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der People More Likely to Prefer Happy Endings, Study Finds
Seoul, Oct 9 (Reuters) — As people age, they tend to favor stories that end well, according to a new study suggesting that emotional preferences shift toward positivity later in life.
Researchers from the University of Toronto analyzed responses from more than 2,000 participants aged 18 to 80 who were asked to choose between films and books with either tragic or happy conclusions. Older adults, particularly those over 60, showed a significantly stronger preference for happy endings compared to younger respondents.
“Older adults appear to prioritize emotional satisfaction and stability,” said lead researcher Dr. Helen Morris in a statement. “They are more likely to avoid emotionally taxing material and instead seek out content that reaffirms hope or closure.”
The findings align with what psychologists call the “positivity effect,” a well-documented phenomenon where older adults focus more on positive experiences and memories. This shift may reflect changes in how people regulate emotion and perceive time as they grow older.
Streaming platforms and publishers have already taken note. Several content analytics firms report that romantic comedies and uplifting dramas perform better among older demographics than darker, more ambiguous narratives.
Still, not everyone welcomes the trend. Some critics argue that the preference for optimism could limit artistic diversity. “A world full of only happy endings might feel safe,” said film critic Laura Chen, “but it risks oversimplifying the complexity of life.”
The study’s authors emphasize that appreciating a happy ending is not about escapism but about balance. “As people age,” Dr. Morris said, “their understanding of loss deepens — and so does their appreciation of joy.”
나이 들수록 ‘해피엔딩’을 선호… 긍정적 결말에 끌리는 이유
서울, 10월 9일 (로이터) — 나이가 들수록 사람들은 해피엔딩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감정적 선호가 나이에 따라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것이다.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진은 18세에서 80세 사이의 참가자 2,000여 명을 대상으로 영화와 책의 결말 유형 선호를 조사했다. 연구 결과,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은 젊은 세대보다 해피엔딩을 선택할 가능성이 뚜렷하게 높았다.
“나이가 들수록 정서적 만족과 안정감을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연구를 이끈 헬렌 모리스 박사는 성명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들은 감정적으로 소모적인 내용보다는 희망과 마무리를 확인할 수 있는 이야기를 선호합니다.”
이 같은 결과는 심리학에서 말하는 ‘긍정성 효과(positivity effect)’와도 일치한다. 이는 노년층이 부정적 경험보다 긍정적 경험과 기억에 더 초점을 맞추는 현상을 말한다. 연구진은 시간이 한정되어 있다는 인식이 감정 조절 방식의 변화를 불러올 수 있다고 분석했다.
스트리밍 서비스와 출판 업계는 이미 이러한 변화를 감지하고 있다. 콘텐츠 분석 업체들에 따르면 로맨틱 코미디나 따뜻한 드라마 장르가 고령층 시청자 사이에서 강세를 보이는 반면, 비극적이거나 모호한 결말의 작품은 상대적으로 덜 호응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예술적 다양성을 제약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영화평론가 로라 천은 “모든 이야기가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세상은 안전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삶의 복잡성을 단순화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해피엔딩 선호가 현실 도피라기보다 삶의 균형에 대한 욕구라고 강조했다. 모리스 박사는 “사람들은 나이를 먹으며 상실을 더 깊이 이해하게 되고, 그만큼 기쁨을 더 소중하게 느낍니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