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543667
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서울경제]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과거 게임을 4대 중독으로 규제해 중국에게 산업 경쟁력이 추월당했다”며 "게임은 중독 물질이 아닌 만큼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야 하고, 정책 지원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문화 산업 국가로 만들고자 하며, 그 중요한 부분이 바로 게임 산업”이라며 게임의 경제적 가치와 일자리 창출 효과를 높게 평가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게임 ‘배틀그라운드’를 운영하는 펍지(PUBG)성수에서 K-게임 현장간담회를 열고 "부작용은 부작용대로 대처하면서 기회를 만들어가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박근혜 정부 시절을 언급하며 정책 당국의 규제 마인드를 바꿔야 한다고 짚었다. 그는 “(박근혜 정부)당시에 마약과 함께 (게임을) 4대 중독으로 지목해 지원은 커녕 억압을 하는 바람에 중국보다 앞서 있다가 갑자기 추월을 당했던 게 아닌가 싶다”고 했다. 그러면서 “아직도 일부 국민들이 (게임 중독을)걱정하시는 측면이 있다”며 “하지만 웹툰·애니메이션이 하나의 큰 산업이 돼 있지 않나. 이걸 억압한다고 해결되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게임 산업은 청년의 일자리 창출에 매우 크게 도움이 되는 산업”이라며 “하나의 게임이 성공하면 좋은 일자리가 얼마나 생길지, 종사하는 청년들이 그 만큼의 혜택과 기회를 누릴 수 있느냐가 관심사”라고 말했다.
특히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게임 수출이야말로 진정한 수출”이라며 “국부 창출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게임 산업의 고질적인 문제인 개발자들의 노동 환경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개발자 입장에서는 집중 근무가 가능하도록 노동시간을 풀어달라고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과로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며 “충돌되는 문제를 지혜롭게 해결하고, 고용된 청년들이 소모품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제도로서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구더기가 생기면 구더기 막아야지, 장독을 없애버리면 안 된다”고 규제보다 지원을 약속했다.
한편 간담회에 앞서 이 대통령은 자신의 젊은 시절을 본뜬 AI 캐릭터가 등장하는 신작 게임을 직접 시연한 뒤 “수익 모델은 무엇이냐”, “다른 사람이 만든 세계로 들어갈 수 있느냐” 등의 관심을 드러냈다. 이날 간담회에는 게임업계를 대표해 김정욱 넥슨 대표,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방준혁 넷마블 의장,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성준호 스마일게이트 대표, 배태근 네오위즈 대표 등 주요 게임사 대표들을 비롯해, e스포츠계를 대표해 프로게이머 노태영(활동명 이엔드) 선수 등이 함께했다.
송종호 기자(joist1894@sedaily.com),전희윤 기자(heeyoun@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