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419 내용추가)
5초 딜사이클은 연구가 좀 더 필요함. 모범 답안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일단 아래와 같은 방식도 있다고만 생각하면 될 듯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기준은 크게 0~4초뚝과 5초뚝 두 개로 정리할 거고,
1. 리레 원툴 (스위칭 x)
2. 0~4초뚝은 기본적으로 3초뚝 시점에서 설명함
3. 오버로드 6차 코어 28렙 (에너지 50)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리레 원툴인 이유는 서브링 스위칭이 dpm에 거의 영향이 없기 때문이며
3초뚝 시점에서 설명하는 이유는 3초뚝이 상당히 밸런스가 좋기 때문이고,
오버로드 레벨은 낮더라도 적용하는데 큰 문제는 없습니다
또 6초와 7초는 아직 연구에 시간 투자를 많이 안 해봐서
여기선 따로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시작 전에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0초뚝을 제외한 2초, 3초, 4초, 5초 모든 뚝배기의 성능 자체는
2분화 패치 이후로 굉장히 평준화가 많이 되서 생각보다 딜 차이가 많이 나지 않습니다
각 옵션별 최적 딜사이클을 감안해서 뚝배기 성능을 나열해 보면
5초 > "완벽한" 2초 >= 4초 >= 3초 >= 2초 순으로 예상됨.
* 리레5 기준. 리레4면 2초는 완벽할 수 없음
다다익쿨이긴 한데 그 차이가 너무나도 작습니다
막말로 5초나 완벽히 굴린 2초나 딜 차이가 진짜 얼마 안 남.
물론 5초가 더 센 건 부정할 수 없지만 절대 예전같은 느낌이 아님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먼저 0~4초뚝부터 설명하자면, 쿨감 유무 상관없이
0초뚝이 하는것처럼 2분에 포톤을 딱 4번만 쓰면 됩니다
예? 쿨감뚝을 쓰는데도요?
->
3분 시절에 하던것마냥 어줍잖게 포톤 횟수 늘리는것보다
지금 3초 ~ 4초뚝은 그냥 2분에 포톤 딱 4번 쓰는게 더 셉니다
이제는 포톤 횟수를 늘리려면 적어도 5초뚝이 되어야 합니다
아래는 유의사항입니다
1. 첫 포톤은 오버를 올린 직후 사용해 줍니다
쿨감이 많으면 많을수록 약간은 늦게 올려도 됩니다
4초뚝은 오버 사용 후 2~3초 지나서 포톤을 눌러도 됨
0초뚝은 오버 사용 직후에 눌러도 1리레 2포톤 연계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 리레 5렙이면 0초뚝도 가능.
2. 융합은 오버 쓰고 12~13초 시점에 올립니다 (에너지 46)
그리고 웬만하면 설치 즉시 극딜을 진행하면 좋습니다
융합 지속시간은 30초고, 오버 풀스택 시간은 30+@초입니다
이젠 오버 지속시간이 너무 짧아서 늦게 올리면 손해를 봅니다
오버 레벨이 낮더라도 저 시점에 올려야 손해를 덜 봅니다
그렇다고 오버를 쓰자마자 융합을 깔면 그건 그것대로 손해입니다
3. 메용2는 이젠 반드시 극딜 시퀀스에 묶습니다 (리레와 함께)
오버를 올리는것과 동시에 메용2를 올리면 안 됩니다
이유는, 극딜 시퀀스에 묶어서 써야 1분 뒤 시점에 도는 준극딜 융합과
그 때 쓰는 레투다, 그리고 거기의 포톤까지도 메용2가 묻기 때문.
4. 오리진 턴이라면, 오리진은 융합 설치 직후 리레 - 컷씬으로 연계합니다
먼저 리레-컷씬을 하는 이유는
단순 퍼뎀은 순서 상관없이 거의 비슷한데 (2포톤 넣는 기준),
1분버프가 컷씬 지속시간만큼 밀리는게 꽤나 치명적입니다 (쿨 밀림)
5초뚝이면 컷씬리레 해도 큰 문제 없음.
(그래도 쿨 좀 어긋나는게 심히 불편하긴 함)
또 오리진 사용 시점은 오버 사용 후 13~14초 시점입니다
오리진 총 지속시간이 대략 34초 정도이기에,
오버 사용 후 48초 시점에 오리진이 종료되게 하여 오버 서버렉을 유도합니다
5. 모든 레투다엔 포톤 2회가 들어갑니다
메인극딜도 그렇고, 준극딜도 그렇습니다
6. 2분에 4포톤을 다 쓸 때 까지는 포톤 쿨을 최대한 빡빡하게 굴립니다
4포톤을 다 털었다면, 돌아오는 5번째 포톤은
그 다음 오버를 올린 직후에 사용될 포톤이니 쿨을 좀 놀려 줍니다
즉 그건 다음 극딜을 위한 포톤이니 쿨 돌았다고 바로 눌러버리면 안 됨.
7. 1분 준극딜과 융합은 절대!! 미루지 않고 쿨이 도는 그 즉시 사용합니다
융합이 돌면 그 즉시 설치하고,
1분버프 시퀀스가 쿨이 도는 즉시 사용합니다
왜냐, 그 시점까지 메용2가 아직 살아있기 때문입니다
쿨감 수치가 높으면 높을수록 메용2와 준극딜 융합이 겹치는 시간이 늘어납니다
위 주의사항을 다 지켰으면, 다음과 같은 타임라인이 나옵니다
* 3초뚝 기준
포톤 쿨타임 = 25.2초, 25.5초로 보정
오버 쿨타임 = 109.8초, 110초로 보정
ㅡㅡㅡㅡㅡㅡㅡㅡ
0초 오버
1초 1포톤(메인극)
14초 융합
15초 메용2, 리레, 1분버프 [시퀀스]
15초 오리진
26.5초 2포톤(메인극)
52초 3포톤(준극)
68초 융합
69초 1분버프 [시퀀스]
77.5초 4포톤(준극)
103초 다음 포톤이 도는 시점이지만, 조금만 참고 111초로 미루기.
ㅡㅡㅡㅡㅡㅡㅡㅡ
110초 오버
111초 5포톤(메인극)
........... 반복
이런 사이클의 반복이
2분화 이후 정립된 0초뚝 ~ 4초뚝 딜사이클입니다
어려울 거 없고, 그냥 기존 2초뚝 느낌으로 플레이한다 생각하면 됩니다
0초~4초뚝 내에서 쿨감이 늘면 늘수록
준극딜 융합에 묻는 메용2 시간이 조금씩 늘어납니다
단, 특이점을 맞이하기엔 쿨감이 아직은 모자랍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기존 3분 빌드 기준으로
3~4초뚝은 6분에 포톤 13번
5초뚝은 6분에 포톤 14번을 써 왔었는데,
2분화가 된 이후
1. 실전에서의 극딜 빌드 정형화
* 반드시 6분 기준으론 똑같은 사이클이 여유 있게 돌아야 함
* 2분 기준으로도 반복 가능하게 맞아떨어지는 그림이 이상적임
2. 실전에서 좀 억지로 시도해야 하거나 성공시키기 힘든 사이클의 배제
예시 1) 레투다 1단계로 시작, 2단계로 끝내며 2포톤 억지로 집어넣기
예시 2) 포톤을 19초 물고 있다가 리레 키고 발사, 새 포톤 장전 후 스매셔 발사 등
위 문제들을 전부 신경쓰며 딜 사이클 타임라인을 짜다 보면,
3~4초뚝은 6분에 절대 포톤 13회를 쓸 수가 없고
5초뚝은 6분에 절대 포톤 14회를 쓸 수가 없습니다
그냥 2분이라는 환경 내에서는 답이 안 나옵니다
그래서 3~4초뚝과 5초뚝 모두 포톤 사용 횟수 1회를 줄이는 대신
(3~4초뚝은 포톤 12회 // 5초뚝은 포톤 13회로 각각 1회씩 감소)
둘 다 준극딜을 지체 없이 즉시 사용하는 빌드를 택해서
메용2 밸류를 늘리는게 더 강합니다
또 쿨감이 계속 늘다가 5초가 되면 특이점을 맞이하게 되는데,
극딜 시퀀스에 메용2를 묶어서 사용한 후,
최대한 빠릿빠릿하게 포톤 쿨을 굴리다 보면
메용2 지속시간 60+@초 내에 포톤이 4회 들어가기 시작합니다 (약간의 서버렉 필요)
즉 2분 한 사이클에 부여된 모든 포톤에 메용2를 묻힐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거기에 덧붙여서, 5초부터는 시간이 상당히 남아돌기에
포톤을 한번 더 써도 시간이 꽤 남고
깔끔한 딜사이클 정립이 가능해서
5초뚝은 6분 기준으로 5 + 4 + 4, 즉 13회의 포톤을 사용하면
각 2분 사이클이 완전히 통일되게 됩니다
사용 방법은 단순하게, 해당 2분 사이클에 포톤 5회를 사용했다면
다음 2분 사이클을 10초만 미뤄서 진행하면 딱 맞습니다
그리고 포톤 4회가 배정된 2분 사이클이라면,
0~4초뚝이 하던 것마냥 4포톤을 다 박은 후
돌아오는 포톤은 쏘지 않고 다음 오버가 돌기를 기다리면 됩니다
어차피 5초뚝이라 극딜을 한번 미뤄도
나중에 오리진 쿨이 돌면서 쿨타임이 딱 만나게 됩니다
이게 3초뚝, 4초뚝은 불가능한 플레이입니다. 그냥 성립이 안 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번외로 쿨타임이 전부 다 중구난방이고,
각종 스킬들 쿨타임이 모조리 밀리는 분들을 위한 팁
1. 스매셔랑 오버는 어차피 쿨타임이 따로 놉니다
이건 원래도 그랬음. 차징하는 시스템이다보니 걍 익숙해지셔야됨
그리고, 스매셔는 이제 차징 + 자체쿨을 합하면 106초짜리 스킬이라
스매셔는 무조건 쿨타임이 남는 구조입니다
2. 컷씬 - 리레 말고, 리레 - 컷씬을 해 보세요
리레 - 포톤 사출 - 컷씬도 좋음.
특히나 쿨감이 적으면 적을수록 이 부분에서 상당히 체감됨
3. 메용2를 반드시 리레 시퀀스에 묶고, 융합과 엇나가는 시간 차이를 줄이세요
4. 이제 융합을 미리 깔지 마세요
오버 스택만 좀 재다가 바인드 > 융합 > 리레 시퀀스
이런 순서로 바로바로 진행해서 융합과 리레 사이의 간극을 줄이면 좋습니다
5. 사실 안 까먹고 준극딜 융합 + 1분버프 잘 쓰는것만 신경써도 절반은 갑니다
쿨 밀리는 걸 보고 있는 게 너무 스트레스 받네요
물론 이게 허수아비에선 쉽고, 실전싸이클이 어려운건 맞긴 합니다만
1메용4포톤 또한 정확하게 다 굴려야 맞출수 있는거라 실전성이 떨어진다고 보여지네요.
5초뚝의경우 5 4 4 를 활용하라고 하셨는데, 554 가능하긴합니다.
5 4 4로 써도 어짜피 2번째 극딜때 1레투2포톤은 안되는거라서 사실상 싸이클대로 굴리는게 더쌥니다.
444 풀1레투2포톤으로 굴리는거보다 544로 굴리는게 더 쌔듯 554가 더 쌔다보심 될거같아요
리레4렙기준 약35% 상승 / 레투&엔버는 약30% 상승 / 오버로드가 약33% 상승
옵드가 약 15%상승 / 메용2가 약7% 상승 / 일필이 약 11%상승 이정도 값으로 나타낼수있는데
리레 > 오버 > 레투 > 옵드 > 일필 > 메용 순으로 맞추면 더 좋다고 볼수있어서
1메용4포톤보단 2분 5포톤싸이클때 레투다 안묻는 포톤을 일필에 맞추는게 더 좋습니다
포톤1회가 1이라 치면 444 풀1레투2포톤은
레투엔버12회 + 옵드12회 + 오버 6회 + 메용2 6회 (일필은 버프맞추면 노리기힘들어제외)
12+3.6+1.8+1.98+0.42= 노벞 포톤19.8회랑 동일
544싸이클의 경우는
레투엔버11회 + 옵드12회 + 오버 6회 + 메용2 6회 + 일필1회(5번째포톤만 기준)
13+3.3+1.8+1.98+0.42+0.11= 20.61회
554싸이클의 경우는 (3번째 레투안맞춘기준)
레투엔버10회 + 옵드12회 + 오버7회 + 메용2 7회 + 일필1회(5번째포톤만 기준)
14+3+1.8+2.31+0.49+0.11= 21.71회 (3번째 레투 맞추면 22.01회)
대신에 2분싸이클기준 5번째 포톤을 최대한 딜을 올리려면 두가지 방법으로 활용 가능한데,
첫번째는 5번째 포톤을 일필에 맞추는겁니다.
다른 포톤의 경우는 극딜버프에 맞춰야해서 일필에 무조건적으로 맞추기가 힘들지만
5번째는 굳이 다른버프에 맞출필요가 없기때문에 웬만하면 일필에 맞을겁니다.
그리고 만약에 일필 싸이클에 안맞는다면 최대한 지속을 끈다음에 (예전 1오버 4포톤처럼)
메용2/오버로드가 돌자마자 쓰고 최대한쟀다가 발사하는 방식으로도 맞출수 있습니다.
3번째극딜이 제일 애매한데, 이때는 최대한 쟀다가 쏘되 유동적으로 오버/메용2/일필 이런것에 맞출지,
아니면 레투다 미리올리고 쏘고 포톤돌자마자 바로 쏘는 싸이클이 먹힐지 판단후 쏘는 판단력이 필요할거같아요.
다만 파티의 경우나 오리진 쿨을 단 1초도 안놀고 빨리 돌리는게 좋다고 생각하면
5 4 4싸이클이 더 좋아보이긴 합니다. (아예 보스 따라서 444도 고려해볼만 하고요)
그리고 리레5렙의경우에 리레마다 2포톤이 묻냐안묻냐 차이도 생기고요
5초뚝기준 실전 고점싸이클로보면
오리진때 2포톤-> 준극에 1레투 2포톤-> 포톤돌면 누르고 일필 or 메용2/오버에 맞추기
극딜때 1레투1포톤-> 대신 다음포톤 오버안에넣기-> 준극에 1레투2포톤->
리레19초 남았을때 포톤-> 메용2/오버 바로키고 각보고 레투다에도 묻힐지말지 판단->
준극때 1레투2포톤-> 마지막포톤 일필에 맞추기
이렇게 일거같네요(사실 실전 포톤딜보단 수로딜/발드같이 극딜싸이클 맞추는게 더 클듯요)
사실 제논이 무슨뚝을써도 빡빡한건 변함이 없어져서
쾌적하게 돌릴려면 7초뚝 이런걸 껴야 가능할거같아요;
5번째 포톤만 제외하면 모든 포톤이 레투다에 드갑니다
10초 째다가 시작하면 딱 맞아요
117.5초 = 5포톤 사이클에 117.5초
94초 + 14초대기 = 4포톤 사이클에 108초
94초 + 14초대기 = 4포톤 사이클에 108초
합하면 5초뚝 오리진 쿨과 딱 맞아떨어지고
모든 포톤 시작시점이
오버 올리고 2초에 쓰면 된다 < 로 일치하게 됩니다
원래 5초기준 1사이클은 108초인데
5포톤 쏜 시점에만 10초 째다가 극딜하기
5포톤은 오리진 턴에 넣어도 되고 일반극 턴에 써도 됨
실전 환경에선 사이클 통일, 그리고 자유도를 늘리는게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생각해서
554보다 544가 실전은 훨씬 낫다고 생각합니다
마치 기존 4초뚝과 5초뚝의 차이처럼요
메용2에 4포톤 넣어보기 이거 두개의 차이는
전자는 팟격에서 사용이 거의 불가능한데다
성공 유무가 보스에게 달려 있고
실패 시 리스크가 너무나도 큰데,
후자는 오로지 본인에게 모든 게 달려있고
실패해도 아쉬운거지 뭐~ 로 그냥 넘길 수 있잖아요?
이 점도 진짜 크다고 생각합니다
레투엔버 12, 옵드 12, 오버 6, 일필 1, 메용2 9~12
적어주신 효율대로 계산하면 21.12~21.33의 기댓값인데
여기서 이야기가 안 된 점은
준극 융합에 겹치는 메용2 시간이 있습니다
이게 바로바로 써주면 섭렉이 아예 없더라도
최소 융합 지속의 1/4는 보장받기에...
이 부분까지 생각하면 과연 554가 귀찮긴 더럽게 귀찮은데
그걸 커버칠정도로 진짜 유의미하게 센가?
좀 의문이 드는 부분이에요
리스크에비해 메리트가 적어보이긴하네요.
6초뚝가면 오리진 한2~3초? 밀리더라도 가능할거같긴한데
5초뚝으론 544가 나아보이긴 합니다.
2초는 이제 무조건 필수입니다
2초의 중요도는 패치 전보다 지금이 훨~씬 더 커졌어요
1분뒤 융합에 엔버레투다 10초씩 남는게 쌉에바인듯
이정도면 100에 99는 리레 쓰는게 맞습니다
그건 컨티 써도 무방할듯?
오버로드가 아니고 오버 드라이브입니다
보통 전자는 오버, 후자는 옵드로 많이들 불러요
비슷해서 헷갈릴 만 하긴 한듯
쓸 각이 확실하게 나와야 이득
빡센 보스면 일반적으론 무적기로 쓰는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