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wop 관심도가 급격히 올라가는 가운데 보통 에드온을 깔면 인게임 툴팁에 보이는 총점만 슥 보시겠지만 디테일하게 뜯어보면 또 재미있기도 하고, wowop는 쓰레기다 vs.쓸모있다 논란에 갭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듯 하여 여태까지 이해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1. Wowop 보는법
보는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하나는 curseforge에서 wowop를 검색하면 애드온이 뜨는데 그걸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하시면 본섭의 점수기록이 연동되어 인게임 툴팁에 쐐기점수마냥 뜨게됩니다.
두 번째는 https://wowop.io/에 접속해서 검색창에 아이디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입니다. 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파티원중 최소 1인 이상이 wowlog를 업로드 하여야 하며 두명 이상 업로드를 하면 기록이 중복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보통 쐐기 끝나면 1분이내에 업데이트 되고 있습니다.
위 사진은 실제 업로드된 기록 중 일부이고 5명의 파티원에 대한 각각의 표가 제공됩니다. 표의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은 이하와 같습니다.
Player : 나
Role Median : 동 역할군 (탱, 딜, 힐) 중간값
Role Difference : (동 역할군 중간값)에 대한 내 점수의 차이 (+51.5% = 역할군 중간값에 비해 본인이 50%더 높이 기록했다)
Spec median : 동 역할군 중 같은 직업/전문화 (추정) 애들 기록의 중간값
Spec difference : (동 역할군 중 내 같은 직업/전문화 (추정) 의 애들 기록의 중간값)에 대한 내 점수의 차이
Score Component : 항목 별 점수
Death per hour : 1시간 당 사망 횟수 / interrupt per minute: 1분 당 차단 횟수
Damage/Healing per second (DPS/HPS)
Heavy fails: 홈페이지에 따르면 1) 피해야 되는 패턴을 맞고 사망하였거나 2) 바닥을 밟았거나 3) 던전의 중요 메커닉 수행을 실패한 경우 횟수로 카운트 됩니다. 근딜이 어글이 텨서 평타 맞고 사망하는 것은 heavy fail로 집계되지 않지만 새인호 1넴 광선을 밟고 죽었다면 카운트 될 수 있습니다. (예시임)
2. 점수 산정 기준
점수는 누적데이터에서 몇 %ile에 위치하는지로 표기되는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로그 점수와 같은 방식일 것으로 추측됩니다.
환산된 각 항목의 점수는 역할군 별로 가중치를 고려하여 총점으로 표기됩니다. 가산 방식은 위의 사진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딜러는 딜량:차단:Heavy fail (HF) 을 5: 3: 5의 비중으로 산정합니다.
힐러는 힐량: 딜량: 차단: HF를 4: 1: 2: 5로 합산합니다.
탱커는 딜량: 힐량: 차단: 사망: HF를 3: 1: 2: 4: 5의 가중치를 두어 합산합니다.
3. 구간 보정
홈페이지에 따르면 쐐기 난이도에 따라 퍼포먼스가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준이 되는 데이터를 쐐기 단수에 따라 분리하여 계산합니다.
일반적으로 난이도가 쉬울 수록 점수를 획득하기 쉽습니다. 분리 구간은 이하와 같습니다.
1구간: 8-11단
2구간: 12-13단
3구간: 14-15단
7단 이하는 여러가지 조건에 의해 기록이 들쭉날쭉 할 수 있기때문에 퍼포먼스를 측정하기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제외했다고 합니다.
같은 이유로 16단 이상은 시클을 위해 여러가지 일반적이지 않은 택틱이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기록을 비교하기 무리가 있어 제외되었습니다.
알고보면 더 재미있는 wowop참고하여 오늘도 즐거운 쐐기런 되시기 바랍니다~~~