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이슈] '22만 원 중성화 지원금 받으려고…'

츄하이하이볼
댓글: 10 개
조회: 3664
추천: 1
2024-06-27 07:27:20



 

길고양이 TNR은 고양이를 잡아들여서 개체수를 조절하는 전통적인 방법 대신

포획한 고양이를 중성화해서 풀어주면 개체수 조절이 될 거라는 주장입니다.

 

영국의 동물보호가들이 시작하여 일부 수의사들이 지지하는 방법입니다만,

단기간에 거의 모든 개체를 포획해서 수술해야 한다는 비현실적인 조건때문에

일반적으로 생태학, 야생동물학 등 관련 전문가들에게 효과를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는 한편,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길고양이 TNR을 중앙정부 차원에서 국비를 투입하여 대규모로 시행하고 있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56/0000095274?sid=102




 

청주에서 임신한 길고양이를 포획해서 수술했다는 의혹이

동물단체를 통해 제기되었다는 뉴스가 있는데요.

이 건은 허위 수술, 포획 등의 부정수급 사례와는 좀 다릅니다. 

도리어 수술한 수의사 입장에서는

나름 TNR 효과를 높여보려고 노력했을 수도 있는 사안이죠.

 

 

 

 








https://www.dailyvet.co.kr/news/policy/160741




 

TNR 지지, 옹호파라는 점에서는

캣맘들과 (일부)수의사들이 하나로 엮여있지만,

사실 이들의 입장은 세부적으로 서로 또 다릅니다.

이 때문에 2022년 초에 이들간의 갈등이 있었고 

수의사들이 TNR 사업에 대한 보이콧을 검토하기도 했죠.

 

 

캣맘, 동물단체들은 사실 개체수 조절에 그다지 관심이 없습니다.

TNR에 대한 학술적 논의같은 것에도 마찬가지구요.

이들에게 TNR은 피딩을 위한 핑계, 방패같은 겁니다.

밥을 주더라도 개체수가 늘지 않는다고 주장할 수 없다면

피딩 행위가 민폐, 생태계 교란 행위이자

고양이들의 복지 역시 저하시킨다는 지적에 반박할 수 없으니까요.

 

그러다보니 이들에게는 임신, 수유중인 개체라든가

새끼, 다친 개체의 중성화 수술을 반대합니다.

임신중인 개체의 중성화 수술은 낙태를 수반하고,

이런 약한 개체들은 수술 후유증을 견디기 힘들기 때문이죠.

 

 

하지만 고양이는 빠르면 생후 3-4개월령부터 임신할 수 있고,

먹이 공급 등 조건이 좋으면 일년에 서너번씩 임신하는 등

번식력이 매우 높은 동물입니다. 

현 중성화 시행 규정대로 임신, 수유중인 개체,

2kg가 안되는 개체를 수술 대상에서 제외한다면

이론적으로 개체수 감소가 일어날 중성화율(70-90% 이상)을 달성할 방법이 없죠.

 

TNR에 대한 근거를 제시해야 하는 수의사들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 힘든 부분이고

비전문가들이 만든 규정보다는

수술 전문가로서 자신들이 판단하게 해달라고 요구하는 건 자연스럽습니다.

게다가 이미 포획했는데 저런 조건이 안되어서 방사하는 경우

재포획은 매우 힘들어지죠.

 

 

 

물론 여기까지 가면 나오는 의문이

  1. 수술을 견디기 힘든 개체들도 수술하는 방법을 인도적이라고 할 수 있는가?
  2. 그렇게 한다고 해서 개체수를 줄일 수 있는 중성화율에 도달할 수 있는가?

 

죠.

 

1은 읽는 분들의 판단에 맡기겠습니다. (저는 인도적이지 않다고 봅니다.)

2에 대해서 저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고양이가 그렇게 포획하기 쉬운 동물도 아닐 뿐더러,

일년에 전국 수백만마리 길고양이의 70-90%를 수술할 인력도 장비도 안된다고 봅니다.

 

 

뭐 이런 저런 이유로 TNR 지지 연구들도

대부분 TNR'만'으로 개체수를 조절할 수 있다고 하지는 않습니다.

보통 입양, 포획, 안락사 등으로 반 이상 줄이는 데 더해

TNR은 일부 개체에 대한 안락사 처분을 대체한다는 느낌이죠.

(사실 이조차 TNR이 얼마나 개체수 조절에 기여하는지 밝히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캣맘, 동물단체, 그리고 한국 정부가 주장하는 건

TNR'만'으로 개체수를 조절하겠다는 거라는 겁니다.

2013년 동물보호법 시행규칙 개정 이래 

도심, 주택가에서 자생하는 고양이는 보호소로 보내지지도 않고 

보내지더라도 안락사되지 않고 방사됩니다. (새끼, 다친 개체는 예외)

2016년 고양이 중성화 사업 실시 요령 시행으로 

중앙정부 차원에서 이들 고양이들을 중성화로 관리하겠다고 천명했구요.

2kg, 수유묘 제외 등 기준 역시 이 때 생긴 겁니다.

 

숫제 환경부는 이제 국립공원 등지의 들고양이들마저 

사냥, 안락사를 사실상 금지하고 TNR만으로 개체수 관리를 하겠다고 하고 있습니다. 

제인 구달 등 많은 생태, 동물학자들이 안된다고 한 방법이고, 

심지어 세계 소동물 수의사회조차 TNR이 안락사를 대체할 수는 없다고 하는데도요.

 

 

국가가 반지성주의와 유사과학에 놀아나는 꼴인데,

적어도 다른 나라들 정책 벤치마킹이라도 제대로 해서  

제 정신 좀 차리길 바랍니다. 







Lv32 츄하이하이볼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로아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