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 정보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일반] 와우헤드 분노, 전율, 폭군 주간 던전 난이도 분석

아이콘 황천의비룡
댓글: 30 개
조회: 30339
추천: 6
2021-02-24 19:48:50
출처는 여기:https://ko.wowhead.com/news=321122/best-and-worst-mythic-dungeons-to-complete-on-raging-quaking-tyrannical-weeks
-----------

분노와 전율 자체는 폭군 주간엔 그리 나쁜 어픽스는 아닙니다. 분노 어픽스가 걷잡을 수 없는 수준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탱커와 CC기를 가진 직업의 책임이 막중합니다. 평정 기술이 거의 필수적으로 요구될 수도 있습니다. 이번 어픽스의 장점은 폭군 빼고는 어픽스로 인해 시간이 낭비되는 요소가 거의 없다는 점입니다. 15단 정도를 돈다면 이번 주에는 적절한 딜을 내는 딜러가 보스와 쫄을 꽤 빨리 녹일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구미가 당기는 주가 될 것입니다.

전율은 서로 산개해만 있다면 대처하기 굉장히 쉬운 어픽스입니다. 서로 겹치는 것만 조심하면 됩니다. 산개하는 게 어려운 경우가 있긴 하지만 몇몇 상황만 조심하면 됩니다. 교만에서 힐을 하기가 어렵겠지만 최근 어픽스에 비하면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던전 티어 리스트 (A일수록 쉬움)
A-티르너 사이드의 안개, 속죄의 전당
B-죽음의 상흔
C-저편, 역병 몰락지, 승천의 첨탑
D-고통의 투기장, 핏빛 심연

속죄의 전당
티르너 사이드의 안개와 함께 가장 쉬운 쐐기돌 던전입니다. 분노와 전율 주간에는 탱커와 힐러가 주로 고생하게 됩니다. 분노 어픽스가 적용되면 꽤 위협적인 몹들이 많기 때문에 몹들 피가 30%이하로 줄면 적절한 차단 및 카이팅이 필수적입니다. 던전이 오픈된 공간이 많기 때문에 전율은 그리 위협적이지 않습니다.

위험요소들
속죄의 전당에서 위험요소는 주로 잡몹들입니다. 폭군 주간에 보스는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체력이 많아질지언정 그렇게 급격하게 어려워지지는 않습니다. 분노 주간에 특히 위험한 쫄들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타락한 절멸자: 대상에게 매우 아픈 사악한 화살을 시전합니다. 피가 30% 이하면 차단이나 메즈를 해야 합니다. 특히 탱커들이 마뎀에는 대체로 약한 경우가 많으니까요.

흉포한 가르곤: 그렇지 않아도 출혈 도트로 탱커를 끔살시킵니다. 분노가 걸리면 탱커가 순식간에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카이팅을 전적으로 추천합니다.

할키아스의 조각: 난타 능력 때문에 반드시 격노 해제 수단이 필요합니다. 40m 이상일 경우 난타 피해를 받지 않지만 그래도 탱커 때문에 격노 해제 수단이 필요할 것입니다.

티르너 사이드의 안개
시간이 넉넉해세 확실히 쉬운 던전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폭군 주에는 경화주와는 달리 교만으로 보스를 빨리 녹일 수 없기 때문에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그것 이외에는 분노 어픽스가 유일하게 주의해야 할 요소입니다.

위험요소
그다지 어려운 곳이 없습니다. 분노 어픽스 때문에 몹이 위협적인 경우가 있긴 합니다. 드러스트 영혼절단자는 영혼 분열 버프가 걸리면 위협적입니다.  버프가 걸리면 탱커가 필히 카이팅을 해야 합니다. 또한 미로에서 미니 보스를 상대할 때는 격노 해제 수단이 있으면 좋습니다. 그것 이외에는 가시아귀 약탈자가 격노할 시 매우 위험해 다른 몹들과 같이 풀링할 경우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조드가 있으면 좋습니다. 1넴을 빨리 잡게 해줄태니까요.

1넴 상대할 시 팁:
페이즈를 여러번 봐야 한다면 발화 같은 짧은 쿨기를 울파란한테 터세요.
교만 버프가 40초 남았을때 블러드를 올리세요.
보스 체력이 15% 이상이면 울파란을 딜하세요.

죽음의 상흔
오브젝트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만 안다면 시간이 매우 넉넉합니다. 안전하게만 간다면 문제가 없을 겁니다. 창 3개를 2넴, 3넴, 4넴에 쓰는 게 좋다고 봅니다. 이제는 4넴까지도 오브젝트를 킵할 수 있으니까요. 특히 폭군 주간에는 보스에게 많은 피해를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칫하다간 날토르에서 전투시간이 3분 이상 넘어갈 수 있습니다.

차단이 필요한 곳에서 빅풀을 할 경우 방출된 령이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나르주다나 조르라무스 강령술사, 네크로폴리스에 있는 시체 수집꾼 혹은 보스들 말이죠. 핏빛 투창은 주로 보스전에 매우 좋습니다. 잊힌 벼림망치는 보스나 쿨기가 없을때 교만을 상대하기 좋습니다.

3넴 구역에서는 탱커에게 들어오는 피해가 엄청나므로 분노가 특히 위험합니다. 1넴에서 전율은 좀 귀찮겠지만 그리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3넴에서 4넴 구역으로 이동할 때 전율이 터질수도 있으므로 주의하시면 됩니다.

위험요소
이번주 죽상의 위험요소는 보스들입니다. 2,3,4넴을 상대할때 오브젝트가 있는지 확인하세요. 1넴에서는 령 소진 버프만 있어도 전투가 쉬워집니다. 2넴에서는 나오는 쫄들을 메즈한다면 마지막 수확 기술로 피해를 입지 않습니다. 고단을 도는 팀들이 캐스터 몹을 마비나 언데드 속박 같은 기술로 메즈해서 딜낭비를 막습니다. 흥미롭게도 4넴에서는 어둠의 추방에서 돌아온 이후 30초 동안 치명타율이 100%가 되는데 이는 죽상 오브젝트에도 적용이 됩니다. 그렇기에 오브젝트를 이 버프와 같이 쓰는 건 매우 좋을 것입니다.

일급 암살자의 징표를 가진 도적이 파티에 있으면 오브젝트를 몰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치명타 증가가 오브젝트에도 적용이 되기 때문에 엄청난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죠.

승천의 첨탑
달래기 같은 격노 해제 기술을 가진 직업이 있는 게 매우 권장됩니다.

승천의 첨탑은 천천히 진행해도 시간이 매우 넉넉합니다. 폭군 주간에는 완전히 넉넉한 수준은 아니더라도 그리 촉박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글로벌에서는 분노 전율 주간에 매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서로 손발이 맞는다면 그리 어렵지는 않을 겁니다. 차단 해야 하는 기술이 많고 분노 어픽스가 적용될때 차단 순서를 지키지 않는다면 몇몇 기술은 플레이어를 일격사시킬 것입니다.

위험요소
승천에서 가장 위험한 요소는 보스 킬시간, 잡몹 차단 순서, 막넴 앞 세 쫄이라고 생각합니다. 폭군 주간엔 벤투낙스가 더 어려워집니다. 전투가 길어질수록 피해야 할 투사체가 많아지기 때문이죠. 제 생각엔 이 보스와 보스 메커닉이 가장 어렵다고 봅니다. 2넴 전투 전에 교만 버프를 받는 것은 큰 도움이 됩니다. 잡몹들 중 주의해야 할 몹들은 이탈자 징벌자, 이탈자 거수, 이탈자 은신발톱입니다. 징벌자가 스는 지식의 무게는 가능한 한 차단을 해야 하고 분노가 걸렸다면 시전 시 누군가 죽을 것입니다. 거수가 쓰는 반항의 주먹은 분노와 결합될 경우 경화가 아니더라도 파티를 전멸시킬 수 있습니다. 은신발톱은 탱커를 녹여버리기 때문에 카이팅이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데보스 앞 세 중간보스는 격노 해제 수단이 필수적일 것입니다. 몹 특성상 격노했을 시 해제를 해야만 합니다.

역병 몰락지
시간이 넉넉하고 역병빈대와 불안정한 보관통 때문에 풀링을 천천히 하거나 몇 번 죽어도 그다지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폭군, 전율, 분노 어픽스 모두 각각의 방식으로 역병을 어렵게 만든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이번 주에는 난이도를 올린 것입니다.

위험요소
역병의 위험요소는 3,4넴과 후반부에 있는 몹들입니다. 특히 위험한 잡몹 무리는 혈족 매복꾼, 맹독 저격수, 수많은 눈의 수호병입니다. 매복꾼은 탱커를 아프게 때리고 매복 스킬로 광역 피해를 입힙니다. 분노가 걸렸을 시 매우 위험할 수 있죠. 저격수도 분노했을 시 평타가 매우 아파집니다. 또한 썩어가는 끈적손톱도 부식된 발톱 기술로 탱커에게 중첩되는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매우 위험합니다. 

폭군 주간에 3넴과 4넴은 대체로 매우 어렵습니다. 전율이 겹치면 촉수를 피하거나 도미나에게 뭉치는 게 매우 어려워질 수도 있습니다.

또한 1넴 앞에서 쏟아져 나오는 점액 풀링을 할때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슬라임들이 동시에 분노할 경우 탱커를 녹일수 있다는 것입니다.

저편
시간이 늘어났지만 여전히 폭군 주간엔 매우 빡빡한 던전입니다. 모든 넴드를 죽이는데 걸리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됩니다. 게다가 독창적인 풀링을 할 수 있는 구간이 몽환숲 구간 밖에 없기 때문에 딜이 부족하면 매우 어려운 던전이 될 것입니다. 다행스럽게도 분노와 전율 둘 다 던전을 무지막지할 정도로 어렵게 만들진 않습니다. 고통의 투기장처럼 높은 딜을 요구하는 곳이며 딜이 높다면 꽤 쉬워질 것입니다.

위험요소
아직도 시간이랑 학카르가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학카르가 돌을 깨는 1등 공신이라 할 수 있습니다. 괜히 모든 파티가 학카르 전에 교만을 받는 게 아니죠. 1넴에서 전멸하면 돌이 깨진 겁니다. 단수를 낮춰서 재도전해야겠죠. 그것 말고는 시클을 하려면 몽환숲 구간에서 빅풀을 많이 해야 합니다. 분노 때문에 매우 위험하긴 할 겁니다. 차단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윤활유 도포기도 꽤 위협적입니다. 전율 관련해서는 무에젤라에서 단상으로 복귀할때 전율이 터저셔 죽을 수 있지만 이에 대처할 방법은 사실상 없습니다. 만약 실제로 그런 일이 일어난다면 조의를 표합니다.

고통의 투기장
달래기 같은 격노 해제 기술을 가진 직업이 있는 게 매우 권장됩니다.

폭군 주간에는 투기장이 특히 어려운 던전 중 하나입니다. 시간이 빡빡하기도 하고 넴드가 5마리인데다가 전부 킬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죠. 전율은 대체로 위협적이진 않지만 쿨타로크와 선혈토막에서 모이거나 강제로 모여지는 상황이 있어 꽤 위험할 수 있습니다. 분노 때문에 중간보스를 상대할 때 격노 해제 수단이 필요합니다. 격노가 해제되지 않는다면 탱커가 삭제될 겁니다.

위험요소
이번 주에 가장 큰 장애물은 보스와 교만 타이밍입니다. 적절한 전략과 루트로 최대한 교만을 보스 앞에서 소환할 수 있게 하세요. 폭군 주간에 투기장을 시클하기 위해 요구되는 딜량은 장난이 아닙니다. 처음에 설명한 내용 말고 딱히 추가할 내용은 없는 것 같습니다. 중간보스를 상대할 때 꼭 해제를 하세요.

자브 구간에서 팁이라면 마지막으로 상대하는 중간보스중에서는 강림자 네버모어가 완고한 렉보다 훨씬 더 어렵습니다. 다행스럽게도 렉을 상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를 위해선 네버모어가 보호막을 내렸을 때 가까이 접근하세요. 이러면 렉이 전투를 이길 것입니다. 또한 돌진이 시전중에 가까이 접근한다면 피에 굶주린 하루기아를 상대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핏빛 심연
경화든 폭군이든 넴드가 가장 큰 장애물입니다. 통로가 좁기 때문에 전율이 특히 짜증납니다. 타이밍이 안좋으면 카알을 상대할때 보호막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전율이 걸릴수도 있죠. 거기다 전율 때문에 힐러가 차단당한다면 매우 안 좋게 흘러갈 것입니다. 분노는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매우 어렵거나 해제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지는 않습니다.

위험요소
핏빛 심연의 가장 큰 문제는 넴드들입니다. 1넴, 2넴, 4넴은 각각 어둠땅에서 가장 어려운 보스들 중 하나인데 던전 하나에 이들이 몰려 있습니다. 크릭시스에서는 절단의 강타로 생기는 구슬을 천천히 먹지 않는다면 위험에 처할 겁니다. 넴드에서 엄청 멀리 떨어져있으면 절단의 강타 시 구슬이 생기지 않지만 힐러나 탱커가 이를 필요로 할 때만 멀어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타르볼드에서는 무조건 쫄을 먼저 잡아야 합니다. 혹독과 쫄 광역 피해가 같이 들어오면 매우 위험하므로 개인 생존기를 이 때 써야 합니다.

팁: 사냥꾼일 경우 2넴에서 혹독이 걸릴 때마다 죽은 척하기로 스킬을 무시할 수 있습니다. 카알을 상대할 때는 마나를 유지하고 출혈 디버프를 최소한으로 유지해야 하며 전율에 죽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넴드와 쫄을 같이 상대하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이번 주 어픽스에서는 탱커가 튼튼하다면 그나마 좀 수월할 것입니다.

Lv78 황천의비룡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 검색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와우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