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ote.com/kai1964/n/n061a4ddfc3f7
노래로 혐오를 몰아낼 수 있을까? KPOP 걸즈! 데몬 헌터즈
재미있는 프로그램이 없을까 하고 넷플릭스를 뒤지다가 눈에 들어왔다.
KPOP 아이돌이 마물을 상대한다? 뭔가 억지로 붙여놓은 듯한 설정, 게다가 미국 제작 3D 애니메이션. 뭐, 어떤 건지 잠깐만 보자 하고 방심한 것이 실수였다. 끝까지 정주행 + 대폭발 오열.
이하, 스포일러가 포함된 리뷰이므로, 아직 보지 않은 분은 먼저 보신 후에 읽어주길 바란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감명깊게 본,
도쿄 올림픽 때 태어났다는 분의 감상문입니다.
스토리 요약을 포함한 장문인데, 마지막 부분이 인상적이네요.
이하 해당 부분 번역입니다.
노래가 세상을 바꾼다.
세상은 그렇게 만만한 것이 아니다.
그렇게 말하는 건 쉽다.
비뚤어진 자세로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의식 높은 척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세상을 바꾸려다 높은 벽에 부딪혀 튕겨져 나온 사람들 역시 그렇게 말할지 모른다. 나 또한 절반쯤은 동의할 수 있다.
다만, 이 작품이 한국계 미국인 감독(매기 강 씨)의 발안으로 시작되어, 한국을 무대로 하고, 더빙에 한국계 미국인 배우나 뮤지션, 이병헌이나 안효섭 같은 한류 스타를 기용했으며, 그 과정에서 한국계나 일본계를 포함한 다양한 출신의 스태프들이 코로나 시기를 거쳐 수년간에 걸쳐 실현시켰다는 것을 생각하면, 언뜻 보면 청승맞게 들릴 수 있는 “증오가 아니라, 증오나 슬픔, 고통을 품어 안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매개로서, 세상에는 노래나 예술이 존재한다”라는 메시지가 설득력을 갖는다.
왜냐하면 한국은 증오나 혐오가 아니라 “노래”로, 적어도 다크사이드로 떨어지려던 나라를 구해낸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2016년, 북한의 위협을 부각하며 공포 정치로 한국을 지배해온 보수층이 떠받든 박근혜 정권을, 그리고 2024년에는 여성 권리 확장을 부정하면서 반공 교육에 세뇌된 고령층과 소위 ‘약자 남성’의 지지를 얻으려 했던 윤석열 정권의 비상계엄을 무너뜨린 것은, 젊은 여성층을 중심으로 한, 노래로 가득한 집회였다.
그곳에서 불렸던 노래는 소녀시대의 「다시 만난 세계 (Into The New World)」였다.
우리 앞에 우뚝 선 높은 벽
넘을 수는 없어도
하지만 포기하지 않아
희미한 빛을 우리는 쫓아간다
이 세상에 반복되는 슬픔과 작별을 고한다
파시즘은 중산층 몰락에 대한 두려움에서 태어난다. 지금 트럼프 정권의 미국이나, 유럽 여러 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일본에서도 참의원 선거에서의 산세이토(参政党)의 약진이라는 형태로 가시화되고 있다).
그 근저에는, 변화하는 세계, 그 변화로 인해 자신이 몰락하지 않을까 하는 불안이 있고, 타자가 부당하게 우대받고 있다는 질투가 있으며, 자신이 불행한 것은 저 사람 때문이라고 공격할 대상을 누군가 정해주기를 바라는 자기기만이 있다.
그리고 불안이나 질투, 자기기만은 개인이 내면에 품은 과거의 슬픔이나 고통(자신만의 탓은 아닌)으로 인해 증폭된다. “그런 놈들은 때려잡아야 한다!”라는 카운터 발상은 사회를 얼마나 더 나아지게 했는가? 새로운 증오를 낳기만 한 것은 아닐까.
언제나 시대마다, 고통과 슬픔 속에서 다크사이드에 빠지고, 증오를 부추기는 선동자에게 따라감으로써 평안을 찾으려는 사람이 있다. 그런 사람들이 인터넷에 쏟아내는 혐오가 세상을 뒤틀어 놓는다. 독재자의 위치에 선 ‘지도자’가 증오를 부추기고, 열등감을 벗어나려다 다크사이드에 빠진 사람이 지도자적 위치에 서려 하면서 증오를 부추긴다.
슬프게도 그 역사는 이어지고 있으며, 21세기의 현실이기도 하다.
그에 분노를 느끼는 것은 옳다. 그러나 혐오하는 자들을 응징하는 것이 목적이 되어버린다면, 끝없는 투쟁만이 계속되지 않겠는가.
그것과는 다른, 더 나은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최종 해결이 아니라) 방식을 보여준 것이 바로 이 “아이들을 위한 애니메이션”이 아닐까.
폭력이나 증오가 아니라, 노래의 힘으로 맞서온 한국 사람들을, 2016년과 2024년의 겨울에 가까이에서 지켜본 사람으로서(창작자의 의도와는 다를지도 모르지만), 이 작품의 메시지가 전 세계에 닿기를 바란다.
세상을 구하는 “최종적인 해결책” 따위는 없다.
그것을 찾아내려 하는 것은 오히려 재앙을 불러온다.
그러나 더 나은 세상을 밀고 나아가기 위한 “희망”은 버려서는 안 된다.
그런 메시지가 담겨 있다.
츄하이하이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