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이슈] 국제결혼 고소득·고학력층 늘었다…2명 중 1명 ‘대졸·월소득 300만원’

Eudia
댓글: 12 개
조회: 2094
추천: 1
2024-05-23 12:54:04
여가부 23일 ‘2023년 결혼중개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이용자 50% ‘대졸’…‘월평균 400만원대’ 최다 소득구간
‘충분한 시간동안 일대일 만남’ 多…현지 맞선 관행 개선
신상 정보 제공 위반으로 행정처분 받은 사례도 있어
[헤럴드DB]

[헤럴드경제=안효정 기자] 국제결혼중개업을 통해 결혼하는 부부의 학력과 소득 수준이 크게 높아졌다. 최근 3년간 결혼중개업 이용자 중 절반 이상이 대졸 이상이며, 월평균 소득이 300만원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이러한 내용이 담긴 ‘2023년 결혼중개업 실태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3년마다 이뤄지는 국가승인통계다. 결혼중개업 현황 및 운영 상황, 이용자의 일반적 특성 및 결혼 실태, 이용자 피해 사례 등을 조사하며 2014년 처음 시행됐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지난 3년간 국제·국내결혼중개업(1156개)과 국제결혼중개업 이용자(1246명), 외국인 배우자(439명) 등이 대상이 됐다. 국내결혼중개업 이용자 조사는 미승인통계이므로 공표되지 않는다.

여가부에 따르면 지난해 ‘대졸 이상’ 학력을 지닌 국제결혼중개업 이용자가 조사 시행 이후 처음으로 과반을 넘어섰다. 대졸 이상인 이용자는 ▷2014년 29.8% ▷2017년 39.1% ▷2020년 43.8% ▷2023년 50.6%로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졸 이상인 외국인 배우자의 비율도 높아졌다. 지난해 기준 외국인 배우자는 4명 중 1명(26.0%)이 대졸 이상으로, 직전 조사 대비 6.3%포인트 증가했다.

이용자의 학력뿐 아니라 소득 역시 크게 늘고 있다. 조사 결과 이용자의 월평균 소득은 300만원 이상이 63.9%로, 지난 2014년 조사(26.2%)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이용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소득구간이 400만원대로 바뀌었다. 지금까지는 월평균 200만원대가 최다구간이었다.

지난해 이용자 월평균 소득을 살펴보면 ▷400만원 이상 34.8% ▷300만~399만원 29.1% ▷200만~299만원 28.9% ▷199만원 이하 7.2% 등이다.

국제결혼중개업 이용자 나이는 40대 이상이 86.5%로 가장 많았다. 외국인 배우자는 20대가 60.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지만 지난 2017년 조사 이후로 감소하고 있다. 반면 30대 이상이 39.4%로 증가 추세다. 출신국은 대부분 베트남(80.0%)이었다.

국제결혼 이용자가 결혼중개업체에 내는 평균 금액은 중개수수료 1463만원, 중개수수료 외 부대비용 469만원으로 집계됐다. 직전 조사에 비해 중개수수료는 91만원, 부대비용은 190만원씩 증가했는데, 이는 물가 상승 영향과 코로나19로 인한 맞선 여행 체류기간이 길어진 것 때문으로 분석된다.


https://biz.heraldcorp.com/view.php?ud=20240523050442




가즈아!!!

Lv11 Eudia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