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카를 먼저 썼을 경우 디센트의 후딜 모션으로 3초 피해를 보고 막타 터지고 난 뒤에 인카의 버프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아서 인카네이션 효과인 축복실현 13회 타수를 많이 챙길 수 없습니다. 그러면 결국 딜 점유율에서 데스블레싱의 딜량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하지만 디센트를 먼저 쓰고 인카를 쓰게되면 디센트의 후모션에 대한 버프시간 압박으로 부터 자유롭고 무엇보다 디센트 막타 후 남아있는 9개 표식을 인카 버프 있는 상태에서 축복 실현으로 9개 전체 다 13타를 다 땡겨 갈 수 있습니다. 이 차이는 디센트를 나중에 쓰면 인카가 없어서 데스블레싱 90타로 마무리 되는데 디센트를 먼저하고 인카를 쓴다면 117타로 마무리 됩니다. 체리님의 의견도 좋지만 저도 이 글에 작성했다시피 1~2개월간 모든 부분에 있어서 빌드 이것저것 많이 해봤고 말씀해주신 그런 부분도 다 해보았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저 우긴적 없고 진실성있게 말하고 있는데 오히려 성질은 체리님이 많이 내시는게 딱 보이네요ㅎㅎ 저보다 렙낮고 주스텟 높으셔서 부럽네요 데스블레싱은 같은 카인이더라도 차이점은 분명하게 나타내줄 수 있는 스킬인데 그 부분에 있어서 전혀 이해를 못하고 계신거 같아서요 누군 데스블레싱이 2페이지에 있고 누군 4번째고 누군 5번째고 그런데 체리님은 얘기하는게 보면 잘하는거 같다고 하니 저도 그 부분 좀 배워보게 알려주시죠 근데 아까 알려주신 내용은 저도 참고해서 해봤지만 효율성 못 느꼈어요 제가 연구한 극딜 주기도 불규칙하지 않고 안정성 있거든요 그런데 체리님 방법은 알려주지 않을뿐더러 계속 까기만 바쁘신거 같네요
사람들이 단순한 예로 스트라이크 애로우 vs 스니키 스나이핑 점유율을 비교하곤 하는데 그 비교는 스트라이크 애로우만 사용 vs 스니키 스나이핑만 사용 이고 실제로 스킬의 효용을 따져보려면 스애 스애 스애 스애 스애 vs 스애 스애 스니키 스애 스애 가 되는게 맞죠. 후자가 더 쎈건 당연합니다.
바로 5번으로 넘어가도 상관은 없을것 같습니다 다만 저는 데미지가 높은 처형스킬을 공로버프와 함께 묻혀서 때립니다. 근데 굳이 4번을 안하고 5번으로 넘어가도 그렇게 큰 차이는 없을것 같습니다. 제가 이 글을 쓴 목적은 카인의 모든 스킬을 적절히 효율있게 쓰는걸 중심으로 작성 한 글입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오늘 경험을 통해서 아직까지 부족하구나 싶었습니다. 다만 서로 오해한 부분이 있던거 같네요 저도 이 글을 쓴 목적으로 공유하려고 하는거였지 이게 정답입니다. 절 따르세요 라는 목적과 의도는 절대 없었습니다. 모든 수학적부분 빼고는 정답은 정해져있지 않습니다. 다만 제 글은 카인 하시는 여러분께 작은 참고서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글을 작성하게 된 계기 입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우선 카인은 평딜에 비해 극딜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습니다. 극딜 구간(디센트 막타)이 끝난 뒤 평딜 구간으로 부터 어떻게 하면 좋을지에 대한 평딜 사이클 활용 방식을 작성 해놓은 부분이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상세하게 멜리스 수급까지 설명을 덧붙여드리자면 카인의 카트리지 스킬(일반/스캐터링/샤프/폴링)을 빠르게 횟수 대부분을 활용하고 멜리스 채우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시 말씀드리지만 카인은 극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평딜 구간에서의 핵심포인트는 공로버프(데스블레싱&처형스킬 최종데미지 10퍼 + 어드밴스드 데스블레싱5% = 총합 최종데미지 15% 증가) 유지가 중요하며 이걸 통하여 데스블레싱과 처형스킬의 1회 사용당 평균 데미지를 증폭 시킬 수 있어서 그나마 극딜에 대한 의존도를 잠시나마 줄일 수 있습니다. (그냥 데미지15% 증가가 아닌 최종 데미지15% 증가 차이는 매우 큽니다.)
공로버프(데스블레싱 & 처형스킬 - 최종 데미지 15% 증가)를 얻은 후 사용해주는 니들,시클,테어링 / 스니키 스나이핑 / 데스블레싱(축복실현) 은 카인 평딜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 입니다. 이러한 부분이 극딜의존도로 부터 평딜구간에서 보스에게 가하는 피해량을 좀 더 채워줄 수 있습니다.
팬텀블레이드 먼저 쓰는 이유? - 처형 스킬중 가장 약한부분에 속하며 공로버프 얻기 위해 사용하는게 포인트 - 공로 버프를 얻으면 데스블레싱과 처형스킬 최종데미지 15%증가 이기때문에 팬텀 블레이드 보다 강한 처형스킬 4가지(니들,시클,테어링,스니키)를 공로버프와 함께 사용하면 데미지 극대화
2번째 - 처형스킬(니들,시클,테어링,스니키) 사용 후 쿨타임 일시 최대한 멜리스 회복에 신경쓰며 발현스킬을 통해 표식을 중첩시키고 처형스킬 쿨타임이 돌아왔을시 다시 1번째 방식을 활용하여 (1번째 - 2번째 - 1번째 - 2번째) 계속 반복하는 방식이 평딜 구간에서의 핵심 원리입니다
우선 말씀해주신 부분이 좋은점은 중간에 처형 스킬 넣으면 공로버프를 얻어서 블리츠의 강화된 데미지를 온전히 다 넣을 수 있습니다. (블리츠의 14타 모두 공로버프 적용)
하지만 버스트와 블리츠 사이에 1~2초 라는 공백이 생깁니다. (그러다 점점 늘어날 수도 있음)
그리고 중간에 처형스킬 쓰실거라면 처형스킬중에 데미지가 가장 낮은 팬텀 블레이드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그 이유로는 낮은 데미지 비중의 처형스킬 사용으로 공로버프를 얻고 팬텀 블레이드 보다 데미지가 더 높은 처형스킬을 사용하여 공로버프의 혜택을 누리는게 핵심입니다.
하지만 저는 알맞은 쿨타임 주기를 위해 버스트와 블리츠 사이에 처형 스킬을 넣지 않습니다. 중간에 처형 쓰고 공로버프를 얻고 블리츠 14타를 넣는것과 중간에 처형 쓰지 않고 블리츠 1타 후 공로버프 얻고 13타 넣는것과 1타 차이로 데미지가 갈리겠지만 저는 쿨타임을 우선 순위로 생각한겁니다.
우선 제 글의 목적은 어떻게 해야 카인의 스킬을 어떻게 활용해야 최고의 딜효율을 뽑을수 있을까가 최종 목적입니다. 현재 어렵다고 하신부분에 대해서 간략하게 요약을 해드리면 우선 데스블레싱 스킬의 이해도, 포제션 스킬의 이해도가 먼저 필요합니다. 그 부분에 대한 설명은 유튜브에서도 간단하게 정보를 얻을수 있는부분이라 여기에서의 정보를 얻기전에 먼저 카인의 직업의 스킬에 대한 이해를 하고 오신다음에 이 글을 읽으시는걸 추천합니다.
추가로 카인을 본캐로 키우시려고 고민하시는 분들은 이걸 먼저 보시기 이전에 카인에 대한 스킬설명을 먼저 읽고 오신 다음에 보시는걸 추천합니다!
우선 3번을 추천하는 이유는, 카벨, 하매 까지 바라보신다고 하셨으니, 1,2,4번 스킬들은 효율이 떨어집니다. 우선 마약버프가 있는 상태에서 보스를 하시기 때문에 지금당장 보스는 방무효율이 많이 필요하진 않겠지만, 나중에 마약버프가 없어지게 된다면 방무가 모자랄수 있는 부분을 채워주기떄문에 추천합니다.
다음으로, 2번을 추천하는 이유는, 단순 편의성 때문입니다. 하이퍼스킬 설명에 의하면 일명 슈퍼스탠스 판정을 받는것인데, 이때 카피밀격, 반반밀격,매그너스 밀격, 스우 밀격, 데미안 밀격, 수로 보스 밀격 등 다양한 밀격 스킬을 버틸수 있기 때문에 밀격으로 인한 딜로스를 방지 할 수 있기 떄문에 추천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한 가지 질문이 있는데, 딜 사이클 그림을 보면 엔버링크가 꺼진 후 타나토스 막타가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엔버링크가 켜진 상태로 애거니 드래곤버스트 페이탈블리츠 타나토스막타를 모두 우겨넣기에는 타이밍 맞추기가 쉽지않던데(특히 타나토스를 최대한 늦게 쓰려는 경우) 그냥 맘편히 타나토스 막타는 엔버링크 묻히려 하지 않아도 되나요? 어떤 방식으로 극딜을 넣으시는지 궁금합니다!
위 궁굼하신점은 제가 최근에 작성했던 / 45초 극딜로 보는 카인 딜사이클 / 글에서 궁굼증이 해결되실거 같은데요, 우선 앤버링크는 지속시간이 매우 짧기때문에 (벞지 적용되바야 길어도 15초) 디센트 막타를 시드링에 맞춰서 하는 방향으로 하는 것 을 권장합니다. 제 닉네임으로 검색하시면 게시글중 맨 앞에 게시되어 있으니 참고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ㅎㅎ
지금도 보실지는 모르겠는데 질문 남깁니다 얼티카인이라 5차와 하이퍼만 쓰는데 극딜 버프 다 키고 애거니 깔고 버스트>페이탈>타나토스 막타 이런 매커니즘인데요. 혹시 버스트 쓰고 처형을 터트려서 써야될 때 버스트>포제션스나이핑>기본스나이핑>페이탈 이런식으로 써도 공로버프? 그거 받은 상태로 페이탈 발동하나요?? 아니면 포제션스나이핑 말고 다른 4차 처형스킬을 써야하나요??
제가 지속적으로 의견을 드렸던 이유는
말씀하신것처럼 카인은 각 보스 상황마다 딜 점유율이 엄청 뒤죽박죽입니다.
고정형 보스(루시드1페, 더스크, 수로) 텔레포트형 보스(데미안, 스우, 윌) 상시이동형 보스(루시드 2페) - 진힐라 듄켈 검은마법사는 안가봐서 자세히는 모르겠네요.
제 작은 생각으로는 카인 딜사이클에는 사실 정형화되거나 고정된 사이클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무조건 이거다 이렇게 해라 보다는
나는 이렇게 했을 때 더 좋더라
라는 방식의 가이드가 더 낫지 않나 해서 계속 의견을 드렸습니다.
기분 나쁘셨으면 죄송합니다.
추가로 데스블레싱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각 스킬간의 상관관계는 정말 알아보기 쉽게 정리해주신 것 같네요. 좋은 정보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