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이슈] 내년부터 5월 1일은 '노동절'…62년만 명칭 '복원'

아이콘 슬기로움
댓글: 14 개
조회: 2055
추천: 3
2025-10-27 07:34:2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701772?sid1=001
https://www.bbc.com/korean/articles/cv27rx39dl3o
.
.
우리나라도 이제 다시 5월 1일이 노동절로 원상복구 되네요.
63년도에 근로자의 날로 바뀐것인데 다시 복구됩니다.

물론 바꾼다고하니 또 극우들은 북한 중국 따라하냐고 난리입니다.노동이라는 단어와 노동절이라는 명칭이 북한 중국에서 자주쓰이고 그들의 행사들이 미디어 노출 수십년동안 많다보니까 레드팀의 전용 단어라는 선입견들이 여전히 있어서인것 같습니다.
(애초에 북중러가 탄생될때 추구하던 공산.사회주의 혁명의 원천 계급이 노동계급이었으니까요.)

서구 선진국들이 노동절 기리는것도 특별하게 생각하는것도 미디어 노출 많이하고 교육을 했다면 이런 선입견도 없었을텐데 말이죠.이념을 내려놓고 생각해야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노동절의 시작도 미국 시카고의 노동자들로 시작되고 매년 국회의사당 앞에서 집회도 한다는것을 모르는것 같습니다.

유럽도(독일은 근로자의 날이라고 하는듯)노동절을 특별하게 생각하고 휴식을 줍니다.일본도 제국주의때부터 노동절을 기념하고 있습니다.

내년에 바뀐 노동절이 다가올때 다시 한번 뉴스에 많이 나올것 같으며 이제 2026년 달력 만들고 계시는 업체분들도 5월 1일을 노동절로 바꾸셔야 합니다.(연예인 소속사들 시즌 그리팅 달력들도)

물론 근로라는 단어가 조선왕조실록에도 나오고 헌법에서도 쓰이는 단어인데 바꿀이유가 있냐는 반박도 존재합니다만
근로자의 날로 시작한 대한민국이 아니라 노동절을 박정희 정권이 근로자의 날로 바꿨던것이라 다시 원상회복입니다.

근로가 나쁜단어는 아니지만 좁은 의미가 있어서 전세계적으로 쓰이는 노동절이 맞지 않겠냐는 말들이 나오는것이죠.
국제 노동기구도 국제 근로기구가 아닌것처럼요.

또한 공휴일 추진은 행안위에 계류되있다는데 만약 공식 휴일이 된다면 어린이날 석가탄신일까지 가는 상황될때 골든위크로 만들어질수는 있겠네요.

초 인벤인

Lv91 슬기로움

레드벨벳,브브걸,러블리즈,오마이걸,트와이스 좋아~♥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