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이슈] 10월 14일, 화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아이콘 달섭지롱
댓글: 2 개
조회: 428
추천: 2
2025-10-14 09:27:48



❒ 10월 14일, 화요일 ❒

💢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가을하늘 사라진 올 10월 
→ 지난 1일부터 13일 오전까지 내린 비가 102.5㎞로, 평년의 두배... 
북쪽의 찬 공기가 계속해서 남하하고 북태평양고기압 세력이 한반도 남쪽에서 힘을 유지하며 수증기를 공급 하고 있어 주말까지 전국에 비 예상.(문화)




2. 예금 금리, 2금융권도 2%대 추락 
→ 예금 금리 하락세 지속.
美 금리 인하 기조에 추가 하락 전망도. 
12개월 만기 정기예탁금 상호금융 수신금리 2.64%(8월 말 기준) 
5대 시중은행의 대표 정기예금 상품 금리도 2.5~2.55%.(아시아경제)



◇예금 금리 하락세 지속
◇저축은행·상호금융권 모두 2%대
◇고금리 특판도 자취 감춰
◇美 금리 인하 기조에 막차 타려는 움직임도



과거 고금리 특판 상품에 가입하기 위해 영업시간 전부터 대기하던 예테크족 모습. 연합뉴스



3. 이번엔 '트럼프 시계'
→ 해도 너무한 트럼프의 대통령직을 이용한 장사... 
제품 뒷판엔 피습 당시 외쳤던 '싸우자'(Fight)는 구호가 새겨졌다. 
가격은 499~799달러(약 72~115만원)로 책정. 
이전에도 스니커즈, 향수 등 굿즈 장사로 수십억원씩 수익 올려.(동아)




4. 미-중 무역전쟁 상호 강대강으로 버티는 배경? 
→ 중국은 AI용 반도체 자생적인 공급망 상당 수준 올랐다는 자신감. 
한편 미국은 미국대로 희토류 공급원을 아르헨티나로 옮기는 방인 추진 중.(문화)



5. 신규법관 절반이 로펌 출신... 친정에 유리한 판결 '후관예우' 우려 
→ 2021년부터 올해까지 새로 임용된 법관 676명 중 355명(52.5%)이 로펌 변호사 출신. 
이 가운데 김앤장·광장·태평양·세종 율촌·화우 등 6대 대형 로펌 출신은 166명으로 전체의 24.6%. 
검사 출신 판사도 88명, 전체의 약 13% 수준으로 증가세(동아)



◇5년간 355명… 대형 로펌이 25%
◇최근 5년간 법관 신규 임용 '김앤장' 출신이 가장 많아
◇로펌 변호사 출신 절반 넘게 채용...친정인 로펌에 유리한 판결 우려
◇“다양한 경력자 선발기준 마련을”



6. 어긋나는 쌀 수급정책... 통계 부실 탓? 
→ 즉석밥· 급식· 외식 등 통계에서 빠져 1인당 소비량 실제보다 소비 예상량이 20% 가까이 적게 잡혀. 
이 때문에 쌀 잉여량 과잉으로 잡혀 비축미 등으로 많은 물량이 시장에서 격리... 
시장에서 쌀이 부족한 현상 초래.(문화)



7. 한국인 정신건강 적신호? 
→ 최근 5년간 우울증 32.9% 증가, 조울증은 24.9% 증가. 
10대 이하 30대 40대 등에서 증가폭이 두드러지고 특히 성별로는 여성 비중이 남성의 약 2배에 달해.(세계)



최근 5년간 우울증 환자가 특히 10대 이하와 30대에서 70~80%대 증가율을 보였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2024년에만 7만5233명 진료받아
◇전체는 33% ↑… 조울증도 증가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이상 많아



8. 한국 항생제 소비량 OECD 2위 
→ 항상제 소비 억제 정책 계속되어 왔지만 2022년 4위(25.7 DID)에서 오히려 두 계단 상승. 
세계보건기구(WHO)가 항생제 내성을 인류의 10대 건강 위협으로 지목할 정도. 
적절한 이용 필요.(국민)











한국 항생제 사용량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관리가 요구된다. 사진·픽사베이



9. 의대 광풍 '강남'이 더하네... 
→ 서울대 의대 신입생 중 강남3구 고교 출신 비율은 21.9%로 서울대 전체 강남 3구 출신 비중 12.85%보다 집중도 더 높아. 
고대 의대는 24.78%, 한양대 의대는 31.82%로 3명 중 한명 꼴로 강남3구 출신,(매경)



◇의대 신입생 비중 20% 웃도는 대학 8곳
◇한양대 의대, 32%로 의대중 최고
◇“교육의 지역쏠림-계층화 우려돼”



10. 직장인 유튜버, 회사가 징계할 수 있을까? 
→ 실제 과학전문 유튜버 '궤도'가 '겸직금지 의무 위반으로 정직 2개월의 중징계를 받고 과기부 산하 재단에서 퇴사한 사례도 있어. 

그러나 일반적으로 
△회사와 경쟁하는 부분 
△근무시간 
△회사 관련 정보를 올리는 경우 
△취업 규칙에 명확히 겸직을 금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괜찮다는 게 중론.(한국)

초 인벤인

Lv93 달섭지롱

이게 지구냐!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