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터였을까. 신작 소식이 그다지 반갑지 않게 다가왔던건. MMORPG는 다 거기서 거기라는 회의감과, 정해진 루트와 자동 전투에 대한 피로감. 그런 흐름 속에서, 딱 1분 남짓한 영상이 거대한 충격을 안겨줬다. 그 주인공은 바로 ‘이클립스: 더 어웨이크닝’. 티저 영상 하나로 모든 감각들이 저절로 일깨워지는 듯한 느낌. 냄새가 난다. 대형 신작의 냄새가.
티저 영상을 하나씩 살펴보자면, 처음 받았던 인상은 시작은 차분하지만 묘하게 무게감이 있다라는 것이다. 붕괴된 제단 같은 공간, 의미를 알 수 없는 석상, 그리고 희미한 실루엣. 또한 중앙에 앉은 거대한 조형물과 목이 잘린 신의 흔적처럼 보이는 그 형상이 티저의 전체 분위기를 압도한다. 이후 해와 달이 겹쳐지고, 강렬한 빛이 쏟아지는 장면은 마치 어떤 ‘변화의 순간’을 암시하는 듯 하다.
단지 퀄리티만 좋게 만든 영상이 아니다. 분명 어떠한 명확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는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세상이 잠들어 있었다면, 이제 깨어날 차례라는 것. 이클립스: 더 어웨이크닝의 'Awakening'은 단순한 각성이 아닌, 세계 그 자체의 격변에 가까울지도 모른다.
이 모든 장면의 몰입감을 책임지는 건 바로 언리얼 엔진5다. 빛과 그림자, 색의 톤, 질감까지 섬세하게 조율된, 그야말로 고퀄리티 작품이 따로 없다. 물론 그래픽이 좋은 게임은 많지만, 분위기까지 의도하여 설계할 줄 아는 게임은 드물다. 금번 공개된 티저가 시사하는 바는 바로 이런 것이다.
이클립스: 더 어웨이크닝이 단순히 시네마틱 티저를 잘 만드는 게임이 아니라는 건 개발진을 보면 알 수 있다. ‘그랑사가’를 만든 엔픽셀, 그리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험을 쌓아온 스마일게이트까지. 이는 기술과 운영 모두 검증된 조합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다. 즉, 눈만 호강시키는 게임이 아니라 실제로 즐길 콘텐츠도 기대할 만하다는 뜻이다.
플랫폼 전략도 흥미롭다. PC와 모바일을 모두 지원하는 크로스 플랫폼 구조는 유저 경험의 장벽을 없앤다. 언제, 어디서든 같은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구조는, 요즘 시대에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현재 티저 한 편 외에 구체적인 정보는 아직 공개되지않았다. 하지만 현재의 MMORPG 시장을 생각해보면, 이 정도 티저만으로도 화제성을 끌기 충분하다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신작이 그저 그런 반복, 혹은 너무나 익숙한 구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MMORPG 장르가 놓치고 있던 감각들. 모험의 설렘, 손에 닿는 액션의 감각, 스토리를 따라가는 몰입. 과연 이클립스: 더 어웨이크닝은 이러한 잃어버린 감각들을 다시 되찾게 만들 수 있을까. 아직은 모르겠다. 하지만 분명한 건, 기대해볼 이유가 생겼다는 것. 지금으로선 그것만으로도 충분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