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과 답변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전차] 고폭 타격부위 관련 궁금한 사항을 여쭤봅니다.

쓰레기리니지
댓글: 5 개
조회: 1449
2021-05-06 00:07:18
먼저 다른분 게시글의 고폭관련 답을 정성스럽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름아니라 좀 더 디테일하게 여쭙고 싶습니다.

아래의 두 탱크처럼 궤도 전면에 커버? 암튼 가리개가 있는 탱크와 없는 탱크가 있습니다.
이런 차이가 타격부위의 변화를 줄까요?

두 탱크 모두 엄폐물이 왼쪽에 있으면 역티, 오른쪽이면 티타임 상태에서 
관찰자가 고폭으로 상대를 타격할 때 티타임과 역티일때 어느 부분의 타격이 효율적인지 디테일하게 여쭙고 싶습니다.
사실 궤도와 차체의 접합부위라는 곳의 위치가 정확히 어디인지 궁금하기도 했습니다.

*티타임,역티타임 각도는 감안해 주십시요


Lv23 쓰레기리니지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5)

새로고침
  • 쓰베군21-05-06 02:33
    신고|공감 확인
    으악!! 일단 게시물에 닉언급 금지요. 게시물 제목 수정해주세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쓰레기리니지21-05-06 12:25
    신고|공감 확인
    답글
    비공감0공감0
  • 쓰베군21-05-06 03:41
    신고|공감 확인
    [1] 고폭탄에 대한 정리부터.

    1. 차체 장갑 이외에 공간장갑이 단 1mm라도 있다면 착탄하는 고폭탄이 해쉬든 뭐든 간에 무조건 비관통으로 만듬. 참고로 궤도는 공간장갑 판정.

    2. 이렇게 비관통된 고폭탄은 바로 폭발하며, 기본적으로 철갑탄류보다도 피해가 훨씬 적게 들어감. 비관통 피해는 복잡한 피해량 산출 방식을 가지고 있는데, 착탄지점에서의 폭발범위 내에서 가장 얇은 차체 장갑을 기준으로 데미지를 산출함. 

    3. 따라서 (1) 궤도나 공간장갑, 실제장갑에 맞아서 바로 폭발, (2) 고폭탄의 폭파범위 계산, (3) 그 범위 중 가장 얇은 장갑을 기준으로 다시금 여러 공식(...)을 적용하여 데미지 계산. 

    이렇게 복잡하기 때문에, 쏘는 고폭탄의 기본 데미지와 폭파범위, 맞는 탱크의 피탄 지점과 피탄 지점 근처의 장갑두깨에 따라 데미지 산출이 모조리 달라짐.



    [2] 자유게시판 글 댓글란에 쓴 내용에 대한 오해가 있을 수 있어서 정정.
    http://www.inven.co.kr/board/wot/3200/1116777

    여기서 말하는 티타임시 궤도 접합부에 사격하라는 것은 궤도와 궤도 바로 옆 차체를 놓고 봤을때 궤도에 살짝 치우친 곳을 쏘라는 것이며, 셔먼이나 4호전차, 병2와 같은 저티어 탱크를 탈때 쓰는 활용법을 말한것임. 

    이는 대략적으로 7티어 이하를 뜻함. 

    왜냐하면 티타임을 쓰는 적의 궤도 접합부에 고폭탄을 사격했을때, 스포로킷을 끊는것과는 별개로 차체에도 데미지가 들어가는 경우는 보통 아래의 경우를 뜻하는데.

    1. 차체 측면의 약한 장갑을 통한 데미지 공식 연산.
    2. 차체 측면과 'ㄱ' 자로 맞닿은 차체 상부의 약한 장갑을 통한 데미지 공식 연산.
    (독일식 'T' 자 차체 형태가 유명함. 티거나 판터의 차체를 보면 금방 보임.)  

    문제는 대략 8티어권 부터는 차체의 측면장갑 자체가 두꺼워지거나, 쐐기형 장갑 혹은 타원형[굴곡형] 장갑이 자주 나타나거나, 사이드스커트와 같은 궤도 전방위를 감싸는 공간장갑이 등장하면서, 전방에 노출된 궤도와 차체사이의 물리적인 공간 자체가 이전티어들에 비해 꽤나 벌어지게됨. 

    이말은 즉슨, 고폭탄의 폭파범위가 2.5m 도 안되는 구경의 주포들은 상위티어의 탱크, 특히 중전차들을 상대로는 궤도 접합부에 사격해도 스프로킷만 끊기지, 데미지는 아예 안들어갈 수도 있다는 말이됨. 



    [3] 본문 글에 대한 답변 -1 티타임-

    따라서 본문에서 질문한 디펜더와 is-5 와 같은 전차가 티타임시 궤도 접합부를 어디를 쏴야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1. 기본적으로는 '궤도 접합부를 쏴서는 안된다.' 가 됨.

    2. 대구경 주포로 쏘는 고폭탄이라서 폭파범위가 넓다면(3m 언저리) 쏴도 될 수도 있지만 이미 차체 측면장갑 자체가 충분히 두꺼워져서(디펜더 100mm, is-5 80mm) 이전 티어들을 상대할때 보다는 크게 효용을 못봄.

    3. 따라서 궤도만 끊는게 목적이 아니라, 고폭탄으로 데미지까지 제대로 입히는게 목적이라면, 디펜더나 is-5가 포탑을 드러낼때 포탑과 차체의 접합부에 사격하는것이 기대 딜량값이 더 높음. 



    [4] 본문 글에 대한 답변 -2 역티타임-

    역티타임시에는 [1]번에서 설명한 고폭탄이 터지고 데미지를 입히는 원리를 보면 이해가 금방 될거임. 고폭탄은 공간장갑(궤도포함)에 스치기만 해도 바로 폭파됨을 잊지말것.

    만약 역티타임을 하는 적 탱크 궤도에 고폭탄을 쏘게된다면,
    1. 고폭탄의 폭파범위가 짧다면 아예 데미지 자체가 들어가지 않을것이고.

    2. 고폭탄의 폭파범위가 충분하다고 해도 고티어에서는 측면장갑이 두꺼워져서 포탑과 차체의 접합부에 사격하는것에 비해서 기대딜량값이 낮아짐. 

    3. 또, 적이 역티타임을 사용할시 적의 포탑과 차체 접합부가 쉽게 포착되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고폭탄을 조준하고 사격할 수 있음.



    [5] 그렇다면 모든 고티어 탱크가 티타임시 고폭탄에 강한가?

     그런데 그렇다면 모든 고티어 탱크가 전부 티타임시 궤도접합부에 맞아도 고폭탄에 면역에 가까운가 하면 꼭 그렇지도 않음. 

    1. 고티어 중전차나 장갑형 구축들은 측면이 두꺼워졌지만, 중형전차급 이하들은 여전히 측면 장갑이 약한 경우가 많고.

    2. 위에서 언급하고 지나간 독일식 'T' 자형 차체를 사용하는 전차들은 중전차건 중형이건 간에, 측면의 'ㄱ' 자 부분 상단이 매우 약해서 고티어에서도 적당한 구경의 고폭탄으로도 유효한 경우가 있음.

    ///////////////////////
    자러갑니다. 닉 언급은 조심해주세용.
    답글
    비공감0공감 1
  • 쓰베군21-05-06 04:01
    신고|공감 확인
    정리하자면,

    똥포(105mm) 셔먼이나 4호전차, 점보셔먼, 병2 같은 저티어에서는 티타임을 주고 접근하거나 대기하는 적군의 궤도접합부만 살짝 보고 쏜후 냅다 튀어도 ,

    상대의 차체 측면 장갑이 궤도와 밀접한데다가, 궤도가 별로 두껍지도 않고, 차체 측면 두깨 자체가 얇아서 딜은 딜대로 주고 본인은 안맞는 플레이가 가능해집니다.(궤도까지 끊어져서 수리하고 쫒아오느라 더더욱 그럼)

    그러나 고티어로 가면갈수록 워낙 장갑두깨와 차체와 궤도 이격, 궤도 두깨 인플레가 일어나면서 이런 플레이가 어림도 없어지는거죵. 

    따라서 이건 기본적으로 저티어용 팁이면서 동시에, 고티어에서도 약한 차체측면이나 T자형과 같은 약점이 있는 차체를 계속 쓰는 적 전차 고폭탄 상대법에 대한 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당.
    (수식어가 더럽게 기네;;;)
    답글
    비공감0공감0
  • 쓰레기리니지21-05-06 13:40
    신고|공감 확인
    티어별, 형태별 상세한 답변 너무 고맙습니다.
    몇 번 정독하였습니다!!
    닉 언급은 제가 잘 몰랐네요. 조심하도록 하겠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월탱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