만, 사이클을 굴리면서 붕천을 두 번 쓰는데, 두 순간 다 용포 시너지의 지속시간이 6초 이상 남아있다. 물론, 용포가 빗나갔을때를 상정하면 급소노출이 의미가 있으나, 개인적으로는 탁기로 붕천 1타의 명중률을 높이거나 재발로 붕나를 빠르게 사용하는 것이 더 효용성있었다. (탁기 vs 재발 선택가능.)

    (번외로, 조정하기에 따라 오의준비를 엘리멘탈 연소보다 더 높은 효율로 뽑아낼 수 있다는 점도 있긴 하나 다루지 않겠다. 유의미 하긴 했으나, 사이클 도중 쿨 돌아온 금뢰각의 유동적 사용에 딜증이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트포 나머진 일반 오의배마와 똑같고,

붕천은 1트포는 급소노출, 탁기, 재발 중 자유선택
용포 3트포는 패잔 채용.

룬의 경우 
붕천 전풍 / 뇌명 영풍 / 바속 정화(자유) / 용포 출혈 or 중독 (얘도 0.5버블만 채워주면 됨) /  
창룡 전설질풍 / 풍신 전설질풍 / 화룡 영웅질풍(영웅속행, 비전 가능하나 질풍 추천) / 나선 전설속행

쿨타임 맞추고 싶으면 뇌명각 쿨을 4.05초 가까이(더 낮을수록 좋음)로 맞추면 되는데, 뇌빼고싶으면 올 8겁작 기준 신속 400에 최적화훈련 2 채용. 

----

4. 최적화된 사이클의 딜계수 비교

  정리하면 기존 나선과 비교했을때, '붕천-나선'이 용포의 효과를 받을 수 있게 되어
    * 금뢰각 사이클 기준, 폭쇄대비 약 3%, 기존 나선경 사이클 대비 약 0.8% 강해졌고
    * 일반 사이클 기준,  폭쇄 대비 약 2.35%, 기존 나선경 대비 1.28% 더 강해졌다.
    * 붕나가 스킵되는 경우 딜 계수는 이전과 동일하나, 모든 사이클 공통적으로 기존 사이클 대비 붕천-나선 쿨이 더 빨리 돌아오므로 다음 바속 이전 붕나가 스킵될 확률 하락을 기대할 수 있다.

추가로, 계산의 편의와 폭쇄진에 가능한 유리한 조건을 가정하기 위해 화염폭발의 딜에 모두 용바가 들어간다고 가정하고 딜 계수를 계산하였으나, 실제로 바-폭-용을 하는 동안 화염폭발 몇 틱은 용포가 적용되지 않으므로 실제 폭쇄진 사이클 대비 나선경 사이클의 딜 기댓값은 조금 더 높을 수 있다.

-------
사족.
최초 고안했을 때, 여태 손가락이 움직이던 순서와 차이가 많아 허수도 똑바로 못치고있었다.
한-----참 치니까 조금씩 적응되고 재미도 있는 사이클.
쳐보고 손에 맞으면 드렉탈라스 혼자 들어가서 실전 적용을 해보시고, 그 다음에 레이드를 가보는 것을 권장.
적응 안되고 각자 이전에 쓰던게 더 잘 맞는거같으면, 이전에 쓰던 사이클을 쓰는게 맞다고 생각.
딜 기댓값이 높건 말건, 본인 손에 맞는 사이클이 최고의 사이클임.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로아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