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인드 된 글입니다. [내용보기]정상적으로 투자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말은 아님
비나이스단 중에 모두가 행복하게 보석을 원대 통합해야 한다는 말도 안 되는 소리 하는 애들이 있는데,
게임사든 유통업체든 개발이든, 어차피 영리 목적을 가진 모든 기업이나 회사는 결과론적으로 갈수밖에 없음
무언가 액션을 확정할 때, 결국 결정할 수 있는 건
결과뿐이고 그 데이터는 유입량, 이탈률, 매출임.
1. 왜 재학햄은 광휘 철회를 했을까?
발표하고 나이스단에게 무수한 문의와 비난을 받았겠지만,
철회한 이유는 이게 1순위는 아니 라는거
이탈률이 말도 안 되게 늘어서 였을 거임.
(동접수로 확인 가능)
실제로도 발표후 2주간 진짜 레이드 가는데 출발이 존나 오래 걸렸음
2. 카카오 피드 업데이트 사례
카카오도 이번 피드 업데이트에서 결정권자가
“이탈 없으니 그대로 가자” 하고 밀어붙인 경우가 있었음.
대부분의 모든 회사가 결과론적으로 움직인다는거임.
이탈이 바로 일어났으면 강행군을 했을리가 없지
3. 원대 보석 통합이 가져올 문제들
원대 보석을 통합했을 때 생길 문제들을 생각해보자.
보석의 가치는 당연히 줄어듦.
수요가 줄고, 물량은 많아지니까, 경제 체계상
옆집 뽀삐도 아는 상식중에 상식
3-1 소과금 유저의 반응:
예를 들어, 한 달에 가끔 효율 좋은 패키지를 사주는
유저들이 원대 통합 보석이 되었다고 해서 돈을 더 쓰게 될까?
절대 아님. 오히려 스펙업할 게 줄어들어서 돈을 덜 쓰겠지.
3-2. 현질 유저들의 반응
한 달에 1~2백만 원씩 현질하던 유저들이,
보석 값이 떡락했을 때 어떻게 반응할까?
“지금사면 보석이 2배 ㅇㅈㄹ 하면서
부캐들 다 맞춰줘야지 이런 대가리 깨진 생각을 할까?
현질은 이제 안 하겠다.” 이런 반응이 나올 가능성이 큼.
돈을 써봐야 호구 되는 기분이 들 테니까.
예를 들어
니가 어떤 주식이나, 코인을 샀는데, 50% 감가를 먹었다면,
그때 추가로 돈을 넣을 수 있는 미친 강심장일까?
대부분은 “어떻게 빠져나가지?”라는 생각이 먼저 들 거임.
4. 영리 목적의 기업의 선택
결국 영리 목적을 가진 회사는 무조건 이득이 생기는 구조를 선택할 수밖에 없음.
여기도 영리 목적의 회사고, 많은 사람들이 한 가정을 책임지고 있음.
유저들이 돈을 안 써주면, 그 사람들이 먹고살 방법이 없어서 결국 가정이 파괴될 수 있음.
그럼 당연히 매출이 올라갈 수 있는 부분의 데이터를 면밀히 살펴 볼 수 밖에 없다는 뜻임
5. 그래서 어떻게 대처할까?
결국 비나이스단이 불합리하다고 느끼면,
그에 대한 반응으로 이탈율 증가나 매출 하락으로
보여줬어야함 (광휘공증철회했을때)
근데 이건 이미 늦었쥬?...
그리고 그 이후로 매출과 유입은 상향 됐음?
왜냐고? 카제 출시로 스팩업한다고 현질 꽤나 했고
이때 패키지도 개혜자였음.
그리고 지금도 100:10 비율로 골드를 살 수 있다고
대가리 깨져가지고
아제나 축복을 6개씩 사주고 있는
로아 역대급 월매출을 올려주고 있는데
겠냐...?
이 문제에 대해선 우리끼리 아무리 물고 뜯고 해봐야
서로 감정만 상하지
다음 시즌까진 진짜 아예 건드리지 않을꺼임
지금 아크그리드 500종 조합 밸런스 맞추기도 빡쌘데
이게 눈에 들어오겠냐...
당장에 이걸로 매출이나 유입에 타격이 없는데
다들 건강한 커뮤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