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nzerschiff der Deutschland-Klasse
도이칠란트급은
포켓전함(Pocket Battleship)이라고도 불리지만 이 명칭은 공식 명칭이 아닌 당시
관함식에서 도이칠란트급을 본
영국 언론에서 붙인 별칭이고, 이들 함선을 실제로 건조한
독일에서는
장갑함(Panzerschiff)으로 구분했고, 아트미랄 그라프 슈페함을 라플라타 전투에서 상실한 뒤
독일 해군은 1940년에 슈페의 두 자매함인 도이칠란트(뤼초)와 셰어함을
중순양함으로 등급을 변경시켰다.
독일 해군이 재분류한 것처럼 도이칠란트급은 당시 중순양함의 표준 주포인 8 인치(203 mm)보다 더 강한 11 인치급
주포(283 mm) 6 문을 장착하고 대신 속도를 희생한 고화력의 느린 중순양함에 불과했다.
함명 | 기공 | 진수 | 취역 | 비고 |
뤼초 (Lützow) | 1929년 2월 5일 | 1931년 5월 19일 | 1933년 4월 1일 | 1947년 7월 22일 표적함으로 침몰 |
| 1931년 6월 25일 | 1933년 4월 1일 | 1934년 11월 12일 | 1945년 4월 9일 공습으로 침몰 |
| 1932년 10월 1일 | 1934년 6월 30일 | 1936년 1월 6일 | 1939년 12월 17일 자침 |
자매함인 그라프 슈페는 6티어 프리미엄 쉽으로 현재는 판매 금지( 판.금 이유는 모르겠음)
도이칠란트(뤼초)는 베저위붕 작전에 투입되었다가 해안포대의 공격으로 파손을 입고 홀로 독일로 돌아가다가 영국 잠수함의 공격을 받아 큰 피해를 입었다. 함미가 동강나기 직전의 손상을 입고 간신히 돌아가 1 년간 수리와 개장을 거쳤다. 바렌츠 해 해전에도 참가했으나 독일 해군의 소극적인 전술로 인해 제대로 활약하지 못하고 대패를 지켜봐야만 했다. 도이칠란트(뤼초)가 후퇴한 이유는 간단한데, 포탄을 막을 장갑도 없는 판에 어뢰를 막을 수 있는 방어시설이 사실상 전무했으므로 어뢰 1방이 충분히 함에 치명상을 줄 수 있었던 것이다. 게다가 이런 방어상의 문제로 인해 통상파괴활동 중 적 수송함대를 보고도 호위함이 붙어있는 것을 보고는 건드리지도 않고 그대로 도주하는 일이 잦았다고 한다. 이후 뤼초는 종전 직전 공습으로 항구에서 착저,격침되었다.
도이칠란트급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냉엄해서, 비록 우수한 화력을 통해 전함을 방불케 하는 현대적인 함정을 건조해 냈다는 점은 인정받으면서도 그 화력을 확보하기 위해 방어력을 지나치게 희생해서 도이칠란트급의 장갑 방어력은 경순양함의 6 인치 함포에 대해 원거리에서의 방어가 한계로 순양함과 비등했다고 평가받는다.
아트미랄 그라프 슈페를 1:20 축척 모형보트로 자작한 사람도 있다.
승조원 인형들도 제작해 올려두었고 결정적으로 '사람이 탑승하여 항해 가능'.
독일 대.순 사전 운용 이벤트 기간중에 진수한 녀석이지 말입니다.
부포를 수동으로 사용 할 수 있지 말입니다. 슈페는 수리반이 있고 이녀석은 없다는것이 다른점???!
쉽린이 일기 끗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