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이슈] 10월 23일, 목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아이콘 달섭지롱
댓글: 2 개
조회: 493
2025-10-23 09:47:26




❒ 10월 23일, 목요일 ❒

💢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식당 예약하고 안가면 위약금 20% 
→ 공정거래 위원회, '소비자분쟁해결기준' 개정안 행정예고. 
일반 음식점은 현재 10%에서 20%로 위약금 인상. 
오마카세, 파인다이닝처럼 주문제 식당의 위약금은 현재 10%에서 40%로 올려. 
결혼식장 29일~10일 전 취소는 40% 위약금.(서울)




2. 중국 '453㎞' 세계 최고속 열차 시험운행 성공
→ 현재 운행 중인 고속열차 중에서는 중국 '푸싱호 CR400'과 인도네시아 '후시'가 시속 350㎞로 가장 빠르고, 프랑스 '떼제베'(TGV)와 일본 '신칸센'이 시속 320㎞, 한국 'KTX 산천'이 시속 305km 수준으로 그 다음이다.(문화)





◇기존 고속열차 대비 103㎞/h 빨라…공기 저항 22%↓



4. 유류세 인하폭 축소, 다음달 휘발유 25원 인상
→ 2021년 11월부터 시행된 유류세 인하, 
인하 조치는 연장하지만 감면 폭은 다음달부터 축소. 
휘발유는 10%에서 7%로, 경유 및 LPG 부탄은 15%에서 10%로, 
휘발유는 29원, 경유는 25원 오를 전망.(문화)







◇유류세 인하 2개월 연장, 그러나 단계적 축소



5. 10월 4일 3만원 넘던 배추값(10kg), 갑자기 6천 원대 폭락 
→ 추석 수요에 연휴기간 수확연기로 3만원 대까지 올랐다가 연휴 후 수확늘고, 10월 중순 비 잦아지자 병충해 우려로 너도나도 홍수 출하... 
무ㆍ고추ㆍ 마늘ㆍ양파 등 이른바 '5대 채소' 모두 가격 하락.(문화)



6. '북극 항로'... 아직은 미래의 길 
→ 북극항로는 
① 러시아 연안을 지나는 '북동항로' 
②캐나다 북부 연안을 지나는 '북서항로' 
③북극 가운데 공해를 가로지르는 '북극횡단 항로' 등. 
세 노선. 

이 가운데 러시아 연안 북동항로만이 여름철에 상시 운항이 가능한 정도다. 
②, ③은 아직 얼음에 덮여 있어 수십년 내에는 어렵다는 것이 현실이다.(아시아경제)




7. 95세 비전향 장기수, '러 거쳐 북송 희망' 
→ 러시아는 남북 당국 승인 필요하다 입장. 
당사자는 인천 강화도 출신으로 6·25 전쟁 때 북한군에 입대한 뒤 1953년 4월 체포돼 이적죄로 42년간 복역한 후 1995년 광복절 특사로 출소. 
김대중 정부 비전향장기수 북송 (2000년)때 북송 기회가 있었으나 '미군이 나갈 때까지 투쟁하겠다'며 잔류했다.(중앙)



8. 美 이민세관단속국(ICE), 이번에 뉴욕 차이나타운 급습 
→ 불법 상인 단속을 명목으로 불법 이민자 체포. 
복면에 장갑차, 장총으로 무장한 단속원들, 최소 15명에서 최대 40명 체포. 
시민들은 '나치', '파시스트' 등 야유와 욕설로 분노... 
뉴욕은 뉴욕시장 선거 (11월 4일)에서 민주당 맘다니 후보가 1위를 달리고 있는 지역.(동아)



ICE는 21일(현지시간) 오후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차이나타운인 맨해튼 차이나타운의 캐널 스트리트를 급습해 노점상을 운영하는 이민자 수 명을 구금했다. 
사진은 ICE 요원에게 묶인 채 끌려가는 아시아계 남성



9. WSJ, 트럼프 3500억 투자요구는 '한국 GDP 6.5% 수준... 비현실적' 지적 
→ 3년간 3,500억 달 러(약 501조 원) 투자는 한국이 3년간 매년 GDP의 6.5%를 내야 하는 과중한 부담. 
5,500억 달러(약 788조 원) 투자를 약속한 일본도 매년 부담해야 할 금액이 3년간 매년 GDP의 4.4%인 1,830억 달러(약 262조 원)에 달한다고.(한국)



10. 잘나가던 금값 하루 6% 급락, 12년 만에 최대 
→ 국제 금 시세와 국내 금 시세의 차이인 '김치 프리미엄'(괴리율)도 18%에서 8% 급락... 
이는 국내 수요가 급격히 식었다는 신호로, 투기성 매수세가 빠지면서 가격이 조정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세계)







◇살아난 투자심리에 강한 매도세
◇美·中 무역 갈등 등 불안감 해소 기대
◇단기 투자자, 안전자산 차익실현 나서
◇국내 ‘김치 프리미엄’에 하락폭 더 커
◇국제 은 현물도 전장 대비 7.6% 하락
◇전문가 ‘일시적 가격조정’으로 판단
◇비트코인 가격도 10.8만弗대 떨어져
◇코스피 3883.6 마감… 또 사상 최고치

초 인벤인

Lv93 달섭지롱

이게 지구냐!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