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과 노하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아이템] 조각 드랍률 공식 추정 + 아획, 메획 효율 분석

헤일맨
댓글: 172 개
조회: 177739
추천: 113
2024-01-22 12:59:58
최근 올라온 조각 드랍률에 대한 글을 보고 정확히 어떤 공식에 따라 실제 드랍률이 적용되고 그것을 고려했을 때 드메템 효율이 어떨지 궁금해서 이에 대해 알아보는 글임

참고로 이 글의 내용은 100%의 뇌피셜로 이루어져 있음 믿거나 말거나 "아님 말고"
이하의 내용은 "아마도 ~인 것 같다" 를 생략한 것으로 이해하면 됨

많은? 계산이 포함되어있으므로 3줄 요약을 원하면 스크롤을 맨밑으로 ㄱ


먼저 운영진 오피셜로 "실제 드랍률에는 드랍퍼가 일부만 적용된다" 라는 사실이 알려져있고, 대부분의 유저가 이를 체감하며 아획이 조각 드랍률에 곧이곧대로 적용되지 않음을 알고 있을 것임

또 아획 수치가 높아질수록 실제 드랍률 증가량은 작아진다는 사실도 많은 유저들이 '모험을 통해 알아낸' 사실이며 로그함수를 따른다는 것이 거의 정설로 알려져 있음



정확한 추정을 위해 비교적 많은 횟수의 표본이 정확하게 기록된 메벤의 두 글을 참고했음

https://www.inven.co.kr/board/maple/5974/3220174
https://www.inven.co.kr/board/maple/5746/232328


먼저 "아획이 로그함수를 따른다" 라는 것을 식으로 표현해봄




우변의 식은 아획이 0일 때 1이고, 아획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함수이고, 결과적으로 '실제 적용 드랍률'을 의미

그런데 실제로 조각 드랍률이 위의 공식을 따를지는 알 수 없음

아획에 상수 스케일의 보정을 한 뒤 로그를 취해 적용될 수도 있고, 로그를 취한 뒤 상수 보정을 하고 적용을 할 수도 있고, 실제로는 위 식과 상이한 형태의 공식이 적용될지도 모름. 사실 이러한 값들을 미지수로 설정해두고 모델링 해야 하지만, 

결론적으로는 정확하게 기록된 더 엄청나게 많은 표본이 없으면 쉽지 않은 일이며

위의 식이 표본을 잘 설명한다는 사실을 보이는 것으로 위 내용을 생략하겠음.

위에 링크 건 두 글로 계산을 해보겠음.
먼저 첫번째 글




드랍률 126%로 사냥시 : 1+log(1+1.26) = 1.82
드랍률 234%로 사냥시 : 1+log(1+2.34) = 2.21
(로그의 밑은 자연상수 e)

7.04 : 8.40 = 1 : 1.19
1.82 : 2.21 = 1 : 1.21

얼추 맞아 떨어지는 것 같음.


두 번째 글의 표본에 대해 검증하기 전에, 아무런 보정이 들어가지 않은 '아획 0%의 조각 드랍률' 을 추정해보겠음



조각 획득량은 위와 같이 계산됩니다. 조각 드롭률을 x로 놓고 계산
위 글의 마릿수는 시간당 1.8만이므로 1소재당 9000마리

7.04 = 9000 * x *1.82       =>      x = 0.00043 = 0.043%
8.40 = 9000 * x *2.21       =>      x = 0.00042 = 0.042%

적당히 평균값을 취해서 조각 드롭률은 0.0425% 정도라고 생각하면 되겠음



두 번째 글은 첫번째 글에 비해 드랍률에 대해 표본이 적은 대신, 더 다양한 드랍률에 대해 정리되어있음.




1630*5 * 68 * 0.000425 * (1+log(1+1.54)) = 455개




1630*5 * 53 * 0.000425 * (1+log(1+1.74)) = 369개




1760*5 * 52 * 0.000425 * (1+log(1+1.94)) = 404개





1920*5 * 48 * 0.000425 * (1+log(1+2.64)) = 449개



5% 내외의 오차로 조각 획득량을 잘 예측하는 것으로 보임





결국 아획과 실제 적용되는 조각 드롭률은 위 그래프와 같은 느낌으로 이해하면 됨 (264% = 2.64로 보면 됨)



이제 이것을 고려했을 때 메획, 아획이 사냥 수입에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 지를 계산하겠음



(메소 주머니가 반드시 드롭되는 아획 67% 이상을 만족했음을 가정함)


젬스톤, 주흔, 소비템 등은 고려하지 않고 오직 메소 주머니와 조각만 고려했을 때 수입은 위와 같이 계산됨
하지만 추가로 고려해야할 사항이 있는데, 재획을 빨았을 때 메획은 곱 적용되고, 아획은 합 적용된다는 점

그래서 실제로 고려해야 할 식은 다음과 같음




R을 m ,d에 대해 미분하면 메획과 아획 효율이 나옴




한 마리를 사냥했을 때 기대 수입 증가량임.

예를 들어, 레벨 272몬스터 시간 당 18000마리에서 드메 100/100에서 120/120으로 세팅을 바꿨을 때 1재획 수입 증가량을 계산할 때,


M(메소 주머니 가격)은 평균적으로 몬스터 레벨 * 7.5로 드롭되므로, 272*7.5 = 2040
여기에 1.2를 곱해 2448,
여기에 사냥 마릿수 36000마리, 메획 증가량 0.2를 곱하면 1재획당 약 1700만 메소

F(조각 가격)은 현재 기준 1000만에 조각 드롭률 0.000425을 곱하고 1.2+원래 아획 1.0 = 2.2를 나눈 뒤,
 마릿수 36000마리, 아획 증가량 0.2를 곱하면 1재획당 약 1400만 메소


의 추가 수입을 얻을 것임을 계산할 수 있음.


메획은 현재 m(메획)과 관계없이 일정한 수입 증가를 보장하는 반면, d(아획)이 증가할수록 수입 증가량이 줄어듦을 알 수 있음.

흥미로운 점은, 위 두 값으로 메획과 아획의 효율을 비교했을 때 나오는 결과임



보라색은 아획에 의한 메소 주머니 드롭률을 반영한 수입 증가량이고, 빨간색은 조각 드롭률임


재밌게도 메소 주머니가 확정 드랍되는 아획 67%를 맞추기 이전인 아획 60%일 때부터 이미 메획은 아획의 효율을 추월함 (정확히는 메획은 가만히 서있는데 아획이 뒷걸음질 침)


물론 아획을 올리면 추가적으로 젬스톤, 주문의 흔적이 많이 드롭되므로 실제로는 위보다 높지만, 상황을 극적으로 뒤집을 만큼 차이는 나지 않을 듯 싶음

아이러니한 점은 메획의 효율이 아획에 비해 높음에도 시세는 드드 > 드메 > 메메 의 순서로 높게 형성되어있다는 점임.

물론 장비 메획은 최대 100%이고 아획은 200%이니 풀드메를 위해 쌍드를 필수로 사용해야한다는 점도 있지만, 풀드메를 쓸 정도로 드메에 진심이 아니라면 굳이 가격도 더 싸고 효율도 더 높은 드메 장신구를 두고 쌍드를 쓸 이유는 없어보임.

사실 풀드랍에 가까워질수록 효율이 나락을 가니 애초에 풀드메를 갈 이유가 있는지 모르겠음. 회수가 될까?


물론 자신이 조각은 필요없고 기운을 모아서 헥사 코어를 만렙 찍고 싶어서 재획을 한다면 선택지가 없다



[ 요약 ]

1. 솔 에르다 조각에 대해 아획은 로그 스케일로 적용된다

2. 아획은 효율에 비해 고평가 되어있다 

3. 드랍 6~70% 정도 땡겼으면 메획이 이득 
   (젬, 티켓, 부스터, 주흔 등 고려X, 고려해도 쓸심+어빌+아티팩트로 60%정도 챙기고 드랍 1줄 이후 메획 우위 예상)

4. 위 모든 내용은 아닐 수도 있다 (제일 중요함)



+ [01.28 내용 추가]

제가 글에서 계속 강조하다시피 아닐 수도 있습니다. 이 글은 '드랍퍼가 오를수록 효율이 감소된다' 라는 유저들의 경험에 의한 명제를 참인 것으로 전제한 결과입니다.

사실 운영진의 발언을 있는 그대로 정직하게 받아들이면 드랍률에 '일정 비율'을 곱해 선형적으로 적용되는 형태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 조각 순수 드랍률은 약 0.06%이고, 드랍률에 적용되는 비율은 1/4 정도로 추정됩니다.

예를 들어 아획 240%를 받고 있다면, 실제로 조각은 1+2.4/4 = 1.6배 더 많이 드랍되는 식입니다.

이렇게 계산을 해도 글에서 제시한 표본들이 잘 설명됩니다. 그렇다면 아획의 효율은 F*d_f / 4로,  (조각 시세) * 0.00015으로 메획과 마찬가지로 선형적입니다. 

그러면 이 글의 결론이 달라지냐? 오히려 드롭률이 몇이든 메획이 무조건 효율적입니다. 현재 조각 시세가 700까지 떨어졌는데 선형적이라는 가정을 하면 메획이 전구간에서 2배 이상 효율적입니다.

결론적으로는 드롭률이 로그 스케일로 적용되는지, 일정 비율을 곱해 선형적으로 적용되는지는 아획 50% 이내의 구간에서의 많은 표본을 통해 알 수 있겠지만 누가 아획 50%로 100재획을 할 리도 없고 어차피 메획이 더 좋습니다.

Lv20 헤일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178)

새로고침
  • 기냥24-01-22 15:15
    신고|공감 확인
    존나 모험을 통해 알아가야하는구만
    답글이동
    비공감0공감 40
  • 헤일맨24-01-22 16:24
    신고|공감 확인
    그래서 최종 답을 드리면, 드랍 1줄만 올려도, 어쩌면 1줄도 안올려도 풀메획 먼저 챙기는게 이득입니다. << 이게 답이 될 것 같네요
    답글이동
    비공감0공감 12
  • 헤일맨24-01-22 16:27
    신고|공감 확인
    "드랍 1줄만 올려도, 어쩌면 1줄도 안올려도 풀메획 먼저 챙기는게 이득" 이게 본문에서 보여준 예시로 충분히 이해될 거라고 생각했는데 아니었나 보네요 다시 보니까 그렇네
    답글이동
    비공감0공감 6

1 ~ 100 번째 댓글 [보기]

101 ~ 번째 댓글

  • 게임덕후24-01-22 19:29
    신고|공감 확인
    정보추 ㄷㄷ
    답글
    비공감0공감0
  • 블루라티24-01-22 20:15
    신고|공감 확인
    실례지만 전공이?
    답글
    비공감0공감0
  • 헤일맨24-01-22 23:52
    신고|공감 확인
    컴공이에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에비츄24-01-22 20:52
    신고|공감 확인
    쌀먹이 아닌 사람들은 대부분 알거다 조각보다 기운이 딸린다는걸 그래서 조각값이 오를수가 없다는 사실까지 그러므로 기운때문에라도 드랍옵션을 맞춰야 한다
    답글
    비공감 1공감0
  • 아부다비부24-01-24 21:52
    신고|공감 확인
    보스까지돌면 기운하나당1억메소 드는거같은데  와우
    답글
    비공감0공감0
  • 뽕댐24-07-13 19:22
    신고|공감 확인
    드랍되는 조각으로만 코강하는 사람인데 기운은 20개 맥스고 항상 조각이 부족하던데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체키24-01-22 21:34
    신고|공감 확인
    로그함수 예상하긴 했는데 이걸 모험으로 검정하셨네ㄷㄷ
    답글
    비공감0공감0
  • 함박눈24-01-23 00:40
    신고|공감 확인
    답글
    비공감0공감0
  • 함박눈24-01-23 00:45
    신고|공감 확인
    예전 5차 업데이트때 드랍률에 따른 코젬 개수 실험한게 있던거 같은데요. 못찾겠네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함박눈24-01-23 00:48
    신고|공감 확인
    2017년인가 2018년 글로 기억하는데... 거기서도 빅데이터로 추정컨데 드랍률 로그함수로 적용되는 것 같다는 이야기를 했던 거로 기억합니다.
    드랍률 +20%가 실제 아이템 뜰 확률을 20%만큼 올려주지 않는다는 오피셜 있기 전에 실험된 것으로 기억합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몽개총24-01-23 03:20
    신고|공감 확인
    글 잘봤습니다 기운도 봐주실 생갈 없나용
    답글
    비공감0공감0
  • 팔라접고싶다24-01-23 04:30
    신고|공감 확인
    근데 이게 보스도있고 지금같이 티켓이나 그 전에 부스터 아니면 예전  진처럼 불꽃상자 생각하면 고만고만인거 같기도
    답글
    비공감0공감0
  • 원쇼슈24-01-23 04:44
    신고|공감 확인
    난 드랍률도 메이플이 개 z랄 조작해놨을까봐 어빌은 20퍼 무조건 메획으로 맞춤 메획은 거짓말을 못하거든
    답글
    비공감0공감0
  • Q110724-01-23 06:47
    신고|공감 확인
    답글
    비공감0공감0
  • 갱뚜24-01-23 07:19
    신고|공감 확인
    6차나오기 이전부터 오랜기간 사냥해오면서 체감상 아획효율이 너무 뻥튀기됐다고 생각했고 아획 100% 올려봤자 코젬 시간당 1~2개더먹나? 효율이 너무안좋다 라고 소신을 밝히면 메알못들이 달려들어 욕과 비난이 진짜 엄청났었는데ㅋㅋㅋㅋㅋㅋㅋ

    위댓글 쓰신분 데이터보니 30분당 100%일때 조각6.5개, 200%일때 조각8개 
    시간당 조각 3개차이인데 조각의 반수준밖에 안나오는 코젬은 1.5개라 치면 
    드랍 100%당 코젬 시간당 1~2개차이 내가 체감했던게 정확하게 맞았네 ㅅㅂ...
    답글
    비공감0공감0
  • 형검24-01-23 14:14
    신고|공감 확인
    걍 아흭효율은 보스에서 발휘되는듯 나 모험을통해서  알아가본결과 대략 아흭100이하수준일때 칠흑한번먹어봤는데 그뒤로 200퍼맞추고난뒤 거의3달에한번씩은꼭먹는듯
    답글
    비공감0공감0
  • 갱뚜24-01-24 02:25
    신고|공감 확인
    보스는 인정인데 코젬이나 조각같은 강화재료는 드랍효율이 별로인걸 모르는 메알못들이 너무많음
    답글
    비공감0공감0
  • 디제이엘사24-01-23 07:40
    신고|공감 확인
    이글 보면서 아획 테스트해봣는데 채널마다 편차있는듯
    30분 기준 18000마리 아획100일때 
    23채널은 30분에2개
    24채널은 30분에5개
    25채널은 30분에4개
    26채널은 30분에4개
     이게맞음?..
    답글
    비공감 3공감 1
  • 오예오예오24-01-23 09:37
    신고|공감 확인
    그건 그냥 님이 운이 안좋은거ㅇㅇ 한 300번 하고 가져오도록 하셈
    답글
    비공감0공감0
  • 저주24-01-23 20:40
    신고|공감 확인
    표본이 너무 빈약함 30분씩만 하면 걍 운빨랜덤
    답글
    비공감0공감 2
  • 돌돌이힝24-01-23 22:17
    신고|공감 확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너무귀여운 실험글이네
    답글
    비공감0공감 4
  • 메찐24-01-24 01:50
    신고|공감 확인
    이거 진짜 억까 엄청 심합니다 ㅋㅋ
    저 예전에 한창 재획할 때 310%로도 30분동안 1~2개 나올 때도 있고
    많이 나오면 10개? 15개정도도 나올 때도 있었어요
    1분에 평균 300마리정도 잡았고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피크124-01-26 12:57
    신고|공감 확인
    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ㅈㄴ 귀엽노
    답글
    비공감0공감0
  • 수색수색수24-01-23 10:19
    신고|공감 확인
    계산추
    답글
    비공감0공감0
  • 빨디24-01-23 10:36
    신고|공감 확인
    ㅇㄷ
    답글
    비공감0공감0
  • 갓도어쏜24-01-23 11:48
    신고|공감 확인
    정성추~
    하지만 저는 아획을 추천합니다.
    이유는 조각 하나 나올 때 마다 기분이가 참 좋아요 ㅎㅎ;
    아, 물론 풀드메가 정배~
    답글
    비공감0공감0
  • 샥제24-01-23 13:21
    신고|공감 확인
    "모험을 통해 알아가 달라" = "공부도 줜나 해서 문송한 곳 가지 말고 지표를 그려낼 수 있는 학과를 간 뒤 게임을 통해 지표를 그려감으로써 하나하나 우리의 로직을 분석해 가며 게임을 해라"
    답글
    비공감0공감 1
  • 후배24-01-23 13:24
    신고|공감 확인
    ㅇㄷ
    답글
    비공감0공감0
  • 전기J24-01-23 13:27
    신고|공감 확인
    공개 안하는 부분은 분명 조작이 있을듯
    답글
    비공감0공감0
  • Feb24-01-23 14:02
    신고|공감 확인
    근데 너무안뜰때 채이하면 잘뜨기도하던데 ... 기분탓인가
    답글
    비공감0공감 1
  • 블래냥24-01-23 18:04
    신고|공감 확인
    감사합니당
    기운도 실험 부탁드립니다 선생님
    답글
    비공감0공감0
  • 향희난무24-01-24 03:24
    신고|공감 확인
    이 글 덕분에 가지고 있던 쌍메템들 시세가 급등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띠기임24-01-24 12:07
    신고|공감 확인
    전부 이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메네24-01-24 17:58
    신고|공감 확인
    이렇게 똑똑한 분이 메이플을 하는건 재능낭비가 아닐까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아부다비부24-01-24 21:50
    신고|공감 확인
    154퍼 1630마리 455는 오타맞져? (뭔소린지 모름)
    답글
    비공감0공감0
  • 헤일맨24-01-25 06:29
    신고|공감 확인
    154퍼로 6분 1630마리 68소재비 시 조각 455개
    답글
    비공감0공감0
  • 전설의흰딱s24-01-25 00:12
    신고|공감 확인
    6차 강화에 솔에르다520개, 조각1만3천개 넘게 썼어요
    근데 오리진 포함 꼴랑 3개 밖에 마스터 못했습니다.
    솔에르다가 ㅁ1친듯이 부족해요 

    쌍드 비싼 이유는 조각때문이 아닙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전설의흰딱s24-01-25 00:17
    신고|공감 확인
    솔야누스도 20개 찍어야 하는데 솔에르다가 답이 없습니다...
    조각은 얼마 안해요, 그냥 사면 됩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버터맛두유24-01-25 05:22
    신고|공감 확인
    넥슨은 드메공식 공개해라. 모험통해 알아가라는 헛소리 말고 돈받고 상품 팔아먹었으면 상품 정보 고시 똑바로 해라
    답글
    비공감0공감 1
  • 분탕충아님24-01-25 09:33
    신고|공감 확인
    근데 궁금한게 풀드랍으로 제가 재획을 자주 하는데
    유행을 사용하는 경우, 평균 14~16개정도 조각을 먹고
    유행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평균 8~10개정도 먹는데
    그럼 이건 또 다른 얘기인가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로갤호감고닉24-01-25 12:26
    신고|공감 확인
    무서워요.. // 유행에 뭐가 있나
    답글
    비공감0공감0
  • 균형의수호자24-01-25 12:32
    신고|공감 확인
    메이플이 드랍률이 그대로 반영되지 않는다고 한 시점에서 로그꼴로 표현되는 건 99% 동의함

    그런데 이건 결국 데이터 2개로 회귀식을 세운 거나 마찬가지인데 읽는 입장에서 좀 엥?하는 부분이 있네.

    드랍 0% 126% 234%로 세운 거면 이해가 되는데
    126% 234%로 세운 회귀 식으로 0%드랍률을 구해놓고 실제 0%표본 데이터 검증 없이 df=0.000425로 사용하니까 읽는 입장에선 뜬금 없음. 

    이게 표본이 없는 것도 아닐텐데 왜 이렇게 했는진 모르겠네. 대충 드랍 0 50 100 150 200 이렇게 다섯 포인트에만 피팅 잘 되면 신뢰할 수 있는데 변화량이 급격한 0 50 100 쪽에 검증이 없으니..

    그리고 메획은 사실 선형적이라 편미분없이 마릿수x메획x메소량 이것만 계산하면됨
    답글
    비공감0공감0
  • 균형의수호자24-01-25 12:38
    신고|공감 확인
    또한 드랍템이 메획템보다 비싼점이 아이러니하다고 했는데 이건 다르게 생각을 해보면 알 수 있음

    1. 드랍템은 보스에서도 효용이 있어서 보스유저들에게 수요가 많음

    2. 아획이 더 제한이 높아서 헤비 풀드메 유저들은 결과적으로 아획템을 더 많이 구비함.
    그런데 메획이나 아획이나 큐브 확률은 동일하므로 수요가 많은 아획이 오를 수밖에 없음

    3. 라이트 유저들에게도 기본 아획60언저리까지 올리기위해 드랍 한줄 정도는 사는 게 반 강제임. 따라서 아획템 수요가 메획템 수요보다 더 많이 발생함
    답글
    비공감0공감0
  • 균형의수호자24-01-25 12:41
    신고|공감 확인
    마지막으로 드랍률이 부분적으로 그대로 적용되지 않는다 했으니 사냥에서는 비선형적으로 적용되더라도 보스에서도 비선형적으로 적용되는지 아닌지 알 수 없음
    따라서 유저들한테 쌍드템이 갈 이유가 없는 템이라고 보긴 힘듦
    답글
    비공감0공감0
  • 헤일맨24-01-25 13:11
    신고|공감 확인
    1. 고작 데이터 2개로 회귀식 세운 이유 + 0% 대충 구한 이유 - 다양한 아획에 대한 정확한 표본이 없기 때문임. 누가 아획 0%로 100재획하면서 조각 개수 기록하면 정교한 피팅 가능함. 근데 그럴 사람 없고 있기를 바라지도 않으며 내가 직접할 생각 역시 전혀 없음. 그래서 대충 역산 뚜따한 것.

    2. 변화량이 급격한 0 50 100의 자료가 중요한가? 전혀 중요하지 않음. 
         - 이 글이 유익한건 최소 아획 67 맞추고 이후에 메획 올릴까 아획 올릴까 고민하는 단계의 유저임. 그래서 0~50 구간은 고려할 이유가 없음.
         - 그 이후의 구간에 대해, 100~200 구간에서의 효율은 잘 맞아떨어짐. 그런데 100에 도달하기 전 이미 메획이 아획을 추월하고, 매우 강한 추측으로 아획 적용 곡선은 convex할 것임. 따라서, 부족한 데이터에 의한 부족한 신뢰의 피팅에도 불구하고, '어느 시점부터 메획이 더 좋은가?'의 관점에서는 해당 구간 밖에서의 피팅은 중요하지 않으며 메획이 아획보다 효율이 좋음은 분명함.

    3. 물론, 실제 조각 드롭률의 '공식 추정'의 측면에서 이 글은 신뢰성 낮은거 맞고 글 쓰면서도 인지함. 하지만 제가 진짜 강조하고 싶었던 것은 그냥 메획이 아획보다 좋다는 것임. (사냥 수익 측면에서)

    4. 아획 제한, 보스 드랍 때문에 아획템이 더 가치가 높다, 쌍드가 갈 가치가 없다고 보긴 힘들다 - 님 말 맞음. 이 글은 철저히 사냥 수익의 관점에서 본 글임. 

    5.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풀드메가 의미가 있냐 라는 물음에 대해 더 구체적이고 자세한 관점을 가지고 있지만 이건 사람 따라 다르게 생각하는 부분이라 생략함
    답글
    비공감0공감 1
  • 헤일맨24-01-25 13:13
    신고|공감 확인
    신뢰성 측면에서 본문에 넣을까 말까 하다가 혼란스러울까봐 그냥 안넣은 내용인데 지적 감사합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헤일맨24-01-25 13:23
    신고|공감 확인
    정확한 피팅이 왜 안중요한지에 대해 추가적으로 덧붙이면, 로그로도 해보고 sqrt로 해보고 더 복잡한 convex한 곡선에 대해 모델을 만들어도 100~200 구간에서는 사실상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많아봐야 5~8% 차이고 심지어 미분해봤을 때는 그 차이도 별 의미 없어짐. 어떤 곡선으로 피팅을 해도 결론적으로는 많아봐야 아획 80% 이전에 메획이 추월함.

    요약하면 대충 아무 곡선 그려도 100~200을 잘 설명함. 그리고 60~70에서 메획이 추월함.
    답글
    비공감0공감0
  • 헤일맨24-01-25 13:36
    신고|공감 확인
    아마 진짜 정확한 공식을 추정하려면 정신나간 누군가가 최소 아획 50%부터 300%까지 20%씩 슬금슬금 올려가면서 각 아획에 대해 50재획씩은 하셔야 될듯
    답글
    비공감0공감0
  • Mael24-02-06 01:56
    신고|공감 확인
    얘는 그냥 태클걸려고 구실을 만들어서 써재끼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0 50을 하라는건 진짜 대가리 비우고 산다는건데...
    답글
    비공감0공감0
  • Mael24-02-06 02:09
    신고|공감 확인
    그리고 메획지적은 진짜 얼탱이가 없는게
    저렇게 총 수입을 식으로 적어서 정리해주면 눈에도 잘들어오고 가독성도 좋아지는데

    "메획은 사실 선형적이라 편미분없이 마릿수x메획x메소량 이것만 계산하면됨"
    이 말은 그냥 아는체하고 싶어서 만들어서 지적하는 수준임 ㅋㅋ
    그냥 나 혼자 빠르게 계산할때야 그렇게 하는게 맞겠지만 편미분한다고 결과가 달라지는것도 아니고 전혀 문제될 게 없는데도 굳이굳이 지적질을 한다는게 참...ㅋㅋ;

    글에서 그냥 수준이 바로 보임
    답글
    비공감0공감0
  • 알라코24-01-25 13:17
    신고|공감 확인
    답글
    비공감0공감0
  • 알라코24-01-25 13:17
    신고|공감 확인
    답글
    비공감0공감0
  • 트리니티24-01-25 16:20
    신고|공감 확인
    이딴거를 공개를 안하는 넥슨이 제일 문제아님? 왜 유저가 개똥꼬쇼를 해가면서 유저들한테 정보를 제공해야함...
    답글
    비공감0공감 2
  • 팔드로24-01-25 19:07
    신고|공감 확인
    바지 갈아입고 갑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톡깸24-01-25 21:38
    신고|공감 확인
    이것도 어떻게 보면 유저 기만 아닌가?
    답글
    비공감0공감0
  • Ennoble24-01-26 08:49
    신고|공감 확인
    근데 예전에 원기가 스트리머들 방송 찾아가서 방송할때 누구 방송에서 그랬는지 모르겠는데 아획은 높아질수록 효율이 낮게 설정되어있다고 언급하긴 했었음
    그래서 낮은 상태에서 증가하는것에 비해 높은 상태에서 증가하는건 효율이 적다고
    답글
    비공감0공감0
  • 건거렁24-01-26 18:27
    신고|공감 확인
    정성추+같은 전공추
    답글
    비공감0공감0
  • 백년운동24-01-28 08:17
    신고|공감 확인
    멋져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백년운동24-02-06 01:47
    신고|공감 확인
    미분을 저럴때쓰는구나
    답글
    비공감0공감0
  • 재획안해봄24-01-30 02:37
    신고|공감 확인
    감사추
    답글
    비공감0공감0
  • 앗하뭐시기24-01-30 11:03
    신고|공감 확인
    무친추
    답글
    비공감0공감0
  • Ichen24-01-30 11:23
    신고|공감 확인
    맞는거같은데?
    답글
    비공감0공감0
  • 이슷룬24-01-31 16:33
    신고|공감 확인
    요약 4번 읽고 모든걸 패스하기로 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혹너옯24-02-01 18:29
    신고|공감 확인
    중간에 미분한 거 증가율이라고 해야 합니다.
    그걸 다시 정적분 한 게 증가량이죠.
    답글
    비공감0공감0
  • 헤일맨24-02-01 22:30
    신고|공감 확인
    처음에 증가율이라고 썼는데 마치 저 값이 메소/조각 수익에 곱해져서 적용되는 것처럼 오해하는 분들이 있어서 증가량이라고 바꿨어요 증가율이란 표현도 적절하진 않고 차라리 변화량이나 증가폭이 나을 것 같네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혹너옯24-02-02 20:20
    신고|공감 확인
    적절치 않다뇨...
    엄밀하게 따지면 변화율 또는 증가율이라고 적어야 맞습니다.

    그리고 변화량, 증가폭, 증가량 이 셋은 같은 의미일텐데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혹너옯24-02-02 20:20
    신고|공감 확인
    보시는 분들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저렇게 쓰셨다고 하시니 더 이상 왈가왈부 하진 않겠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쌀막걸리충24-02-01 23:26
    신고|공감 확인
    드드드 가 떠도 드드드 가 적용 되는지 확인이 안되는 미친 게임 ㅋㅋ
    답글
    비공감0공감0
  • 불온분자24-02-06 11:13
    신고|공감 확인
    쌍드쌍메 가격역전 가즈아ㅋㅋㅋㅋ
    답글
    비공감0공감0
  • 헴스터24-02-06 13:13
    신고|공감 확인
    논문 등재 안하고 뭐하심?
    답글
    비공감0공감0
  • 강낭콩z24-02-17 00:44
    신고|공감 확인
    와....
    답글
    비공감0공감0
  • 최하층민24-02-28 13:00
    신고|공감 확인
    어빌, 쓸심, 아티펙트, 재획비에
    메획 두줄 하프링, 메획 이벤링 세개 끼고 풀사냥 돌리는 게 젤 이득이겠네
    답글
    비공감0공감0
  • 플래티넘골드24-03-02 17:02
    신고|공감 확인
    ㅇㄷ
    답글
    비공감0공감0
  • 노릇잉24-05-02 10:57
    신고|공감 확인
    ㅇㄷ
    답글
    비공감0공감0
  • 망녜24-07-13 21:13
    신고|공감 확인
    ㅇㄷ
    답글
    비공감0공감0
  • 세끈한녀석24-07-23 18:58
    신고|공감 확인
    로그 밑값이 10이아니라 자연상수라서 ln으로 계산하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헤일맨24-10-07 21:17
    신고|공감 확인
    로그함수 약기는 글과 문맥 따라 다릅니다. 고등학교에서는 log라고 쓰면 상용로그라고 하지만 학계에서는 이진로그일 수도 있고 상용로그일 수도 있고 자연로그일 수도 있음. 보통 글에서 언급하고 가거나 걍 독자가 눈치껏 알아먹어야함.
    답글
    비공감0공감0
  • Okdd25-06-11 09:07
    신고|공감 확인
    이 글 보고 파이썬으로 30분 메소 계산기 만들어서 좀 뚜드려봤는데 경험상 거의 일치하는 것 같습니다. 0.000425가 확실하진 않아도 오차범위가 정말 작다고 느껴지네요. 덕분에 효율 계산 잘하고 갑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메이플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