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이슈] 11월 18일, 화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아이콘 달섭지롱
댓글: 3 개
조회: 545
추천: 1
2025-11-18 10:08:53

❒ 11월 18일, 화요일 ❒

💢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올가을 들어 가장 추운 날 
→ 아침 기온 전날보다 5~10도가량 하락. 
서울 영화 3도... 
일부 강원도와 충북, 경상권에 한파특보



2. '제헌절'도 놀자 
→ 제헌절(7.17)을 다시 공휴일로 지정하는 '공휴일에 관한 법률' 개정안 국회 행안위 법안심사소위원회 통과... 
행안위 전체회의를 거쳐 본회의를 통과하면 18년만에 공휴일로 부활. 
현재 우리나라 5개 국경일(3·1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제헌절) 가운데 공휴일이 아닌 날은 제헌절뿐이다.(세계)







3. 성분명 처방 공방 
→ 의사가 처방전에 약의 상품명 (예 '타이레놀')로 적느냐 성분명(예 '아세트아미노펜')으로 적느냐는 2000년 의약분업 이후 25년째 공방. 
어느 쪽이든 제약사 로비가 의사냐 약사냐의 차이일 뿐이라는 말이 나온다. 
진정 '국민 건강'을 위한다면 누구의 말이 옳은지 약의 품질ㆍ가격 정보부터 투명하게 공개해야 할 일이다.(한국)



4. 코스피 조정기 돌입? 
→ 석 달만에 마이너스 수익률. 
▷ 코스피 상승을 견인했던 외국인은 이달에만 9조원 넘게 팔자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 후퇴 
▷ 인공 지능(AI) 거품 논란으로 반도체 차익 실현 매물 홍수... 
당분간 변동성 확대 불가피.(아시아경제)



◇코스피 이달 2.3% 하락
◇석달만에 마이너스 전환
◇이달에만 9조 넘게 판 외국인
◇당분간 변동성 확대 불가피



5. 독해지는 맥주 
→ 국내 맥주 시장이 위축(-7%)된 가운데 '고(高)도수' 맥주는 뚜렷한 성장세... 
전년비 13.5% 성장. 
한 잔으로 충분한 만족감을 주는 높은 도수의 맥주가 가성비 주류로 자리잡아가는 추세.(아시아경제)





◇7% 이상 고도수 맥주, 1년 새 매출 14%↑
◇20대 여성 수요도 크게 늘어 가성비 강한 한 잔 확산


6. 뷰티·의료 이어 'K-안경' 돌풍 
→ 인기를 끄는 핵심 요인은 속도와 가격이다. 
자국에서는 수일이 걸리는 제작이 한국에서는 검안부터 수령까지 30분~1시간이면 가능하고, 가격 역시 본국보다 저렴해 고품질 제품을 합리적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점이 매력.(아시아경제)


뷰티·의료 이어 'K-안경' 돌풍 
→ 인기를 끄는 핵심 요인은 속도와 가격이다. 
자국에서는 수일이 걸리는 제작이 한국에서는 검안부터 수령까지 30분~1시간이면 가능하고, 가격 역시 본국보다 저렴해 고품질 제품을 합리적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점이 매력.(아시아경제)



에스파 멤버 카리나. 기사 내용과 직접적 연관 없음. 카리나 SNS

◇안경 상품 거래액 1608% 급증
◇가격·디자인·속도가 인기 요인
◇당일 수령· 저렴한 가격·다양한 디자인에 인기


7. 일본 쌀값 사상 최고... 한국 쌀농업엔 기회? 한국도 쌀값 위기 신호탄? 
→ 최근 일본 쌀값은 5K에 4316엔(4만 600원)으로 20kg 한포대 기준 16만 원선으로 한국의 3배 수준. 
일본은 인구가 줄어도 쌀 수요가 줄지 않는 반면, 생산은 계속 억제, 수급불균형 초래.(세계)





◇일본 쌀값 역대 최고치! 급등
◇폭염·가뭄, 생산 억제 정책이 만든 공급 불안 원인





◇日쌀값 폭등에 한국쌀 ‘역수출’…올 상반기 대일 수출량 사상 최대


8. 주한미군 감축? 
→ 이번 한-미 팩트 시트엔 그동안 한미 안보 협의회에서 관례적으로 명시되었던 '주한미군이 현재 전력 수준을 유지한다'라는 표현 대신 '주한 미군이 전력화 태세를 유지한다'로 대체돼. 
이는 주한 미군의 감축하거나 재배치를 합의해 준 것이라는 분석(문화)


9. 일본 언론이 보도한 한국의 '위장 미혼' 
→ 일본 '닛케이'신문, 혼인신고를 미루는 신혼부부 크게 늘어. 
한국에선 결혼하면 주택·대출 등 각종 제도에서 오히려 불리해져. 
실제 2024년 법적으로 혼인하지 않은 남녀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는 약 1만 4000명으로 전체 출생아의 5.8%를 차지, 
이 비율이 5%를 넘은 것은 작년이 처음(동아)













10. 이 말이 본래는 한자말? → 
▷ '선반(물건을 올려 두는 선반은 한자말 '현반'懸盤에서 왔다) 
▷ 사냥은 산행(山行)'에서 썰매는 '설마(雪馬)'에서 
▷ 배추 는 '백채(白菜)'에서 
▷ 호두는 '호도(胡桃)'에서 왔다. (한경, 열려라! 우리말)


초 인벤인

Lv93 달섭지롱

이게 지구냐!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