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3자 사기 기본 구조 이해
보통 이런 식이에요:
사기꾼(A): “내가 메소를 살게요”라며 **구매자(B)**에게 접근
사기꾼(A): 동시에 당신(판매자, C)에게 “내가 메소를 살게요”라고 접근
B가 돈을 송금하고, **C(당신)**은 아이템을 A에게 넘김
→ A가 도망감.
B는 당신을 신고, 당신은 억울한 상황이 되는 구조.
즉, A는 중간에서 둘 다 속이는 중개 사기꾼이에요.
⚠️ 2. 판매자 입장에서 반드시 확인할 것
항목이유조치 방법
| 입금자 이름 일치 확인 | 돈을 사기꾼이 아닌 실제 구매자가 보내는지 확인 | 거래 전에 “입금자명과 금액, 은행명”을 캡처로 받아둬야 함 |
| 디스코드, 오픈톡 ID 불일치 주의 | 사기꾼이 같은 닉으로 여러 계정 쓰는 경우 많음 | 오픈톡 방 입장 시 프로필 캡처 저장 |
| ‘내가 친구 대신 사준다’ 같은 말 거절 | 삼자사기 시 자주 쓰는 문장 | 반드시 “본인 명의 계좌만 가능”이라고 명시 |
| 거래 스샷 저장 습관 | 신고나 분쟁 시 핵심 증거 | 입금 내역, 대화 내역, 캐릭터명 등 저장 |
| 에스크로(중개 시스템) 거부 시 주의 | 에스크로를 꺼리는 건 99% 사기 | 안전거래 사이트나 중개 시스템만 이용 |
💬 3. 실제 거래 단계별 안전 루틴
✅ 상대 계좌와 예금주명 확인
“입금자명 뭐로 되나요?”
“계좌 예금주 본인 맞죠?”
이름 다르면 바로 거래 중단.
✅ 입금 확인 후 아이템 전달
✅ 입금 스샷은 믿지 말기
이체 스샷 조작 쉬움.
반드시 직접 계좌 확인.
✅ 가능하면 게임 내 교환으로만 진행
🚨 4. 사기꾼 전형적인 멘트들
이런 말 한 마디라도 나오면 바로 중단.
🔐 5. 추가 팁
사기 피해자 단톡방 or 블랙리스트 사이트(예: 메이플 거래갤, 사기방지카페)에서 상대 닉 검색해보기.
하루에도 여러 캐릭터나 계좌로 접근하는 경우 많음, 동일 닉/계좌 블랙리스트 공유중.
‘돈 입금 안 됐는데 아이템 준 경우’ → 은행 거래내역 캡처 후, 경찰에 **전자금융사기(사기죄)**로 신고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