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이슈] 10월 20일, 월요일 HeadlineNews

아이콘 달섭지롱
댓글: 2 개
조회: 273
추천: 2
2025-10-20 09:09:28



❒ 10월 20일, 월요일 ❒

💢 HeadlineNews



1. 범죄단지 탈출해 대사관까지 왔지만…"8시에 연다" 문전박대
2. 한국인 대학생 시신 두달 넘게 보관…부검 앞둔 캄보디아 사원
3. 북한군 1명 오늘 중부전선 군사분계선 넘어 귀순
4. 검사 양심고백에 공정위 제재까지 쿠팡 '초비상'
5. 김세영, 안방서 5년 만에 LPGA 투어 우승…BMW 챔피언십 제패
6. 서울 ○○구 ○년까지 ○호…당정, 연내 정밀공급계획 발표 검토
7. 10·15대책 발표일 신고가 계약 속출…주말엔 막판 갭투자 활발
8. 李대통령 "다신 국가폭력 없어야…시간 걸려도 역사 바로잡아야"
9. 늪에 빠진 청년고용률…'금융위기 이후 최장' 17개월째 하락
10. 거듭된 대책 백약무효…캄보디아 취업사기까지 내몰린 청년들
11. 유명 트럼펫 연주자, 서초구 건물 주차장서 숨진 채 발견
12. 초등학생 9명 태운 통학차량이 엉뚱한 길로…70대 기사 입건
13. "물어" 반려견에 명령해 악감정 이웃 공격하게 한 60대 징역1년
14. 부산서 60대가 몰던 승용차, 대형마트 정문에 돌진
15. 야간에 인천 선재도 갯벌에 들어간 40대 사망
16. APEC 경주선언서 자유무역 지지 수위 후퇴할 듯…WTO 언급 주목
17. "왕관 쓰고 오물 공습...트럼프, '왕은 없다' 시위에 조롱 영상
18. 민주주의 종말 두렵다" 美전역 2천여곳서 '왕은 없다' 시위 
19. 국가 중요시설인 댐 위성사진, 국내 포털 지도에 고스란히 노출
20. 국정자원 장애시스템 복구율 52.6%…과학기술자문회의 홈피 복구
21. '북미대화 가능성' 커지는 관심…관망하는 北, APEC전 입열까
22. 잇단 규제에 1주택·무주택자도 발묶여…주담대 한도 6억 줄기도
23. 최교진 "수능·내신 절대평가는 장기적 과제…국민적 합의 필요"
24. 與 "캄보디아 참극 치욕…캄 정부 비협조시 ODA 중단 검토해야"
25. 서울마을버스 '반쪽' 합의…계속되는 환승탈퇴 압박에 시민 불안
26. 수인분당선 인하대역서 타는 냄새…한때 열차 무정차 통과
27. 부산서 60대가 몰던 승용차, 대형마트 정문에 돌진
28. 가을처럼 넉넉한 임영웅의 응원…"무대에서 살아있음 느껴"
29. 송중기·천우희의 잔잔한 멜로 '마이 유스' 시청률 2.1%로 종영
30. 최원태, 7이닝 1실점 또 호투…삼성, 한화 꺾고 PO 1승 1패
31. 손흥민, MLS 정규리그 최종전서 9호골…팀 500호골 주인공
32. 안산, 여자양궁 왕중왕 우뚝…3년 만에 월드컵 파이널 우승
33. 푸틴과 대화만 하면…트럼프, 우크라전 정책 또 바꿨다
34. 中국가안보부 "美, 中국가시간서비스센터 대상 사이버 공격"
35. 스타벅스 선불금 6년간 2.6조…고객돈으로 투자 수익 등 400억원
36.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에 강도…하루 휴관
37. IMF총재 "한국의 경제·재정정책방향, 권고방안과 부합"
38. 통신사 요금제 718개 난립…정부 '통합요금제' 준비
39. 짝퉁은 싫고 신상은 비싸고…중고명품 시장 300조원 육박
40. 금감원, 생보업계 즉시연금 불완전판매 여부 등 점검한다
41. 전두환 회고록 '5·18 왜곡' 손배소송, 대법원 검토만 4년째
42. 광주 아파트서 흉기 휘두른 40대, 살인 혐의 체포

43. [날씨] 두꺼운 옷 챙기세요…아침 전국 대부분 한 자릿수 기온










❒ 오늘의 역사(10월20일) ❒ 

✿2000년 10월 20일
제3차 아시아-유럽정상회의
(ASEM) 서울서 개막



🔺️제3차 ASEM 개막식에 
참가한 각국 정상들의 모습.
‘새 천년의 번영과 안보협력’을 주제로 한 제3차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가 의장국인 
우리나라를 비롯해 26개국의 정상 또는 정상급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2000년 10월 20일 서울 
COEX 컨벤션센터에서 개막됐다.
이틀 일정으로 열린 이번 회의에서 정상들은 두 대륙간 정치-안보-경제-정보통신 분야의 협력 강화방안을 모색했다. 
회의는 ‘한반도 평화에 관한 서울선언’을 비롯, ‘2000 아시아-유럽 협력체제(AECF 2000)’ ‘의장 
성명서’ 등 3개 문건을 채택했다. 
아셈 기간동안 사회, 시민단체, 학생과 ‘아셈 민간포럼’ 참가자 1만5000여명은 서울 올림픽
공원에서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기도 했다.
이번 회의는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국제적 제어장치’를 한층 더 강화했다는 점과 유라시아 
초고속 통신망 사업을 비롯해 모두 23개 사업을 채택하는 등 구체적 성과를 거두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한편, 화려한 외양과는 달리 내실이 미흡해 각국 정상들간의 ‘고급 사료장’이라는 지적과 북한의 인권과 대량 살상무기에 대해서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다는 점 등이 문제점으로 제기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이번 회의가 한국정부 수립 후 최초의 다자간 정상 회의였고, 최대 규모의 외교행사였다는 점에서 한국 외교역량이 한단계 성숙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 2015년이근화선 ‘북청사자놀음’ 명예보유자 별세
▶ 2010년 '3무(無)경영' 실천한 '뚝심의 경영인' 설원봉 대한제당 회장 별세
▶ 2004년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인도네시아 대통령에 취임
▶ 2000년 제3차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서울서 개막
▶ 1999년 압두라흐만 와히드, 
인도네시아 대통령에 당선
▶ 1999년 정부, 초저가 `인터넷PC 보급정책` 마련
▶ 1998년 일본 대중문화 1차 개방 발표
▶ 1990년 한중무역사무소 개설 합의
▶ 1986년 카드식 공중전화기 첫 설치
▶ 1984년 중국공산당 제12기 중앙위 3차 전체회의. 자본주의경제개혁안 채택
▶ 1983년 비숍 그레나다 수상 피살
▶ 1982년 중국, 국경무역사무소 개설 보도
▶ 1982년 환경청, 진해 부산 광양만 등 4개 해역에 `연안오염특별관리해역` 선포
▶ 1982년 에콰도르정부, 
에콰도르전역에 비상사태 선포. 헌법기능 정지
▶ 1980년 부산 지하철 1호선 기공🔻





▶ 1980년 북한, 김정일을 
김일성의 후계자로 공식발표
▶ 1979년 마산 창원에 위수령 선포
▶ 1973년 문화의날 선포
▶ 1968년 주간조선 창간
▶ 1964년 미국의 제31대 대통령(1929~33 재임) 후버 사망
▶ 1963년 거물 간첩 황태성 검거🔻



​▶ 1962년 중국-인도, 국경서 전면 충돌
▶ 1958년 태국, 무혈쿠데타 발생. 
사리트 원수 정권장악
▶ 1951년 동경서 제1차 한일회담 개최
▶ 1947년 브라질, 대소련 단교
▶ 1946년 영국, 버마의 독립허용을 설명
▶ 1944년 레이테섬 상륙작전
▶ 1943년 일제, 우리나라에 학병지원제 실시
▶ 1940년 독립운동가 이범윤 사망🔻



▶ 1935년 홍군(紅軍)의 대장정 1년 만에 끝나
▶ 1907년 베를린에서 제2회 독일노동자회의 열림
▶ 1904년 볼리비아와 칠레가 강화조약에 조인
▶ 1903년 미국-캐나다, 알래스카 국경확정
▶ 1891년 영국의 물리학자 채드윅 출생. 중성자 발견으로 1935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 1859년 미국 철학자 존 듀이 출생
▶ 1854년 프랑스의 상징파 시인 랭보 출생
▶ 1740년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카를6세 사망
▶ 1437년 경원성(慶源城, 둘레 1,755척)과 경흥성(慶興城, 2,186척) 완공
▶ 1361년 고려, 홍건적 10만군 
삭주(朔州)·이성(泥城)에 침입




초 인벤인

Lv93 달섭지롱

이게 지구냐!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