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축뢰 패시브화로 스커 어빌에서도 변경점이 있는데요
<결론>
결론부터 말하면 보상공, 보상재, 패보상, 패보재 중 먼저 뜨는 걸로 쓰시면 될 것 같습니다.
위 옵션들은 스펙구간, 헥사강화, 재사용에 대한 호불호 및 숙련도에 따라 다소의 유불리는 있지만 큰 차이는 아닙니다.
다만
1. 재사용 어빌의 호불호 요소와 낮은 범용성은 미리 알아두셔야 하며,
2. 고스펙으로 갈수록 첫 줄은 보공보다는 패시브를 쓰는게 좋습니다.
3. 고스펙 기준으로 패보상과 패보재 중에 무엇이 종결인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패보상이 더 좋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옵션 비교>
레전드리(1번째 줄)
1. 보공20% -> 무난히 좋은 옵션
2. 패시브+1 -> 스펙이 올라갈수록 좋아지는 옵션, 고정값이라 서큘레이터 소모량이 적다는 장점이 있음.
유니크(2, 3번째 줄)
1. 보공10% -> 첫 줄 패시브+1을 채용할 때 사용 가능하며, 유니크 옵 중에서는 제일 좋음
2. 상추뎀8% -> 데미지8%과 동일한 옵션으로, 무난히 좋은 옵션. 뎀퍼는 공격력에 비해 수급처가 그나마 제한적이라 고스펙~엔드스펙 구간에서 효율 유지됨.
3. 재사용10% -> 호불호 요소, 유저 기량을 좀 타지만, 마코 위주로 강화한 경우 또는 고스펙(템환 9만~)에서 괜찮음.
4. 공격력21 -> 사실상 천장이 사라져버린 스타포스 때문에 스펙이 올라갈수록 효율이 낮아짐.
5. 벞지38% -> 이번 초시축 패치로 채용 비추
6. 크확20% -> 아티팩트, 유니온 부족하면 임시로 킵
<옵션 비교>
1. 레전더리 보공20% vs 패시브+1 효율 역전구간 추측
패시브+1의 적용을 받는 스킬은 너클엑스퍼트, 축뢰, 태풍 3종이고
이 중 태풍은 마스터리코어 태풍VI를 개방하면 쓸모가 없어집니다.
첫줄 패시브를 사용시,
쓸컴뱃 기준 : 31 -> 32렙이 되고
콜렉터영약(or찐컴뱃) 기준 : 32 -> 33렙이 됩니다.
31 -> 32렙으로 얻을 수 있는 수치는
너엑 최종뎀 17->18% / 크뎀 +1%, / 공격력 +3
축뢰 최종뎀 71 -> 72%
32 -> 33렙으로 얻을 수 있는 수치는
너엑 숙련도 71 -> 72%
축뢰 최종뎀 72 -> 73% 입니다.
숙련도와 최종뎀을 종합하여 최종뎀 상승분으로 나타내면 위와 같습니다.
*숙련도 -> 최종뎀 전환식은 나무위키, 나제불님 블로그를 참고했습니다. 숙련도는 min뎀을 올리는 기능을하며, 위 산식에서 20은 스커의 기본숙련도입니다.)
**참고로 축뢰는 쉐파판정이라서 최종뎀 상승량이 스탯창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너클엑스퍼트 32->33렙에서 최종뎀 및 크뎀 상승의 효과가 붙지 않았기 때문에
패시브+1옵션은 콜렉터영약을 사용하면 효율이 그다지 좋지 않다는 점을 볼 수 있습니다.
템환 8만의 스펙에서 패보상 vs 보상공 비교해보면,
콜렉터영약미사용시 : (최종뎀 1.44%, 크뎀1%, 공3, 보공10%, 상추8%) vs (보공20%, 상추8%, 공21)
-> 패보상이 보상공 대비 최종뎀 0.22% 높음
콜렉터영약사용시 : (최종뎀 1.11%, 보공10%, 상추8%) vs (보공20%, 상추8%, 공21)
-> 패보상이 보상공 대비 최종뎀 0.51% 낮음
비교군으로,
템환 11만 스커의 경우
콜렉터X : 패보상이 보상공보다 최종뎀 0.47%높음
콜렉터O : 패보상이 보상공보다 최종뎀 0.22%낮음
템환 5만 스커의 경우
콜렉터X : 패보상 = 보상공,
콜렉터O : 패보상이 보상공보다 최종뎀 0.8% 낮음
템환 3.5만 스커의 경우
콜렉터X : 패보상이 보상공보다 최종뎀 0.12% 낮음
콜렉터O : 패보상이 보상공보다 최종뎀 0.9% 낮음
콜렉터영약 미사용시, 템환 5만 쯤에서 패보상과 보상공의 효율이 역전되고요
콜렉터영약 사용시 템환 11만이 돼서야 패보상이 보상공을 겨우 따라잡을까 말까 합니다.
(각자 직접 환산주스탯에서 비교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콜렉터 영약은 지속시간이 8분밖에 안되고 보통 15분 이상 치는 보스에서 먹는 점을 고려하면,
대충 '템환 7~8만부터 패보상이 보상공보다 좋아지지만, 큰 차이는 안난다. 초고스펙(템환 10만~)의 경우에는 유의미하다'
정도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유니크 공21 vs 재사용10%
재사용10% 옵션이 적용되는 스킬은 태풍, 엔버링크, 기사단의 의지이며
풀 내실 기준 아티팩트 재사용 7.5%까지 더하면, 17.5%의 확률로 태풍 재사용이 터집니다.
먼저 재사용 옵션에 대해 알아두셔야 하는 점은
(1) 호불호 요소가 있으며 (재밌음 vs 수고로움)
(2) 확률에 의존하기 때문에 저점과 고점 차이가 있고,
(3) 뇌전버프, 연계 순서도 신경써야해서 파일럿의 기량을 타며,
(4) 오리진과 어센트에 적용이 안되므로, 오리진과 어센트가 중요한 수로나 펀치킹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약세이며,
(5) 컨티가 아닌 리+웨를 사용시 효율이 낮고,
(6) 쿨뚝을 써야 제 성능이 나오며,
(7) 환산이나 전투력에 반영이 안돼서 슬프다는 점입니다(반대로, 최소컷 도전 등에서 강코 가능합니다.)
과거 테섭에서 재사용 20(첫줄) vs 공격력21을 비교해보았는데 (테섭스펙 7만초반, 헥사풀강) (저는 헥사 풀강이 아니라, 항상 테섭에서 테스트합니다ㅠ)
5분 40초 극딜에서 재사용20%=공격력21이라는 결과가 나왔었습니다. (0.2% 차이 내외, 5회 시행)
아티팩트 만렙 + 유니크 재사용 기준으로 보상공 vs 보상재는
'재사용 7.5%, 공21 vs 재사용 17.5%'의 대결이므로 해당 스펙에서는 보상공이 더 좋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 8.8 챌린지에서 보상재639조, 보상공632조 (난센이이이 님 채널 영상)가 나온걸 보면
해당스펙(8.8만)부터 재사용10%이 공21을 앞선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재사용이 환산에 반영되지 않아서 동 환산 기준으로는 보상재가 조금 더 유리한 점을 고려하면,
대략 환산 9만대부터는 재사용10%이 공21과 비슷한 효율을 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마코만 29~30렙이고 오리진, 어센트, 5차스킬의 강화상태가 빈약한 경우(야누스를 제외한 누적 조각사용량 1만개 플마 수준)에도 재사용어빌의 채용가치가 있습니다.
위 데이터들의 측정 시점과 현재 시점의 차이점은 (1) 어센트스킬의 출시, (2) 태풍과 거대벼락 퍼뎀 상향(벽력은 그대로)인데,
(1)은 재사용에 불리한 요소, (2)는 재사용에 유리한 요소라서 측정시점이나 지금이나 재사용 효율에 큰 차이는 없을 것 같습니다.
수정 : 섬멸, 교아탄, 해파 등의 퍼뎀상승도 꽤 커서 이번 패치가 재사용에 유리하다고 단언할 수 없습니다. 어센트 출시 이후로는 재사용 어빌의 효율이 다소 낮아졌다고 보시면 됩니다.
3. 유니크 상추뎀8% vs 재사용10%
이번에 패시브+1을 첫 줄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두 옵션이 비교대상이 되어버렸는데요.
상추뎀은 공격력과 마찬가지로 스펙이 올라갈수록 효율이 낮아지지만,
그나마 뎀퍼는 수급처(무보엠, 셋옵, 내실, 보약 등)가 제한적이라서
스타포스 때문에 상방이 뚫려있는 공격력과 비교했을 때, 고스펙에서도 효율이 꽤나 유지되는 옵션입니다.
재사용은 수급처가 한정되어 있어서 스펙상승에 따른 효율 감소가 없으므로,
보총뎀이 낮은 중간 스펙대 유저의 경우 상추뎀의 효율이 좋지만,
한편으로는 헥사강화가 마코위주로 되어 있을 것이므로 유니크 재사용이 먼저 뜨면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수정) 고스펙 기준 무엇이 종결옵션인지 궁금하신 분들이 계실텐데
재사용어빌 특성상 정확한 비교측정이 힘들지만, 그래도 재사용보다는 상추뎀이 더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스커는 극딜 한 사이클에 천지개벽 OFF일 때 평균 8~9회의 태풍을 쓰는데,
그렇다면 5분 40초 사이클 기준으로 재사용 10%로 얻을 수 있는 추가 태풍 기댓값은 평균 2~3회에 불과합니다.
태풍+거대벼락이 벽력+낙뢰보다 훨씬 강력한 것은 맞고, 엔버링크 재사용 뽀록도 노려볼만하지만
전투분석을 바탕으로 뇌피셜을 굴려봐도... 재사용20%가 태풍 외 모든 스킬에도 적용되는 상추뎀8%(8만대 스펙에서 최종뎀 0.8% 급)를 앞지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저도 어빌을 새로 뽑는다면 설령 상추뎀과 재사용의 성능이 동급이더라도, 수로 및 펀치킹, 리+웨 등에서 범용성이 더 높은 상추뎀을 선호할 것 같습니다.
<어빌 뽑는 전략>
1. 환산 7만대 이하
기댓값상 무조건 2, 3번째줄부터 뽑고 고정 후 첫줄을 뽑아야합니다.
2, 3째줄이 상+공 또는 상+재 가 먼저 나온다면
첫줄 보공을 뽑으시면 되고,
2, 3째줄이 보+상 또는 보+재 가 먼저 나온다면
첫줄 패시브를 뽑으시면 됩니다.
스트라이커가 너무 마음에들어서 10만대스펙까지 키우겠다 싶은 분들은
패보상 패보재 멸망전하셔도 되지만, 유니크 상+공 or 상+재가 떴다면
일단 보공 첫줄 19%정도라도 띄워두시고, 안쓰는 어빌 프리셋에 재도전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유니크 보+공, 재+공이 나오면 어쩌나요? 질문이 있을 수 있는데,
저스펙에서 공격력 효율이 좋아서 괜찮습니다. 즉, 패보공, 보재공 써도 괜찮습니다.
메린이라면 크확도 유효한 옵션입니다.
다만 (현재 고스펙 종결로 추정되는) 패보상이나 패보재가 아니라면
이벤트 카서큘, 블서큘을 과도하게 투자하면서까지 최대수치를 뽑는 시도는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2. 환산 8만대 이상
이미 보상공, 보상벞, 보상재 등 어빌이 완성되어 있으실텐데요
스커가 패치마다 여러모로 최적화가 조금씩 변하는 직업이라서 기존 어빌을 갈아엎는 건 비추고요.
안쓰는 프리셋에서 패보상이나 패보재를 천천히 뽑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위에 보시면 아시겠지만 기존 옵션들과 성능 차이 크지 않으므로 급하게 뽑을 필요는 전혀 없어보입니다.
마찬가지로 유니크 옵션부터 뽑은 다음에, 첫줄 레전을 뽑아야 하고요
재사용을 극혐하는 분이 아니라면,
유니크 보+상 or 보+재 중 먼저 뜨는거 쓰시면 될 것 같습니다.
첫줄 패시브가 고정값이라서, 블서큘을 이용한 최대수치 뽑기가 수월하긴 합니다..
추측에 기댄부분도 있고 계산 오류가 있을 수도 있으니 오류가 보이시면 지적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