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플스토리 인벤 자유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수다] 단독]국정자원 화재, 인재에 무게…비전문 업체·알바생이 작업했다

아이콘 아티스트랑랑
조회: 211
2025-09-28 17:23:20
https://m.etnews.com/20250928000070?obj=Tzo4OiJzdGRDbGFzcyI6Mjp7czo3OiJyZWZlcmVyIjtzOjIzOiJodHRwczovL3d3dy5nb29nbGUuY29tLyI7czo3OiJmb3J3YXJkIjtzOjEzOiJ3ZWIgdG8gbW9iaWxlIjt9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무정전전원장치(UPS) 이전이 비전문 업체와 아르바이트생까지 동원된 작업 환경 속에서 진행됐던 것으로 파악됐다. 사태 근본 원인이 총체적 부실에서 비롯됐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파장이 커질 전망이다.

28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UPS용 리튬이온배터리 이전 작업을 맡은 업체는 대전에 있는 A사다. A사는 영세한 통신 설비 업체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사안에 정통한 업계 고위 관계자는 “통상 UPS용 리튬 배터리와 전기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때는 전문성이 있는 한 업체에서 도맡는다”며 “다만 이번 국정자원 작업의 경우에는 A사가 전기 작업까지 진행했고, 이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말했다.

리튬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 작은 충격이나 잘못된 연결에도 쉽게 과열되거나 폭발할 수 있어 '시한폭탄'으로 불린다. 취급과 이전, 설치 전 과정에 걸쳐 전문성과 안전 규정 숙지가 필수적이다.

문제는 이 작업을 수행한 인력이다.

업계 다른 고위 관계자는 “당시 A사 측 전문가 외에도 아르바이트생 수 명이 투입돼 배터리 운반과 설치 보조 작업을 한 것으로 안다”며 “폭발물을 다루는 것과 같은 작업 과정에서 관련 지식과 경험이 없는 비숙련 인력이 투입됐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결국 최종적인 관리·감독 책임이 있는 정부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국정자원이 사업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업체 전문성을 제대로 검증했는지, 위험천만한 작업 현장에 비숙련 인력이 투입되는 것을 알고도 묵인했는지 조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IT 서비스 기업 관계자는 “이런 종류의 사업은 기술력과 안전 관리 능력을 최우선으로 평가해야 하지만, 최저가 입찰 방식 등으로 인해 자격 미달 업체가 선정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이 같은 입찰 제도의 구조적 허점을 통해 비용을 아끼려다 국가 전체가 마비된 꼴”이라고 지적했다.

정부 관계자는 “당시 배터리 이전 작업 현장에 정부 측 인원이 감독하고 있었는지 확실하지 않다”며 “사업 수행 업체와 인력들도 외견상으로는 문제가 없었다고 보고 받았다”고 말했다.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메이플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