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inven.co.kr/board/maple/5974/5645709?my=chu
댓글에 정답을 확정하기 포기했다는말은 일부러 정답을 말 안하려고한거고
두 선택(1번과 3번)이 서로 밸패방향성에 있어서 공존이 불가능하므로 실제로 정답은 존재합니다.
<선요약>
1. 문제 오류 없음, 정답 특정
2. 관점에 따라 다르지만 그 관점을 이미 문제에서 특정함
3. 정답은 3번 - 변화없음
<출제의도>
-> “절대값 차이와 비율 차이를 구분하고, 주어진 상황에서 밸런스 격차를 평가하기에 적절한 기준을 적용할 수 있는가?”(수학적 직관)
<해설>
원문中: 메이플스토리에서 캐릭터의 강함(밸런스)은 "전투 시간이 충분히 긴 실전 DPM"을 기준으로 평가된다. (ex 전투시간이 충분한 보스 클리어 타임 지표)
해석 : 밸런스 격차의 기준을 "비율"로 정해야함을 특정하는 조건.
수학적 설명 : 보스전에서 클리어 시간 T는 보스 체력 H와 DPM D의 관계에 따라 다음과 같다
T = H / D
-> 클리어타임은 DPM과 반"비례" 관계
논리적 해석 : “전투 시간이 충분히 긴 실전 DPM”을 강함의 기준으로 삼으면,
절대값 차이는 보스 HP 크기에 따라 체감이 달라져 신뢰할 수 없는 지표가 되고,
비율은 전투 시간과 무관하게 언제나 상대적 강함을 일정하게 반영한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은 밸런스 격차 기준을 절대값이 아닌 비율로 특정.
직관적 설명 : 동스펙 두 캐릭터의 보스 클탐이 "28분 vs 30분"일 때 밸런스 격차는 "2분 vs 4분"인 경우보다 더 작음은 자명함. 2분직업이 28분치면 4분직업은 56분쳐야함
("DPM 절대값 차이가 같다" = "클리어타임 차이가 같다" but 해당 예시는 클탐차가 2분으로 같지만 밸런스 격차가 비교할 수 없을만큼 큼)
(즉, 밸런스 격차 기준이 "관점에 따라 답이 다르다"는 "문제 오류"지적은 옳지 않음)
따라서 밸런스 격차의 기준은 "비율"이므로 전후 비율이 1.5배로 동일하므로
3번. "밸런스 격차는 변화하지 않았다." 가 정답.
---------------------------------
-> 1번 "밸런스 격차가 커졌다"를 선택하는 것은, 밸런스를 보스 클리어 타임(비율 기준 판단방식)으로 보겠다고 하면서도 실제 수치 판단은 절대값 차이에 근거한 것이므로 자기모순이다.
1번에 대한 반례로 자주 언급되는게
-> "1엔버 26데슬" 시절보다 지금이 절대값 격차는 더 커졌으니 밸런스가 안좋냐?
요거인데 딱 적절한 반례인것 같습니다.
재획반찬 맛있게 잘 먹었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