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이슈] 이스라엘 vs 이란 part.2

아이콘 비요비타
댓글: 24 개
조회: 4131
추천: 1
2025-06-19 09:18:22




내가 뭐 전문가도 아니고.. 학교때 역사 공부도 게을리 했기에..
그냥 하루종일 뉴스 듣다보니 패널로 나오는 전문가들 얘기에 그럴듯 하다 싶은 내용의 전개만 연역적으로 짜집기한 전적인 사견임.

우선 이스라엘이 불리하다 싶은 것은 국민의 구조에 있음.
과거 중동 전쟁 때 목숨을 걸고 지키던 이스라엘 군은 이미 노인층임. 그래서 현재는 mz 군인들이 지키고 있는데 당연히 정신력 약간 딸림. 이란과 사이에 낀 레바논, 시리아, 요르단, 이라크 등 덕에 근접전은 불가능하여 이스라엘의 지상군 사실상 무력화.
거기에 로켓이 아닌 미사일 포화와 드론의 공격은 평화로운 시민들을 패닉에 빠지게 함. 이게 가장 큰 요소.
중국의 지원으로 만드는 이란의 값싼(비교적) 미사일들은 대량 보유량도 2천발이 넘지만 대량 생산도 가능함.
최대 단점이 명중률이 좀 떨어진다는건데 군사시설 목표로 날려서 잘못 맞아 그 옆에 떨어져도 그 건물도 신식 건물에 민간인 하나 하나 더 소중함.(박사, 기업가, 전문직)

네타냐후는 장기집권에 불법적인 사법개혁을 추진하여 지지율 바닥임. 근데 전쟁을 하면 지지율이 일시적으로 10% 붙는데, 보통 국지전 관전할 때의 국민들은 지지를 보냈는데, 지금처럼 텔아비브 박살나고 이런 상황에서 국민들은 패닉이 옴.
미국이 개입하면 당연히 유리하나 미국 군사의 '직접'개입은 꽤 번거로운 행정절차가 기다리고 있고, 전쟁 결과에 따라 트럼프 정부는 미국 내부도 개판났는데 외국 전쟁 참여하다가 완전히 민심 나락가면 상원까지 최초로 탄핵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불명예의 걱정이 있음.

군 및 장비의 첨단화, 정보화 당연히 이스라엘이 쌔고, 미국 지원시 당연히 압승이겠지만, '여러가지' 요소들을 대입하고 환경적인 면을 보자면 지금처럼의 원거리 요격전은 이스라엘이 불리하다는 것임. 아주 단순히 묘사하자면 깨끗하고 신식 빌딩들이 그득한 도시와 시베리아 벌판과의 미사일전이 되는것임  한쪽은 정확하지 않아도 스플뎀이 되고, 한쪽은 일일히 요격해야 되는데 그런 시설들이 조금씩 떨어져있어서 각개격파해야되고 입는 피해로 인한 민심의 차이도 잘살던 사람들과 종교에 심취한 가난한 사람들이라 좀 성격이 다름.

Lv81 비요비타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24)

새로고침
  • 룰러25-06-19 09:30
    신고|공감 확인
    리박들 신경쓰지마세요.
    답글이동
    비공감0공감 4
  • 근성을보여줘25-06-19 09:25
    신고|공감 확인
    전쟁은 너무 끔찍해.. 흑흑
    답글
    비공감0공감0
  • Hyunrang25-06-19 09:26
    신고|공감 확인
     
    답글
    비공감0공감0
  • 아찌지25-06-19 09:29
    신고|공감 확인
    신정체제에서 항복은 종교의 패배죠
    트럼프 바보 ㅋ
    답글
    비공감0공감0
  • 룰러25-06-19 09:30
    신고|공감 확인
    리박들 신경쓰지마세요.
    답글
    비공감0공감 4
  • 비요비타25-06-19 09:35
    신고|공감 확인
    👍
    답글
    비공감0공감0
  • 비요비타25-06-19 09:34
    신고|공감 확인
    가자지구가 아닌 텔아비브..
    답글
    비공감0공감0
  • 비요비타25-06-19 09:35
    신고|공감 확인
    이란 미사일 공격후 휴전과 네타냐후 총리 사임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 발생
    답글
    비공감0공감0
  • 나의바저씨25-06-19 14:24
    신고|공감 확인
    이런게 가짜뉴스죠. 이 사진은 하마스와의 분쟁때 입니다. 
    지금은 텔아비브 인근 주민들 조차 국가존망이 걸린 일이라며 군사대응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616058800009
    답글
    비공감0공감0
  • 정전25-06-19 09:35
    신고|공감 확인
    이란은 이스라엘보다 더함. 수십년간의 신정 독재와 혁수대를
    위시한 친위세력의 억압으로 인해 일반시민들은 정권에 대한 충성심이 이스라엘보다 낮으면 낮았지 높진 않을거임.
    답글
    비공감0공감0
  • 파랑바다25-06-19 11:05
    신고|공감 확인
    정 반대요, 미국과 이스라엘에 대한 증오와 분노가 더 단합하게 만듬.
    답글
    비공감0공감0
  • 로직프로25-06-19 09:36
    신고|공감 확인
    이란이 아프간급은 아니고 도시 잘 돌아가고 나름 사람답게 잘 사는 나라입니다. 이스라엘보단 딸려도 그지들은 아니에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가이어스발타25-06-19 09:36
    신고|공감 확인
    이란 방공망 다 날라가서 쏘기도 전에 거의 다 무력화 된 상태인데여…여차하면 영미 항모에서 다 요격 가능하구요
    일단 이란은 박살난 지휘부부터 어케 해야 하지 않을까요? ㅋㅋ
    할말은 많지만 그냥 넘어가겠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강철의매25-06-19 09:49
    신고|공감 확인
    뭔 소리야. 지금 저거는 어젯밤에 날린 거 같은데 다 날라갔다고 말하지만은 남아 있는 것도 있고 그건 발사돼야 금방금방 만들어내겠지. 총력전을 하면 만드는 속도가 달라져 뭐 이 평화로운 시계 뭐 한 대 만드는데 막 한 달 두 달 걸리는 그런 거 생각하지 마 하루에 백 대씩은 만들어낼걸
    답글
    비공감0공감 1
  • 꾸여억25-06-19 10:05
    신고|공감 확인
    @강철의매 
     10만원짜리 미사일 막을려면 100만원짜리 미사일쏴야하는데 항모 이러는거보면 코스트에 대한 생각이 없는 사람임
    답글
    비공감0공감 2
  • 마검귀25-06-19 09:45
    신고|공감 확인
    원거리 요격전은 이스라엘 압승이죠
    이란 미사일재고 바닥나는중이고 방공망도 사실상 무력화됐고
    미국도 폭격할지말지 대기중이고 아이언돔은 멀쩡함
    서로 지상군투입으로 갈지가 문제일뿐
    답글
    비공감0공감0
  • 강철의매25-06-19 09:52
    신고|공감 확인
    미사일 떨어지면 다시 안 만드나? 이랑 같은 신정체제는 인적자원 동반역이 다른 나라랑 다르겠지? 그렇다고 이란이 북한 같은 병* 국가도 아니고 총격정으로 만들면 금방금방 만들어낼걸 가자*구처럼 고립된 지역도 아니고 쟤들이 맘먹고 만들면 지난 거 투입하기 전에는 계속 계속 쌓을 수 있어
    답글
    비공감0공감 1
  • 마검귀25-06-19 10:09
    신고|공감 확인
    @강철의매 이란의 방공망은 끝장났고 이스라엘의 방공망은 여전히 탄탄함 더 때려부어봐야 이란이 이득을 볼 구석은 없어보임
    답글
    비공감0공감0
  • 강철의매25-06-19 10:39
    신고|공감 확인
    @마검귀 현재 이란이 이스라엘 미사일 나누는 건 이득 볼려고 날리는 게 아니. 그냥 살려고 날리는 거죠
    답글
    비공감0공감 2
  • 라인충25-06-19 09:45
    신고|공감 확인
    ㅋㅋㅋㅋㅋㅋ 자기의견이랑 안맞으면 리박인지 이박인지 몰아가는거에요? ㅋㅋㅋㅋㅋ 개웃기네 ㅋㅋㅋㅋㅋㅋ
    답글
    비공감0공감0
  • 비요비타25-06-19 09:57
    신고|공감 확인
    이런 새끼가 제일 병신같음. 내가 다른사람 말 틀리댔나? 
    니 의견 있으면 너는 어떻게 보고 있다고 써 병신아. 모르면 넘어가고.. 뭣도 아닌게 시니컬한척 ㅋㅋ 대고 있어 븅신같은게..
    답글
    비공감0공감0
  • 써펜트 나가25-06-19 09:54
    신고|공감 확인
    이란은 이미 수십년간 북한 다음가는
    국제 사회의 경제 제재를 당해온 국가임
    외부 충격으로 내부 붕괴를 일으키는 건
    굉장히 힘들거임

    핀포인트로 지도부를 제거한다고 해도 그걸
    정상적으로 이어받아 이란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세력이 존재할지도 의문이고~
    오랜기간 독재 정권이 집권했던 국가에서 내부 혁명을 통해
    제대로 된 국가가 되는게 힘든 이유가 그런거임

    이스라엘은 지금 네타냐후의 개인적인 이유로 전쟁을 
    확대시키고 있는 상황이고 내부적으로 젊은층의 병역 거부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었고 이스라엘의 출산율은 하레디가 떠받치는 
    상황이라 장기적으로 좋은 상황이 아님

    거기에 전쟁이 터지면 가장 먼저 죽어 나가는 건?
    젊은이들임.......전쟁 장기화를 좋아할 리도 없고
    군인들의 피해가 누적되서 전력이 부족해지면 
    하레디들을 징집할 수 밖에 없는데........
    지금 하레디들이 부글부글하는 것도 바로 이 문제때문임
    (그동안 하레디들은 병역 면제)

    과거 전쟁 경험을 통해서 여군들의 최전선 배치는 피해왔는데
    그걸 깨고 최근 여군 전투부대들을 최전선에 배치하기 시작
    했다는건 지금 이스라엘도 그렇게 여유있는 상황은 아니라는
    이야기

    물론 "미쿡"의 지원이라는 치트키를 언제나 쥐고 있는게
    이스라엘이긴 한데.......미국도 딱히 내부 상황이 좋은게
    아니라~ ㅋ
    답글
    비공감0공감 1
  • 비요비타25-06-19 09:58
    신고|공감 확인
    내가 이렇게 글을 못써서 주저리 주저리 함. ㅋ
    답글
    비공감0공감0
  • 냐옹둥이25-06-19 10:21
    신고|공감 확인
    그장 큰 문제는 체급임, 인구만 따져도 10배 차이나는데 과거 중동전쟁들 이스라엘이 이겼어도 데미지는 더 컷다 수준임. 더군다나 인접국도 아니고 그냥 원거리 공습만 주고 받아야하는데 이러면 오히려 이스라엘 손해가 더큼

     신축 아파트 가진 사람이랑 움막집 가진 사람이랑 싸우는데 움막집 불태우는것보다 신축 아파트 베란다 유리창 깨지는게 더 뼈아픈 수준임....
    답글
    비공감0공감 1
  • 방민아b25-06-19 10:34
    신고|공감 확인
    이란은 상당히 복잡한 국가인데 이거에 대한 이해가 없는게 문제인것 같네요. 이란은 기본적으로 팔레비 왕정의 학정으로 인해 '민주화'혁명으로 현재의 이란 이슬람 공화국이 된 것입니다. 그래서 선거도 치룹니다. 대통령도 뽑고 해요, 그 대통령 후보 뽑는 과정에서 호메이니나 하메이니가 개입을 하는것도 있어서, 서방이 생각하는 완전한 민주주의는 아니라는 그런 형태는 아니긴 합니다. 그래도 자기들 내부에선 개혁파, 온건파, 이슬람 강경파 등이 분리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란이 히잡 쓰는걸 강화한다느니 이런 정책에 불만을 품고 저항을 할 순 있어도, 이건 자기네 내부 사정입니다. 외세가 자기한테 폭탄던지고 미사일 쏴대고 하면, 이란 사람들도 그건 내부 불만은 잠시 뒤편으로 미룰정도의 일이 됩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 1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