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탱야드루] 지극히 개인적인 4.3 야드탱 세팅관련글

아이콘 야드야드
댓글: 15 개
조회: 13232
추천: 16
2011-12-28 02:27:49

안녕하세요. 노르간논 AFK팀의 냄새나는 짐승유저인 Forestlord 입니다.

 

4.3 레이드를 마무리하고 와우에서 물러나 현실생활로 복귀할까 싶어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으로 이글을 작성합니다.

 

정밀한 수치의 데이터가 아닌 개인적인 생각으로 작성하는 세팅글이니 지나가는 눈으로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1. 민첩세팅 vs 체력세팅

 

 4.3 패치와 더불어 백만곰에게 희소식이 들려왔습니다. 곰변신시 체력수치의 증가죠.

 때문에 종종 드루게시판을 들여다 볼때면 대부분의 유저분들이 체력세팅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제 경우는 오히려 반대였습니다. 체력을 극대화 시키는 방법이 아닌, 이전과 같은 체력수치로도 더 좋은 효과를 낼 수 있기에

 

 민첩쪽에 투자할 수 있는 여유가 생겼다는 말입니다. 저에게 있어 민첩과 체력의 수치는 동등하다고 보여집니다.

 

 민첩세팅은 레이드 초기의 아이템수급의 문제와 10인 레이드에서 유효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첫째로 레이드 초기 트라이기간에는 원하는 만큼 아이템을 획득하지 못하기에 세팅의 한계점이 보이기 마련이고,

 

 특히나 저와 같이 야드탱커/야드딜러를 스왑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번 티어 2셋과 같은 효율이 더 좋은 세트효과를 누리기 

 

 위해서는 민첩세팅은 무조건이라고 봅니다. 물론, 네임드마다 특성변경시 에픽보석의 세팅비용의 여유가 있다면 상관없습니다.

 

 두번쨰로 10인 레이드에서 민첩세팅은 괜찮다고 봅니다.

 

 트라이하는데 필요한 적정 아이템레벨을 갖춘 캐릭터라면 10인 레이드에서는 절대 한방 즉사로 이어지는 데미지가 없습니다.

 

 생존기가 무조건적으로 필요한 공격에 대하여서는 당연히 적절한 생존기술이 들어간 데미지를 말하는 것입니다.

 

 또한 인원제한있는 10인에서 야드탱커는 하이브리드답게 오프탱시 캣으로 전환하여 절반의 딜러로써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메인 탱커로서의 탱 리딩이 아닌 조력자로써의 역할이 더 중요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민첩과 체력중 택1을 하라는 것이 아닌 적절한 조율이 필요하나 몇가지 이유에서 저는 민첩쪽에 손을 들어주고 싶습니다.

 

 개인적인 취향에 의한 선택이니 다른 유저분들도 나름대로의 노하우로 세팅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2. 적중, 숙련

 

 저는 대격변 들어와서 만적중, 만숙련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보통 적중 5%, 숙련 20~26 사이로 맞추고 탱을 하였지만,

 

 한방한방이 아쉬운 트라이 기간에는 되도록이면 만적중, 만숙련을 맞추는 것을 추천합니다.

 

 적중과 숙련으로 인한 야생의방어 발동률의 증가와 효율에 대해선 다른분들의 좋은글을 참조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3. 특화 vs 회피

 

 다른 야드탱을 하시는 분들도 얼마만큼 흡수하는지도 잘 모르는 야생의방어를 위한 특화를 투자할 것인가,

 

 수치가 높아짐에따라 고개를 까닥까닥 거리며 피하는 모습을 보이는 회피를 선택할 것인가 한번쯤 고민하셨을 겁니다.

 

 이전의 컨텐츠라면 당연히 회피를 우선시하고 특화를 2차순위로 하는쪽에 손을 들어줬겠지만,

 

 이번 4.3 레이드에서는 상황이 역전했다고 봅니다. 티어 2세트 효과와 아이템 업글에 따른 민첩수치의 향상 때문입니다.

 

 2세트 효과에 대해선 다들 알고 계실테니 말할 필요가 없을 거 같습니다.

 

 파쇄효과에 따른 치명타 수치가 높은 야드에게 있어서 야생의 방어 발동률은 높을 수밖에 없으니깐요.

 

 그리고 아이템을 하나하나 획득하게 됨에 따라 높아진 민첩 수치덕분에 자동적으로 회피가 올라가게 되므로 신경을 쓰지

 

 않으셔도 될만큼의 적정 회피수치가 나올겁니다. 저같은 경우에 회피는 40% 선이 적절한 수치라고 봅니다.

 

 또하나의 특화도에 투자한 야드의 이점이라면 역시나 캣폼 전환시 절반의 딜러로써의 지원입니다.

 

 곰과 표범의 공통적인 2차스텟을 말하자면 치명타와 특화도 입니다. 가속은 야드탱에게 매력적이지 못한 2차 스텟이죠.

 

 4.3 후반레이드를 하게되시면 왜 이말을 하시는지 아시게 될겁니다.

 

 데스윙의 등과 광기 하드모드에서는 0.5인분의 딜량이 모자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트라이 기간에는 말이죠.

 

 때문에 표범전환으로 인한 출혈피해 증가와 야생의방어 피해흡수량을 늘려주는 특화도는 매력적인 2차스텟입니다.

 

 

 

 

 4. 특성과 문양

 

 야드탱의 특성은 정형화되어 있기에 보통의 레이드 공략상에서는 이전의 특성을 그대로 사용하셔도 됩니다.

 

 (야생의 포식자, 쇄도, 야수의 습격 특성은 레이드 야드탱에겐 필요없는 특성입니다. 찍지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저의 경우에는 데스윙의 등에서는 '감염된상처' 2포를 빼고 '회복의본능' 2포로(치유량 증가로인한 평온 지원),

 

 데스윙의 광기에서는 캣폼 전환시 티어2세트 효과를 위하여 '감염된상처' 2포를 빼서 '먹이포착'에 투자를 하였습니다.

 

 고정타겟에 감염된 상처의 효과는 없다고 보면되고 타탱커와 겹치는 부분이 있기에 '감염된상처'특성을 뺄 수 있습니다.

 

 등짝의 경우에는 2-2-2 택틱에 따라 첫번째 갑옷이 열릴때마다 광폭화를 사용할 수 있고 제한적인 시간안에 딜을 구겨넣어야

 

 하므로 '먹이포착' 특성마저 필요가 없습니다.

 

 광기에서의 경우 다리/날개 촉수에 표범변신 딜지원을 하게 되므로 '먹이포착' 특성이 효율이 매우 좋습니다.

 

 표범딜의 지원이라 하더라도 돌진할 곳이 없으니(작은쫄은 곰으로 탱킹중이겠죠) '쇄도' 특성은 필요가 없습니다.

 

 문양의 경우에는 보통의 탱커역할시 '광폭화/짓이기기/가르기'를 선택하였으나,

 

 마지막 두개의 구간에서는 '광폭화/짓이기기/도려내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5. 4세트효과와 광포한재생력 문양

 

 생명력 회복량이 한번 너프가 된 4세트 효과인 공대생존기이지만, 몇몇탱커에 비해 여전히 강력함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제 경우에는 체감이 확 오는게 아니라서 뭐가 효율이 좋다 단정하기는 그렇지만,

 

 힐러분들이 힘들어 하시면 광재문양을 제거하시고(회복의본능 찍은 야드평온이 두번올라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힐러분들이 네임드에 적응이 되셨다 생각하시면 치유량 30프로가 더 좋아보입니다. 개인적으로 후자가 더 좋습니다.

 

 

 

 

 

 

대충 자기전에 휘갈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혹 반응이 괜찮다면 묻어가는 존재여서 미천한 지식이지만 등짝하드와 광기하드에 대한 세부글도 써볼까 합니다.

 

즐거운 하루되시길 바랍니다.

Lv72 야드야드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와우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