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기타] 세계 최초, 실리콘 대신 2차원 물질로 제작된 컴퓨터

아이콘 렛카
댓글: 19 개
조회: 4290
2025-06-18 16:07:52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 연구팀이 실리콘 대신, 2차원 물질을 활용한 컴퓨터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2차원 물질이란, 원자 두께로 배열된 물질이며, 가장 유명한 2차원 물질로는 그래핀이 있다.

현대 전자 장치의 핵심 기술인 CMOS 컴퓨터에서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데 

n형과 p형, 두가지 트랜지스터가 필요하다.

낮은 전력 소비로 높은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n형, p형 트랜지스터가 함께 작동해야 했는데,

이는 실리콘 이외의 재료로는 달성하기 힘든 조건이었다.

문제는 실리콘 장치가 작아짐에 따라 성능이 저하되기 시작했다는 거지.
 
그걸 극복하기 위해 2차원 물질을 사용한 회로 작성 등의 연구가 진행됐는데, 그 연구 중 하나가 빛을 본 것.

이번에 제작된 2차원 물질 컴퓨터는 25킬로헤르츠 동작 주파수로 가동되며 간단한 논리연산이 가능하다.

기존 실리콘 기반 회로에 비하면, 꽤 성능이 낮은 편.

물론 실리콘 기반 기술은 지난 80년 넘게 연구된 거니까.

그걸 감안하면, 몇년 만에 유의미한 성과를 낸 건 대단하긴 하다.

Lv81 렛카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19)

새로고침
  • 익하25-06-18 16:08
    신고|공감 확인
    아 또 컴퓨터 비싸지겠네
    답글
    비공감0공감0
  • 년차대마법사25-06-18 16:08
    신고|공감 확인
    먼 소리인지 모르겠지만..멋지네
    답글
    비공감0공감 2
  • 환상적인오후25-06-18 16:09
    신고|공감 확인
    인도형들 쩌네
    답글
    비공감0공감0
  • 베시두즈25-06-18 16:09
    신고|공감 확인
    대신 사용한 물질이 싸고 구하기 쉬운거여야 실용화가 될텐데
    답글
    비공감0공감0
  • 순찰중포돌이25-06-18 16:09
    신고|공감 확인
    킹치만 2차원 물질은 회로를 만들수있을 정도로 쉬운물질은 아니라는 나온지 오래됬지만 아직도 연구실에서 못나오는 존재인지라
    답글
    비공감0공감0
  • 초코롤케익25-06-18 16:10
    신고|공감 확인
    2차원 물질이란, 원자 두께로 배열된 물질이며, 가장 유명한 2차원 물질로는 그래핀이 있다.


    그래핀부터가 뭔질 모르겠는데요 선생님;;;
    답글
    비공감0공감0
  • 초코롤케익25-06-18 16:10
    신고|공감 확인
    그래핀은 탄소 원자들이 육각형 벌집 모양으로 배열된 2차원 평면 구조를 가진 물질입니다. 뛰어난 전기 전도도, 강도, 유연성, 투명성 등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꿈의 신소재라고 불립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Mussang25-06-18 17:21
    신고|공감 확인
    그래핀 꿈의 신소재인데
    얇게 한겹씩 떼네는게 관건이였음

    근데 미친과학자가 겨우 3m 테이프로 한겹으로 떼어냄
    답글
    비공감0공감0
  • Mussang25-06-18 17:23
    신고|공감 확인
    실리콘 트랜지스터 기반의 CPU에서 벗어나려는 이유가 그거 맞죠?
    칩이 점점 작아지면서 나노단위까지 작아지게 되는데
    너무 작아져서 전기가 회로를 따라가지 못하고
    양자화되어 뚫고 지나가는 단계까지 옴
    답글
    비공감0공감0
  • 델몬트씨25-06-18 16:12
    신고|공감 확인
    그래핀이 연필에 쓰는 흑연 구조를 말하는거였던가 그럴거임
    자세한건 추가 답을 달아주실 거임
    답글
    비공감0공감0
  • 테페즈백작25-06-18 16:15
    신고|공감 확인
    전에 반도체가 크기가 작아질대로 작아져서 한계치에 가까워진다고 유툽에 보긴했는데 그거랑 비슷한건가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달걀후량25-06-18 16:18
    신고|공감 확인
    새로운 물질로 컴퓨터 레벨까지 구현한게 대단한 일이지만
    작성자 설명은 과장된게 많음. 실리콘 뿐만 아니라 유기물로도 반도체..컴퓨터 CPU도 이론적으로 구현 가능함. 실리콘을 쓰는 이유는 완전단결정+불순물 거의 0%로 만들기 때문에 완벽하게 생산제어 가능함. 그래핀 자체는 유망해보이지만 그놈의 불순물과 DEFEACT떄문에 상업적으로 제대로 쓰이는 곳이 없음
    답글
    비공감0공감0
  • Fly25-06-18 16:20
    신고|공감 확인
    먼소리?
    답글
    비공감0공감0
  • Anio25-06-18 16:25
    신고|공감 확인
    뭔지 머르는데 임튼 대단
    답글
    비공감0공감0
  • 해군이25-06-18 16:49
    신고|공감 확인
    그래핀도르
    답글
    비공감0공감0
  • 불새님25-06-18 17:00
    신고|공감 확인
    알이즈웰
    답글
    비공감0공감0
  • 매력만빵25-06-18 18:01
    신고|공감 확인
    뭔가 큰 일 해내는 공학도들 다수가 인도쪽 사람이네 ㄷㄷㄷ
    답글
    비공감0공감0
  • 아이얀느25-06-18 18:17
    신고|공감 확인
    25Khz다  지금 컴퓨터가 5Ghz고
    3khz로 계산해도 0.000003Ghz내  이건 사용할수 없는 수준이고 
    참고로 5기가 상용화까지 오는데 30년 걸렸다

    이런씩이면 발전속도도 느려  앞으로 나올 전기신호를 빛신호로 바꿔주는 트렌시버의 속도가 더 빨라지거나  아예 광신호로 작동하는 반도체가 나오는개 더 빠를수가 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아이얀느25-06-18 18:21
    신고|공감 확인
    지금 저런 기술이 필요한 이유가 전기속도가 아무리 광속에 가깝다고 해도  이동하는 중에 열손실로 인해서 발열이 심하고 cpu의 크기를 무한정 크게 만들수도 없다 광속이라도 cpu를 기준으로 대각선을 잿을떼 전기가 이동하는 시간이 있기떼문에 작동에 따른 순차 처리 속도 제어 떼문에 속도에 부하가 걸린다   이걸 해결하기 위해서 아예 재료 자체를 발열을 아주 잘되는 제질을 쓰고 싶지만 이런 재료는 너무 비싸고 희귀하다 ,  두번째 아예 저전력 설계를 하면 되는데 이건 속도가 너무 느리다,  그래서 남은게  전기신호를 최대한 사용하지 말자는거고 

    현재 디지털센터 일부 회사들은 서버와 저장장치 간의 선들을 다 광케이블로 교체하거나 설치하는곳이 많다
    답글
    비공감0공감0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