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이슈] 민원으로 4개월째 중단된 밀양시 TNR 사업..길고양이 복지는 어디에

츄하이하이볼
댓글: 22 개
조회: 3072
추천: 2
2025-09-13 07:15:58











밀양에서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TNR) 시행 중

수술을 받은 고양이의 수술 부위 문제로 

길고양이의 수술 회복을 케어하던 사람들과

TNR 담당 병원간의 여론전, 소송전이 벌어졌습니다. 😲

 

길고양이를 케어하던 사람들은

병원들이 72시간 이후 방사 규정을 어기고

일찍 방사한 것을 문제 삼았고,

병원 측은 지침 상 수의사 판단 하에 방사하는 건 문제가 없으며 

오히려 보호 중에 문제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죠.

 

밀양시는 기존 사업을 중단하고 

새로 사업자 모집 공고를 냈지만 

지원하는 병원은 없는 상태입니다. 



 





https://www.dailyvet.co.kr/news/policy/160741



길고양이 TNR 사업 자체에 부정적인 일반 시민들 관점에서는

TNR 찬성파들의 내분이 황당할 따름인데요. 

사실 캣맘 - 수의사 간의 TNR 사업 내분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

 

이미 3년 전에 수의사들이

2kg 이하, 임신 수유묘 등의 TNR 을 금지하는 고시를

수의사 판단으로 가능하게 하도록 개정할 것을 요구했었죠.

 

TNR로 개체수를 줄이려면

아무리 적게 잡아도 70% 이상의 중성화율이 필요한데

저런 제한이 있는 한 그 근처에도 못 가는 건 자명하니까요. 🤔

 

실제로 이 때 수의사들은 TNR 사업이

개체수 조절에 실패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서울시나 농림부의 자화자찬이 무색하게도요. 😂

 

 

이는 캣맘, 동물단체 측과 첨예하게 대립하는 점인데, 

이들의 경우 TNR을 동물복지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개체수 조절에는 별 관심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뭐 밥 주는 것 자체가 가장 큰 관심일 테구요. 






수의사들 요구대로

수술 대상을 수의사들 판단에 전적으로 맡긴다 하더라도

TNR로 개체수 조절은 힘듭니다. 😬

고양이가 포획하기 호락호락한 동물이 아니니 

단기간에 거의 모든 개체를 잡는다는 것 자체가 무리고, 

게다가 보이는 개체가 전부가 아니기도 하구요.

 

외부 유입 가능성까지 생각하면 

중성화로 개체수를 조절한다는 발상은

그냥 판타지라고 해야겠죠. 🤪

 

결국 수의사들과 캣맘, 동물단체 등 

TNR 찬성 집단들의 내분, 입장 차이는 

TNR 의 모순을 오히려 명확히 보여 줄 뿐입니다. 

 

길고양이들의 동물복지를 위한다지만

개복, 장기적출 수술의 위험으로 몰아가는 모순, 

이를 완화하려고 수술 대상을 제한하면 

가뜩이나 달성 불가능한 개체수 조절이라는 목적에선

더 멀어지는 모순, 

결국 길고양이들은 아무 의미 없는 사업 목적을 위해 

중성화 수술의 위험에 노출된다는 모순 등이요. 

 

 

가장 한심한 건 이런 일부 찬성파들의 망상적 발상에 

매년 수백억원의 세금을 낭비하며 

주민 불편,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는 잘못된 정부 정책입니다. 

밀양에서의 일시적 사업 중단이 아니라 

정부 차원의 사업 중단,
길고양이 방목 관리 정책의 전면적 재검토가 필요하죠.

 

다른 나라들이 이런 짓을  안 하는 데엔 이유가 있는 겁니다.

해외 사례의 벤치마킹이라도 잘 합시다. 😎



Lv40 츄하이하이볼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