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이슈] 9월 4일, 목요일 HeadlineNews

아이콘 달섭지롱
댓글: 2 개
조회: 632
추천: 1
2025-09-04 09:24:52



❒ 9월 4일, 목요일 ❒

💢 HeadlineNews



1. 푸틴·김정은, 2시간30분 회담서 '혈맹' 강조. 악의 세력 구축
2. 특검, '키맨' 3인방 영장기각 강력비판. 아닌건 아닌건데.
3. 포항시장 백악관 앞 1인 시위. 용기있는 지자체장의 모습보여.
4. 칼부림 번진 피자가맹점 인테리어 갈등…부녀 포함 3명 사망
5. 민주노총, 국회주도 사회적 대화 참여 결정…26년만 노사정 복귀
6. 나랏빚 '조기 경보음'…국가채무비율 40년간 156%로 3배로 폭등
7. 공적연금, 40년내 줄줄이 고갈…건강보험은 8년 뒤 바닥난다
8. 나경원 "윤리위 제소? 조폭식 회의 진행, 추미애가 대상돼야"
9. 모범 소방대원들, 해외연수 떠난 체코서도 구조활동 '눈길'
10. '재산분배 불만' 노모 살해한 형제 "어머니 멍 잘드는 체질"
11. 혼자 사는 여성 집 손잡이 마구 흔든 알몸 20대 즉결심판 논란
12. '美 관세' 피해 기업에 13.6조 긴급지원·무역금융 270조로 확대
13. LH 전세임대 처리 3주→1주 단축…주유소엔 '내일 가격' 뜬다
14. 사이버 보안장치 제대로 안 갖춘 금융사 과태료 기준 강화된다
15. 30년간 결혼 반토막, 외국인과 혼인 54%↑…출생아는 3분의 1로
16. 청소년 범죄, 신체 폭력은 20% 줄고 정서 폭력은 435% 폭증
17. 의협, 약사법 개정안 대응해 '불법 대체조제 피해신고센터' 개소
18. 복지부·심평원, 올해 비급여 항목 693개 진료비 공개…64%가 가격 인상
19. '총상 사망' 육군 대위, 유서에 괴롭힘·가혹행위 호소
20. 금융위, MG손보 계약 가교보험사로 이전·영업정지 처분 의결
21. 쌀 20㎏ 평균 6만원대, 작년보다 17% 올라…정부, 할인확대 추진
22. 현대차ㆍHD현대중 노조, 9년 만에 동시 파업…'추투' 본격화
23. 허윤홍 GS건설 대표 "모든 현장 안전 점검…대대적 혁신 나설 것"
24. "아빠의 어릴 때 간접흡연 노출, 자녀 폐건강에도 평생 영향"
25. 한국방송대상에 한석규 주연 MBC 드라마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26. 이스라엘, 후티도 손바닥보듯…고위직 12명 핀셋공습해 몰살
27. 트럼프 "미군, 베네수 마약운반선 폭격…테러리스트 11명 제거"
28. 미일 관세 합의 실타래 풀렸나…"日 담당 각료, 4∼6일 방미"
29. '신세계면세점 폭파' 협박 글 올린 30대 남성 구속영장
30. 전세기까지 띄웠다…필리핀서 도피사범 49명 '최대 송환'
31. 보이스피싱 18명 등 사기 25명…200억 횡령 16년간 최장기 도피자도 덜미
피해 국민 1천332명·피해액 605억원…인천공항 경비 경력 100여명 배치
32. 조국 "당대표하고 싶어 尹에 아양" VS 나경원 "본인은 文에 아부했냐" 
33. 尹 전대통령 부부 풍자했던 논란의 '윤석열차'...3년 만에 다시 공개 
34. 배달완료 인증샷 찍고 1분만에 '슬쩍'... 라이더 꼼수 절도 논란 
35. "6.25 한복판에도 웃었다"... 전쟁속 꽃핀 한미 부부의 사랑 
36. 관악구 흉기 난동 '인테리어 갈등' 원인이었나 .3명 찌르고 자해
37. 침 뱉고 주먹질하곤 "아빠 외교관이야" 클럽 직원 폭행한 외국인
38. 뮤지컬 '알라딘' 보러 기차타 고 부산으로...타지 관객이 40% 
39. 15호 태풍 페이파 곧 발생 "9/5 도쿄 관통"...韓美日 예상경로 이견 無 
40. [날씨] 목요일 수도권 등 중부에 비…가뭄 심한 동해안은 5㎜ 안팎










❒ 오늘의 역사 (9월 4일) ❒

✿ 1994년 태권도, 2000년 시드니올림픽 정식종목 채택



🔺️한국 태권도가 마침내 2000년 시드니 하계올림픽 정식종목으로 등장했다. 
우리말 “차렷” “겨루기” 구령에 따라 흰 빛 태권도 도복을 입은 외국선수들이 태극기에 경례를 하며 세계 60억 인구가 지켜보는 올림픽 무대에서 한국의 고유 무도로 메달을 겨루는 시대가 온 것이다.
3일 IOC 임시 집행위원회를 통과하기까지 한국 태권도는 험난한 30년 세월을 보내야만 했다. 61년 태수도란 이름으로 창립된 협회는 65년 대한태권도협회란 지금의 명칭으로 바뀌었다. 
72년 고(故) 박정희 대통령의 지원으로 영동 벌판에 국기원을 설립하면서 비로소 세계 진출을 꾀하게 됐고73년 제1회 
세계선수권대회가 서울에서 19개국 2백여명이 출전한 가운데 벌어졌다. 
이를 계기로 한국 태권도는 아프리카 및 유럽-미주지역에 사범들을 파견하며 세를 확장시켰다. 세계선수권대회가 열린
지 8년 후 국제올림픽위원회는 태권도를 승인종목(recognized sports)으로 인정했다.
3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올림픽위원회 임시 집행위원회에서 사마란치 
위원장을 포함한 11명의 위원들은 한국의 태권도를 시드니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채택하기로 결정하고 이를 4일부터 벌어지는 총회에 넘기기로 결정했다.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은 “오늘 우리는 매우 중요한 결정을 했다”며 “태권도, 철인 3종경기 등 2종목을 오는 2000년 시드니올
림픽의 정식종목으로 채택할 것을 총회에 제안키로 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나피에 IOC 대변인은시드니 올림픽대회 조직위가 11개 새로운 종목을 채택토록 집행위에 제출했었다고 
밝혔다.
사마란치 위원장은 “이에 따라 4, 5 양일간 열리는 IOC 총회가 시드니올림픽 신규 정식종목 채택안에 대한 표결을 한다”고 밝혔다. 
IOC 관계자들은 집행위에서 상정키로 결정한 의제가 총회에서 부결된 예는 거의 없다고 말했다.
한편, 태권도를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채택키로 한 국제올림픽위원회 집행위원회
의 소식이 전해진 3일 밤. 태권도인 뿐만 아니라, 초등학생에서 일반시민에 이르기까지 모두 벅찬 감격과 “금메달밭이 열렸다”는 흥분, 그리고 기대감으로 환호했다.
시민들은 우리 민족의 전통무예가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되고 이에 따라 한국어가 국제어로 도약하는데 대해 자긍심을 감추지 못했다. 태권도에 대한 새로운 관심도 꿈틀거렸다.
▶2009년 아프가니스탄 북부 쿤두즈에서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군대가 석유 탱크를 탈취한 탈레반을 공격, 민간인을 포함한 약 90명이 사망하였다.



🔺️나토군의 공습을 받은 두 대의 유조차 중에서 한 대. 
▶2008년 포스코, 포항에 50㎿급 세계 최대 발전용 연료전지 공장 준공.
▶2003년 헝가리 출신 바이올린 거장 티보르 바르가 사망.
▶2001년 미국, 이라크 공습
▶2001년 이용호 게이트 공개
▶2000년 동아시아 여성포럼, 
대만에서 개막
▶1999년 동티모르 주민투표 결과 
78.5%가 독립에 찬성
▶1995년 북경 세계여성회의 개막
▶1994년 일본 오사카 
간사이국제공항 개항
▶1990년 강영훈 총리 - 연형묵 
북한총리, 서울서 남북한 첫 총리회담
▶1990년 한국-잠비아 국교 수립
▶1989년 추리소설작가 
조르주 심농 사망
▶1985년 북한 허담, 비밀리에 서울 
방문해 전두환 대통령과 비밀 회동



🔺️1985년 9월 4일 쉐라톤 워커힐호텔에서 장세동 안기부장이 북한밀사 허담 일행과 막후협상을 하고 있다. 왼쪽서부터 허담, 
한시해, 박철언, 장세동씨.
▶1984년 동독 호네커 수상 
서독방문 취소 발표
▶1982년 27회 세계야구대회 
서울 개막 - 한국 우승
▶1981년 상공부, 제5차 
5개년 상공부문 계획 발표
▶1981년 부마고속도로 개통



🔺️개통 하루 전 하늘에서 내려다본 
부마고속도로
▶1975년 이스라엘-이집트, 
2차 시나이협정 조인
▶1974년 미국-동독, 
워싱턴서 대사급 수교 조인
▶1972년 일본-중공, 
해저케이블 설치에 합의
▶1965년 슈바이처 사망



🔺️‘생명에 대한 외경’ 사상을 온몸으로 실천했던 알베르트 슈바이처(1875~1965) 
▶1964년 자유언론수호 국민대회 발기준비회의, 범국민운동 전개방침 결정
▶1964년 정부, 언론보복조치 철회
▶1953년 딘 소장 포로교환으로 귀환
▶1951년 유엔군 한국전쟁에 
소련군 참가 발표
▶1950년 여자의용군교육대
(여군학교 전신) 창설
▶1949년 소련, 동독 농지개혁 완료 발표
▶1944년 소련군 헝가리에 진입
▶1936년 마드리드에서 카바렐로를 
수반으로 하는 인민전선정부 성립
▶1933년 쿠바 노동자 반란
▶1932년 오스트리아 빈서 세계평화회의 개막, 14개국 대표 80인 참가
▶1909년 간도협약 체결🔻



​▶1907년 노르웨이 민족음악파를 
창시한 작곡가 그리그 사망
▶1904년 세브란스 병원 개원🔻






초 인벤인

Lv93 달섭지롱

이게 지구냐!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