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이슈] "어쩌나" 뺑뺑이 여전…"방지법 무용지물" 의사들 부글

불타는궁딩이
댓글: 1 개
조회: 777
2025-11-10 14:21:01






〈앵커〉
생사를 다투는 순간에도 환자를 받아줄 곳이 없어 병원들을 전전해야 하는 '응급실 뺑뺑이' 문제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정치권이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정작 응급의학 의사들이 반발하고 있습니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장훈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오토바이를 타다 넘어져 다친 50대 남성을 구하러 119구급대가 출동했습니다.
[구급대원 (지난 3월) : 미끄러진 것도 기억 안 나요? 왜 넘어졌는지?]
문제는 환자를 받아줄 응급실이 없다는 것.
[구급대원 : 안면부 쪽에 코랑 입 쪽이랑 광대뼈 쪽이랑 출혈이 있으시고요. OO병원에도 연락해봤는데 수술이 안 된다 해 가지고 저희가 병원 일단 알아보려고….]
결국, 20분간 여러 병원에 전화를 돌리고 나서야 병원에 갈 수 있었습니다.
인근 병원 명단과 이송 불가를 뜻하는 'X' 표시.
[구급대원 (지난 1월) : A 병원은 친보호자 없으면 안 된대. (B 병원은 팔로업(다니던 환자) 아니면 안 받아준대요.) 진짜 할 데가 없어, 그럼 이 사람을 어떻게 해야 되냐, 우리가.]
정부와 국회가 응급실 뺑뺑이 방지법이라며 응급의료법을 개정했는데, 응급과 의사들이 무용지물이라며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이강의/대한응급의학의사회 대외이사 : (내년 5월부터) 응급 의료 기관과 119의 실시간 환자 수용 가능 여부 확인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하였으나 현실적으로는 이미 핫라인이 있고.]
특히, 구급대원이 전화로 응급실 수용 능력을 확인하게 한 규정을 없애고 병원이 환자 수용 불가 상황을 중앙응급의료상황센터에 의무적으로 고지하도록 하는 추가 법 개정안을 놓고 논쟁이 뜨겁습니다.
[김성현/공무원노조 서울소방지부 구급국장 (지난달 국정감사) : 전화로 일일이 확인하는 이러한 구조는 정말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하고요. 사전고지 제도나 그런 부분 쪽으로 전환이 됐으면….]
[이형민/대한응급의학의사회 회장 : 환자의 수용이라고 하는 것은 전문적 판단이 필요한 의료행위임에도 행정 편의를 위해서 무조건 강제하려 하고 있다.]
경증 환자의 응급실 이용 완화 정책, 응급실 인력과 시설 확충 등 근본적 대책이 병행되지 않고는 응급실을 찾아 헤매는 문제가 해소되지 않을 걸로 보입니다.



박주민씨 나와주세요
박주민씨~ 어디있나요?

Lv73 불타는궁딩이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