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이슈] 9월 17일, 수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아이콘 달섭지롱
댓글: 2 개
조회: 382
추천: 3
2025-09-17 10:34:29



❒ 9월 17일, 수요일 ❒

💢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추석 차례상, 작년보다 저렴해졌다 
→ 전통시장 기준 28만 4010원으로 지난해보다 3090원 저렴. 
'한국물가협회' 조사. 
대형마트 평균은 37만 3540원. 
이 같은 하락은 배가 17% 내리는 등 채소와 과일 가격이 많이 내린 것에 기인. 
달걀, 돼지고기, 사과 등은 상승(국민)



◇전통시장 기준 28만4010원…작년보다 3090원 저렴
◇과일과 채소 가격 하락이 비용 절감의 주요 원인.
◇배는 약 17% 하락, 시금치와 무도 안정적 공급.
◇제주가 30만원대로 가장 비싸고, 전남과 광주는 상대적으로 저렴.



2. 금리 인하... 부동산 자극할까? 
→ 미국이 기준금리를 더 내리게 되면, 한국도 기준금리 인하를 자극받고 대출금리도 함께 내려갈 것 전망. 
그러나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제한돼 있어 주택보다는 상업용 부동산 활기 전망.(헤럴드경제)

■ 한국 경제와 시장에 미칠 영향
















◇트럼프 ‘빅컷’ 압박…美 금리 인하기
◇현금부자 선호지역 매수 심리 살아나
◇“유동성 확대, 서울·광역시 수요 지속”
◇대출규제 영향 없는 상업용 활기 전망



3. 50년 전엔 '강남구'는 '성동구' 
→ 지금 강남구는 경기도 광주군에서 1963년에 서울특별시 성동구로 처음 서울에 편입되었다. 
이후 1975년에 성동구로부터 신설 분리 되었다. 
강남구는 개청 50주년을 맞아 25일부터 다음달 3일까지 코엑스 등에서 기념 공연 등 진행.(헤럴드경제)



4. 한국어 익힌 챗GPT·제미나이... 네이버 아성 흔드나 
→ 한때 검색시장 점유율 80%를 넘나들던 네이버는 최근(6~8월) 59.9%로 1~3월(65.3%) 대비 5.4% 줄었다. 
반면 구글은 26.6%에서 32.8%로 6.2% 늘었다. 
반격 실패하면 '디지털 주권 상실' 우려 목소리도.(문화)



◇해외 AI플랫폼 빠르게 시장장악
◇토종 검색포털 점유율 뒷걸음질
◇‘디지털 주권 상실’ 우려 목소리



5. '파크골프'(Park Golf) 
→ 1983년 일본 홋카이도 마쿠베츠 공원에서 처음 시작됐다. 
한국에는 2000년대 들어 전해졌으며 현재는 중국·대만·몽골 등 아시아 지역과 북유럽, 미국 일부 지역까지 퍼지고 있다. 
아직 국가 대항전은 없다.(문화)






6. 퇴직금 세금부과 폐지법 발의 
→ 평생 일한 대가로 받는 것으로 노년 생활의 기본이 되는 돈인데 과세는 불합리... 
김미애 의원, '소득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 
사업주와 특수관계에 있거나 일정 금액을 초과하는 고액 퇴직금은 비과세 대상에서 제외. (매경)



7. 달리기 동호회 '떼지어 달리기 민폐' 
→ 늘어나는 민원에 지자체들도 제재 시작. 
▷ 서울 서초구는 이달부터 반포종합운동장에서 5인 이상 단체 달리기 제한, 인원 간 2m이상 거리 유지 
▷ 서울 송파구는 석촌 호수 산책로에 '3인 이상 러닝 자제' 현수막을 내걸었다.(한경)













◇폭염에 벗고 뛰는 '상탈族'… 자유인가 민폐인가



◇여의도공원에 설치된 러닝 시 주의 사항 안내판. /스레드



8. 배타고 출퇴근... '한강 버스', 18일 정식 운항 
→ 코스는 마곡-망원-여의도-옥수-압구정- 뚝섬-잠실 7개 선착장, 
28.9km, 총 8척 운항. 
마곡에서 잠실까지 127분, 여의도에서 잠실까지 80분. 

요금 3000원. 
당분간 첫 배 11시. 
10월 10일부터 첫 배 7시.(세계外)




9. 노안, 수술 없는 시대 오나? 
→ 하루 두 번 점안하면 시력 회복되는 안약 '유럽백내장·굴절수술학회 (ESCRS)에서 발표'. 

이 점안액에는 수정체를 조절하는 근육에 관여하는 약물 등 함유. 
그러나 이 학회의 차기 회장이자 독일 보훔대학교 안과 교수는 상용화 되기 위해선 추가연구 필요하다는 의견.(동아)



◇"안경·렌즈 안 껴도 되는 세상 온다"⋯
◇안약 한 방울로 시력 되살리고 2년 유지



10. SKTㆍKT 멤버십 '영화티켓 할인', 알고보니
→ SKT회원은 1만 5000원짜리 티켓을 4000원 할인해 1만1000원에 상시 이용 가능. 
이는 SKT가 극장사와 장당 7000원에 대량 구입하는 방식을 통해 가능, KT 도 비슷한 구조. 
시민단체, '7천원 주고 산 티켓 7천원에 파는 것은 진정한 할인 아니다' 공정위 신고.(경향)





참여연대·민변 'SK텔레콤·KT 표시광고법 위반 혐의 공정위 신고' 기자회견.

초 인벤인

Lv93 달섭지롱

이게 지구냐!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