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역사 (9월 7일) ❒
✿ 2002년 9월 7일 12년 만의 남북대결, 남북통일축구경기 개최
▲7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남북통일축구경기가 끝난 뒤 박항서 한국 감독(왼쪽에서 세 번째)과 리정만 북한 감독(왼쪽에서 네 번째)을 비롯한 남북 선수단이 대형 한반도기를 들고 그라운
드를 돌고 있다.
“다음엔 평양에서 만납시다.”
북한 축구선수단이 8일 오후 신라호텔에서 답례 오찬을 가진 데 이어 5시 인천공항을 통해 북으로 돌아가면서 3박4일간의 남북통일축구경기 일정이 모두
끝났다.
답례 오찬에서 리광근 북한 선수단 단장은 “형제적인 성원을 보내 준 서울 시민과 남녘동포들에게 사의를 표한다”며 “우리 모두 평양에서 다시 만나자”고 건배를 제의했다.
정몽준 대한축구협회장도 “통일축구경기가 평양 능라도 경기장에서 다시 열리는 날을 손꼽아 기다리겠다”며 화답
했다.
북한 선수단은 오찬에 앞서 말끔한 단복 차림으로 한반도기를 손에 든 채 1시간 동안 경복궁 나들이에 나섰다. 장웅 IOC위원의 아들인 GK 장정혁은 “북에서는
역사공부를 중시한다”며 “사진으로만 보던 조선왕조의 대표적인 유적을 실제로 보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90년 10월 이후 12년 만에 7일 서울
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통일축구경기는 0대0 무승부로 끝났다. 6만여석의 경기장이 꽉 찬 가운데 ‘아리랑’ 가락 속에
입장한 남북대표팀은 경기 전 함께 사진 촬영을 하며 선전을 다짐했다.
한국은 당초 한수 위의 전력으로 평가받았으나 이동국과 김은중, 이천수 등 최전방 공격수 트리오의 호흡이 맞지 않아 고전했다. 전반전은 오히려 북한이 날카로운 역습을 선보이며 경기 주도권
을 쥐었다. 북한은 전반 4분 전영철의 슈팅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득점 기회를 만드는 등 잘 짜여진 조직력을 선보였다.
한국은 후반 들어 체력이 떨어진 북한을 압도했으나 골 결정력 부족으로 득점에 실패했다. 아시안게임 우승이 목표인
한국으로선 미드필드와 공격의 짜임새에서 문제점을 확인한 경기였다.
남북 선수들은 경기 후 대형 한반도기를 함께 들고 그라운드를 돌아 관중의 환호를 받았다.
리정만 북한 감독은 “모든 선수들이 통일의 열망을 안고 잘 싸웠다”며 “이런 대결의 기회가 앞으로도 자주 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항서 한국 감독은 “북한은 공격수들의 스피드가 빠르고 공수전환도
빨랐다”며 “역사적인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러 보람을 느낀다”고 소감을 밝혔다.
▶2010년 '희극 연기 40년'
배우 서희승씨 별세
▶2009년 경북 군위에서 세계 최대
익룡 발자국 발견🔻
▶2005년 증시 11년 만에
사상 최고치 경신
▶2005년 노무현 대통령과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 청와대서 영수회담
▶2004년 비제이 싱, 세계 1위 타이거 우즈(264주) 제치고 골프황제에 등극🔻
▶1999년 재일교포 무기수 권희로씨,
복역 31년 7개월 만에 가석방-귀국
🔺️조국에 첫발을 디딘 권희로씨가 도착직후 어머니의 유골을 부산 자비사에 모시고 숙소인 조선비치호텔로 떠나면서 환영나온 사람들에게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1999년 골프선수 김미현, 미국 LPGA 스테이트팜레일클래식에서 우승. 미국 진출후 첫 승
🔺️김미현 선수가 LPGA스테이트팜레일
클래식 우승컵을 들고 기뻐하고 있다.
▶1997년 모부투 前 자이르대통령 사망
▶1995년 러시아, 북한에
조소동맹조약 폐기 통보
▶1994년 ‘007 시리즈’의
테렌스 영 감독 사망
▶1993년 공직자 재산공개
▶1992년 조지 슐츠 전 미 국무장관, 제2회 서울평화상 수상
▶1991년 넵투늄(초우라늄원소)을
발견한 미국의 핵물리학자 맥밀런 사망
▶1987년 호네커 동독공산당 서기장, 분단후 첫 서독 방문
▶1984년 교황청, 해방신학의 기수
보프신부 사문
▶1980년 연세대, 충북 단양서
6~10만년전의 인류 유골 발견
▶1975년 레바논 내전상태로 돌입
▶1969년 신민당 임시 전당대회. 당
해산을 결의하고 동시에 신당 발기위원회 구성
▶1962년 일본의 소설가
요시카와 에이지 사망
▶1961년 흐루시초프-네루 회담
▶1959년 미국-영국-프랑스-소련 4국, 10개국 군축위 설치에 합의
▶1956년 노예제도 폐지 국제조약,
제네바에서 31개국 조인
▶1950년 필리핀,
미곡 만톤 의료약품 등 송한(送韓)
▶1949년 독일연방공화국 성립(서독)
▶1949년 멕시코 화가
호세 클레멘테 오로스코 사망
▶1945년 미국 극동사령부
남한에 군정 포고
🔺️미군정 실시로 한국에 진주한 미군들이 서울거리를 행군하고 있다.
▶1940년 독일기, 영국 본토 폭격.
🔺️독일공군, 영국 런던 대공습
▶1929년 안익태, 첼로독주회를
경성공회당에서 가짐
▶1924년 독립운동가 안무 장군 사망
▶1921년 제1회 미스아메리카
선발대회 개최
🔺️1921년 9월 7일 애틀랜틱 시티에서 제1회 미스 아메리카 선발대회 장면(AP연합).
▶1901년 청, 의화단사건 후 열강 11개국과 최종의정서 12조에 조인(신축조약)
▶1822년 브라질, 포르투갈로부터 독립
▶1533년 엘리자베스 1세
영국 여왕 출생
🔺️엘리자베스 1세 영국 여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