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근래 용맥 분출의 딜 구조가 두 번 변경되면서 분출 관리가 점점 쉬워졌습니다. 특히, 분출이 해, 강, 바람 순서대로 발동된다는 사실이 평딜 사이클을 정립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딜에는 정기 뿌리기, 용맥 흡수, 잠 깨우기, 용솟음치는 정기도 포함되어 있어, 라라의 평딜은 여전히 어렵습니다. 이 글에서는 용맥 분출의 딜 구조를 중심으로 최적의 평딜 사이클을 도출하고자 합니다. 메르세데스 SSS 유니온 및 잠 깨우기 쿨감 하이퍼 스킬을 사용한다고 가정합니다.
2. 스킬데미지를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정기 뿌리기 + 산 꼬마 = 4947
강 분출 1타 = 7175
바람 분출 1세트 = 11568
해 분출 거인 = 5340
해 분출 장판 = 679
화산탄 1세트 = 6223.8
도트 데미지 = 0
산의 씨앗 1타 = 1330
흡수 = 11454
잠 깨우기 = 21160
용솟음치는 정기 = 65280
여기에 하이퍼 스킬 및 마스터리 코어 패시브를 고려하여, 분출과 흡수는 1.380, 정뿌 + 산 꼬마, 잠 꺠우기, 용솟음은 0.958, 산의 씨앗은 1.021을 곱했습니다.
액션 딜레이의 경우, 정기 뿌리기와 잠 깨우기는 510ms, 용맥 분출은 360ms, 용솟음치는 정기는 480ms로 계산합니다.
3.1 분출, 흡수, 산의 씨앗
용맥 분출과 정기 뿌리기만을 사용하는 빌드에서 시작합니다. 분출을 꾹 눌러 3개의 분출을 설치하고, 그 뒤로는 정기 뿌리기를 꾹 누르는 단순한 빌드입니다. 용맥 분출은 1.08초 이상 33.00초 이하의 정해진 주기로 사용하며, 정기 뿌리기는 매크로를 이용해 분출의 액션 딜레이가 끝나자마자 이어서 사용합니다.
흡수 스킬은 정기 뿌리기에 종속되어 있어, 4.70초 이상의 불규칙한 간격으로 발동합니다. C++로 시뮬레이션하여, 딜사이클을 충분히 오래 돌릴 때 흡수 스킬이 몇 번 발동하는지 셌습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첫 번째 정기 뿌리기에 흡수 스킬이 발동했을 때, 용맥 분출을 사용한 직후의 정기 뿌리기에 흡수 스킬이 발동할 때까지 몇 주기가 필요한지, 그 동안 흡수 스킬이 몇 번 발동했는지 집계했습니다.
산의 씨앗은 용맥 분출에 종속되어 있어, 약 10초마다 한 마리씩 소환됩니다. 딜사이클을 6000주기만큼 돌려서, 후반의 3000주기 동안 산의 씨앗으로 인한 공격이 몇 번 발생하는지 집계했습니다.
딜 주기를 1.08초부터 33.00초까지 0.01초 간격으로 두고, 각각의 1주기 당 데미지를 계산하여 주기로 나눈 것을 DPS라 하고, 30.00초 빌드의 DPS를 100%로 정의하여 각 빌드의 상대 DPS를 계산하면 익숙한 그림이 나옵니다.
다른 건 긴 설명이 필요 없고, 좌측의 120.84%까지 찍혀 있는 저 부분 하나만 볼 예정입니다.
용맥 분출 키를 꾹 눌러 3종류의 용맥 분출을 모두 사용한 다음, 곧바로 정기 뿌리기를 누릅니다. 용맥 분출 3번에 1080ms, 정기 뿌리기 510ms를 합하여 1590ms가 한 번의 주기이며, 흡수 스킬은 4770ms마다, 즉 정기 뿌리기를 3번 사용할 때마다 발동합니다. (가로축은 1픽셀 당 0.01초이며, 1눈금 당 1초입니다.)
정기 뿌리기는 매크로로 지정할 수 있어, 바람 분출이 생성되고 나서 정뿌 키를 매크로로 누르면 됩니다. 중요한 것은 분출 키를 정확히 누르는 것으로, 정기 뿌리기를 정확히 한 번만 사용한 다음 눌렀다가 분출을 3번 사용했을 때 떼야 합니다. 섀도어 평딜보다 조금 어렵습니다.
3.2 잠 깨우기
1.59초 빌드에 다른 스킬도 넣어보겠습니다. 분출을 자주 사용할 경우 산의 씨앗의 가동률은 최대가 되므로, 여기서부터 산의 씨앗은 항상 최대로 가동한다고 가정합니다.
라라가 사용할 짧은 쿨의 스킬은 잠 깨우기와 용솟음치는 정기입니다. 스탯뚝 기준, 두 스킬의 재사용 대기시간은 각각 11.10초, 18.80초입니다. 2초뚝 기준, 두 스킬의 재사용 대기시간은 각각 9.55초, 16.80초로 감소합니다.
스탯뚝의 경우, 잠 깨우기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1.59초의 7배보다 0.03초 짧기 때문에, 7번마다 정기 뿌리기 대신 잠 깨우기를 사용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흡수가 발동될 타이밍에 잠 깨우기의 쿨이 도는 경우가 있다는 점입니다. 여기서 대처 방식이 세 가지로 나뉩니다.
- 잠 깨우기를 다음 분출 이후로 미룬다. - 15주기 동안 흡수 5회, 잠 깨우기 2회 발동
- 흡수 스킬을 다음 분출 이후로 미룬다. - 14주기 동안 흡수 4회, 잠 깨우기 2회 발동
- 둘 다 쓴다. - 21주기 동안 흡수 7회, 잠 깨우기 3회 발동, 용암 지대 공격 1회 추가 발동
기본적인 빌드 대비, 최종 데미지가 각각 3.55%, 2.51%, 2.39% 상승합니다. 따라서 흡수를 우선 발동시키는 빌드를 사용합니다.
2초뚝의 경우 잠 깨우기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1.59초의 6배보다 0.01초 길기 때문에, 6주기마다 정기 뿌리기 대신 잠 깨우기를 사용합니다. 6주기마다 0.01초씩 밀리는 대신, 기본 빌드 대비 최종 데미지가 4.33% 상승합니다.
용솟음치는 정기를 추가해보겠습니다. 스탯뚝의 경우, 재사용 대기시간이 1.59초의 12배보다 0.28초 짧기 때문에, 12주기마다 정기 뿌리기 대신 용솟음치는 정기를 사용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2초뚝의 경우, 재사용 대기시간이 1.59초의 11배보다 0.69초 짧기 때문에, 11주기마다 정기 뿌리기 대신 용솟음치는 정기를 사용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두 경우 모두 충돌이 발생하기 때문에, 스킬 사용의 우선순위를 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 용맥 흡수 - 추가 데미지 15807
- 잠 깨우기 - 추가 데미지 15532
- 용솟음치는 정기 - 추가 데미지 57799
추가 데미지를 최소 사용 주기로 나누면 스킬 우선순위에서 밀렸을 때 딜로스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스탯뚝의 경우 우선순위가 흡수 > 용솟음 > 잠깨이지만, 용솟음치는 정기의 쿨이 12주기이므로 흡수와 겹치지 않습니다. 2초뚝의 경우 흡수의 우선순위가 용솟음보다 아주 조금 앞서는데, 1너울가지 2용솟음을 준수하다 보면 반대로 흡수가 밀립니다.
결국 스탯뚝의 경우 24주기 동안 잠깨 3회, 흡수 8회, 용솟음 2회 발동하여, 기본 빌드 대비 최종 데미지가 11.74% 증가합니다. 다만 이렇게 되면 잠 깨우기를 약 12.70초마다 사용하므로, 컨티 채용 시 쿨밀림이 거슬릴 수 있습니다.2초뚝의 경우 140주기 동안 잠깨 23회, 흡수 46회, 용솟음 12회 발생하여, 기본 빌드 대비 최종 데미지가 12.64% 증가합니다.
스탯뚝에서 사용한 24주기의 1.5배는 57.15초로, 준극딜의 쿨타임 56.40초보다 살짝 밀립니다. 보스든 수로든 준극딜 쿨타임을 맞추는 게 더 중요하므로, 1준극 3용솟음은 고려하지 않습니다. 반대로, 2초뚝에서 사용한 140주기의 1.5배는 334.185초로, 오리진 스킬의 쿨타임 336.4초보다 짧습니다. 2초뚝에서 효과가 큰 빌드입니다.
보스는 허수아비가 아니기 때문에, 1.59초 빌드를 칼같이 지킬 수 없습니다. 그러나 조금이라도 굼뜨는 순간 딜로스가 심하게 발생합니다.
세렌은 석양 1.89초, 그 외 1.80초 주기로 공격하기 때문에 자정이 아닌 페이즈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그 외의 보스에서도 패턴에 대응하거나 극딜 중이라 분출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분출 갱신을 잠시 중단한 다음 갱신을 재개할 때는 경우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정뿌만 치거나 관망하는 것이 좋은 전략일 때가 있습니다. 크게 네 가지 시점이 있습니다.
- 해 분출을 설치한 지 5.39초 이상 경과했다면, 7.20초 시점까지 정뿌만 치다가 그 이후에 해 분출부터 갱신을 재개합니다.
- 해 분출을 설치한 지 11.45초 이상 경과했다면, 13.44초 시점까지 정뿌만 치다가 그 이후에 해 분출부터 갱신을 재개합니다.
- 해 분출을 설치한 지 18.03초 이상 경과했다면, 20.01초 시점까지 정뿌만 치다가 그 이후에 해 분출부터 갱신을 재개합니다.
- 해 분출을 설치한 지 27.36초 이상 경과했다면, 29.18초 시점까지 정뿌만 치다가 그 이후에 해 분출부터 갱신을 재개합니다.
위층에 있는 보스를 공격할 때는 정기 뿌리기를 점프샷으로만 맞힐 수 있는데, 아예 정기 뿌리기를 사용하지 않고 밑에서 분출과 짧쿨을 난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분출 키를 꾹 누르고 있는 1.08초 빌드는 비효율적이며, 1.17초와 1.50초 중 하나를 취향에 따라 선택하고 짧쿨 스킬을 섞어줍니다. 정뿌를 허공에 쓰는 1.59초 빌드조차 1.08초보다 효율적입니다.
1.59초 빌드는 3분출과 다른 스킬 하나를 묶어서 사용하는 것을 한 세트로 하여, 분출 1타를 최대한 압축하는 빌드입니다. 다른 스킬 하나의 우선순위는 흡수 = 용솟음 > 잠깨 > 정뿌의 순서이며, 잠 깨우기를 사용할 때 0.04초 밀리더라도 그대로 사용합니다.
분출 갱신 주기가 매우 빠른 만큼 흐름이 끊겼을 때 복구하는 과정도 중요한데, 분출의 공격 주기를 참고하여 갱신을 재개할 시점을 정하고, 발밑딜이 필요할 경우에는 아예 정뿌와 흡수를 포기하고 분출만 관리하면 됩니다.
이로써 수로 점수를 더 올리고 최소컷을 깎기 위해 라라가 해야 할 일을 제시했습니다. 이제부터 손에 들린 지팡이를 신명나게 휘두르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