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이슈] 10월 15일 수요일 HeadlineNews

아이콘 달섭지롱
댓글: 2 개
조회: 333
추천: 2
2025-10-15 09:32:37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 HeadlineNews



1. 전쟁 가능한 日이지스함···공격 무기 '토 마호크'장착하러 미국행


2. 100일 만에 윗니가 '뭉텅' 빠졌네···근 육맨 정성호 장관에게 무슨 일이


3. 건진법사 "샤넬백·목걸이 김건희 측 전 달" 사실 인정...법적 죄는 성립 안돼 주장 


4. "쌀은 안아끼네" 김 ·밥뿐인 '4천원 김 밥'...제주, 또 불거진 바가지 논란 


5. 전국 최대 백일홍 화원 '산소카페 청송정원' 군민·관광객 인기 


6. "손가락 다친 사진 가족에게 보내" 캄보디아서 실종 후 발견된 20대女, 유인책...


7. 이낙연, '신천지 연관' 주장 유튜버에 손해배상 2심도 패소 


8. 中 리튬·인조 다이아 통제...韓 배터리·반도체 업계 '비상'


9. 과방위 국감 등장한 이진숙 "비상식적인 것이 뉴노멀인 세상" 


10. 잦은 가을비에 멈춘 추수...상주 문경 들녘엔 한숨만 가득


11. 경찰 "캄보디아 실종·감금 신고 52건 미제"...외교부 "80명 안전 확인 안돼" 


12. 이준석 "도요토미 히데요시 닮은 사람은 조희대 대법원장 아니라 이재명 대통령" 


13. 대통령실 "캄보디아서 사망한 韓국민 부검 및 국내운구 추진"


14.100만원도 못번다더니... 제네시스 타고 다녔다 


15. "이재명 역대급 잘한다" 이하늘 "애들이 밴댕이 소갈딱지다" 


16. 의원끼리 "야이 한심한 XX야"...욕설 문자 공개에 난장판된 국감 


17. 카카오 "업데이트 전으로 롤백 불가 광고 수익 때문 아냐" 


18. "이화영 전 변호인, 김현지에 질책 많이 받아 사임" 


19. "조용히해! 너한텐 해도 돼!" 박지원 반말에 법사위 '아수라장'


20. 국감장 선 쯔양 "두렵고 막막했다"··· '사이버레커 피해' 증언


21. 뉴욕증시, 美・中 신경전에 투자자도 혼란· ·혼조 마감 


22. IMF, 韓 올해 성장률 0.8%→0.9% 상향 조정 


23. 여야, 정무위서 MBK 김병주 질타···"먹튀"."봉이 김선달"


24. 중국, 마스가 상징 한화 때렸다 


25. 자양동 227-147번지 신통기획 확정 · ·49층 1천30세대 공급


26. '2년 연속 PO행' 삼성 박진만 감독 "젊은 배찬승·이호성, 팀도 나도 살렸다"


27. 中 정부, 전국 시온교회 급습··· 지도자 30여명 체포 


28. "한국 생활 고통...지옥 같았다" 피아니스트 임윤찬 인터뷰 재조명


29.[날씨] 목요일까지 전국 가을비 · ·다음주 기온 뚝 떨어져










❒오늘의 역사(10월15일)❒  
‾‾‾‾
✿1934년 10월 15일 중국공산당 대장정 시작



🔺️중국 홍군(공산당)이 1만km 대장정을 시작했다. 
대장정 중인 마오쩌둥(毛澤東).1934년 10월 15일 새벽 중국 남부 강서성 서금 소비에트(공산당 점령지역). 

아직 걷히지 않은 어둠을 뚫고 8만명의 중국 홍군(공산당 군)이 군수품과 온갖 물자를 등에 지고 탈출하기 시작했다.

탈출은, 장개석이 1년 전부터 70만여명
의 대군으로 소비에트 주위에 철조망과 시멘트 요새를 설치, 물샐틈없는 포위망을 치면서부터 예고됐다.

국민당 군의 압박으로 소비에트 지역이 점점 생활필수품과 의약품 등의 부족으로 고통을 받게 되자, 공산당 지도부는 마침내 중국 남부의 강서와 복건성 일대의 근거지
를 버리고 중국 서북부의 오지인 섬서성에 새로운 근거지를 마련하기로 결정했다.

포위망이 가장 약한 서남쪽을 돌파한 홍군은 추격해 오는 국민당 군과 각 지역
의 적대적인 군벌 군대를 뿌리치면서 서쪽으로 서쪽으로 나아갔다. 

그들의 뒤에는 가족 대부분과 병들거나 부상입은 2만명을 포함한 2만8000명의 홍군이 남겨졌다.

주은래와 주덕, 임표, 팽덕회 등이 이끄는 홍군이 1935년 10월 연안에 도착해 자리
를 잡기까지 행군한 거리는 무려 9600km. 당초 출발자 중에서 최종 목적지에 도착한 인원은 불과 7000명 뿐이었다. 

중국 공산당은 1921년 창립 이후 15년 동안 중국 남부와 동부에서 이룩했던 혁명의 성과를 모두 잃어버리고 첩첩산중에 움츠리게 된 것이다.

장개석이나 다른 관측자들의 눈에는 이들이 마침내 뿌리가 뽑힌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장정은 중국 공산당사에서 패배가 아니라 승리, 그것도 역사를 바꾼 대승리로 기록됐다. 

홍군은 장정을 통해 엄청난 고난과 역경을 이겨냈다는 ‘신화’를 만들어냈고 사회주의 혁명의 이념을 도처에 전파했던 것이다.
 
▶ 2010년 타잔의 아들 '보이' 조니 셰필드 별세
▶ 2009년 일본 이야마 유타, 최연소 바둑 명인 등극
▶ 2002년 IBMㆍ히타치ㆍ선 등, 스토리지 기술 
‘블루핀’ 표준 자원 결의
▶ 2001년 KTF-LGT 품질향상 합의서 체결
▶ 2001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 방한
▶ 2000년 김주진 아남반도체 회장, 
한국인으로 첫 미 100대 부호에 선정
▶ 1994년 아리스티드 대통령, 
망명지 미국에서 아이티로 귀국
▶ 1993년 청와대, 
일제때의 총독관저건물인 舊본관의 철거 시작
▶1989년 노태우 대통령 미국 방문, 
부시 대통령과 정상회담(-20일)
▶ 1988년 서울장애자올림픽 개막. 
65개국 4,361명 참가
▶ 1985년 서울시, 서울시내 택시요금체계를 거리· 시간병산제로 전환
▶ 1982년 농수산부, 초지개발 10개년 계획 발표
▶ 1981년 정부조직축소개편, 531개 직위 감축
▶ 1979년 도서 `해방전후사의 인식` 1권 출간
▶ 1976년 덴마크, 
북한공관원 전원을 마약 등 밀수혐의로 추방
▶ 1973년 소양강땜 준공🔻







▶ 1971년 서울 일원에 위수령, 10개 대학에 군대진주🔻




▶ 1969년 태백선(정선~나전) 개통
▶ 1966년 효봉 스님 입적
▶ 1964년 소련 수상 겸 제1서기 흐루시초프 해임. 
새 수상에 코시긴, 제1서기 브레즈네프 임명
▶ 1962년 케네디, 알제리아 벨라 수상과 회담
▶ 1960년 독립운동가 문익상 사망
▶ 1950년 대동강 철교 폭파🔻




▶ 1949년 육군포병학교 창설
▶ 1949년 한일통상협정 조인
▶ 1946년 좌익우파, 사회노동당으로 통합
▶ 1944년 `사막의 여우` 롬멜 장군, 
히틀러 암살미수사건과 관련 자살
▶ 1940년 인도 간디, 불복종운동 개시
▶ 1934년 중국공산당 대장정 시작
▶ 1926년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 출생
▶ 1925년 서울역사 운수영업 개시
▶ 1925년 조선일보의 정간해제와 집단해고 사건
▶ 1925년 서울운동장 개장
▶ 1917년 마타 하리 총살
▶ 1910년 인천에 상수도 개설
▶ 1907년 대한국민체육회 설립
▶ 1905년 일진회, 한일보호조약 촉구 성명
▶ 1897년 소련 작가 일리야 일프 출생
▶ 1844년 독일 철학자 니체 출생
▶ 1582년 그레고리력 사용 시작
▶ 1581년 기록상 최초의 발레 공연
▶ 1407년 경상도 개령, 지진 발생






초 인벤인

Lv93 달섭지롱

이게 지구냐!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